조회 수 40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첨부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_2018_0001.jpg

 

군산의 월명공원에 세워져 있는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와 함께 해병대가 첫 승리를 거둔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를 소개한다. <사진 임영식기자>

 

img.jpg

 

◎ 위 치 : 전북 군산시 금동 38-3(월명공원)
◎ 현 황 : 탑높이 20m, 기단 18m×18m, 피라밋 좌대 6m×6m×3m

             청동2인상 높이 3m, 조성규모 25m×25m
◎ 모 형 : 하늘을 향해 뻗은 탑신은 충천하는 상승 해병의 기백을 표상.


•3개의 기둥 : 국가의 3대 요소인 국토 국민, 주권을 상징. 국가와 민족의 무궁한 발전과 번영을 표현.
•3개의 피라밋 좌대 : 군산,장항,이리지구 전투를 조형화. 순국 장병의 고귀한 넋을 추모.
•포효하는 해병상 : 통일의 선봉을 다짐하는 용감 무쌍한 해병상.

 

img (1).jpg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

 

img (2).jpg

 

◎ 건립개요 : 이 전적비는 6.25동란을 맞아 조국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했을 때 한국 해병대가 그 예하 고길훈 부대(대대규모)를 군산,장항,이리지구 전투에 처녀출전(處女出戰)시켜 서해안의 젖줄인 금강을 지키기 위한 혈전에서 적을 격파한 최초의 전투이다.  

 

1950년 7월초 천안을 점령한 북괴군 제6사단 13연대는 서해안을 우회, 파죽지세로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왔으나 해병대 고길훈 부대는 동년 7월 13일 해군 함정 FS(제천호) 편으로 제주기지를 출항, 7월16일 군산에 상륙, 금강을 도하하여 장항 북방 4km 지점에서 대대규모의 적에게 기습적인 공격을 감행, 북괴의 금강선 진출을 저지 격파하였고, 적에게 전율과 공포를 안겨 주었다. 

 

그 이후 고길훈 부대는 7월 20일까지 금강을 방패 삼아 군산시 를 방어, 격렬한 시가전을 전개하면서, 해군 군산 경비부 육전대와 함께 LST-810함에 정부미 13,000가마와 중요한 정부물자 반출작전을 수행한후, 명령에 의거 고길훈 부대의 주력은 해상으로 철수하고, 이리 방면으로 출동한 해병 제3중대는 육군 독립대대, 경찰과 더불어 밀려드는 적과 결사적인 항전을 통하여 적의 남하를 효과적으로 지연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전투 에서 해병대는 적사살 62명, 사상 311명, 포로 5명의 대전과를 획득하였으며, 전사 36명, 부상 31명, 행방불명 8명의 손실을 입었다. 

 

이 최초 전투를 계기로 필승의 신념과 자신감을 얻은 한국 해병대는 그 이후 낙동강 전선의 통영상륙작전에서 귀신잡는 해병의 신화를 창조하면서 9월 15일 한·미 해병대가 선두로 한반도 전세를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하면서 이곳 군산 지역에 양동 작전을 실시하였으며 국군과 유엔군이 총 반격전에 나서 패주하는 적을 무찌르고 한맺힌 금강을 다시 찾고 북진을 개시, 한국 전쟁을 승리로 이끌수 있었다. 여기 이 전투에서 상승불패의 해병대 전통을 창조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한 해병대 (고길훈부대)의 공적을 영원히 기념코자 1990년 12월 1일 해병대 사령부에서 이 비를 세운다.

 

img (3).jpg

비문

 

img (4).jpg

건립취지

 

img (5).jpg

군산장항이리지구 전사자 명단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 전투를 위해 하달된 작전명령은 해병대사령관이 예하부대에 내린 해병대작전명령 제1호였다. 해병대는 해병대전우회와 함께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를 국민과 함께 기억하고 호국영령과 참전용사의 위훈을 기리며 희생정신에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축제와 추모의 장으로 매년 전승기념 및 추모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1. NEW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 군산의 월명공원에 세워져 있는 해병대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 전적비와 함께 해병대가 첫 승리를 거둔 군산·장항·이리지구전투를 소개한다. <사진 임영식기자> ◎ 위 치 : 전북 ...
    Date2025.04.23 By관리자 Views408
    Read More
  2. 해병혼 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동문로타리

    해병혼 탑 이 기념탑은 6·25전쟁에 참전하여 인천상륙작전 및 서울수복작전, 도솔산전투 등에서 활약하고 전사한 제주 출신 해병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1960년 4월 15일 제주도 제주시 일도동 1146-26 ...
    Date2024.09.02 By관리자 Views200378
    Read More
  3. 해병대 104고지 전적비

    해병대 104고지 전적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적의 최후방어선인 104고지와 연희고지군 일대에서 저항하던 적을 격파하여 서울을 탈환하고 중앙청에 태극기를 게양할 수 있도록 결정적 기여를 한 전투가 바로 해병대...
    Date2024.07.18 By관리자 Views236032
    Read More
  4. 해병대 포항역사관

    해병대 포항역사관은 해병대, 해병대 제1사단의 과거와 현재를 재조명하고 미래상을 제시하며, 해병의 긍지를 고양시키고 일반인들이 해병대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해병대에 대한 국민의 신뢰...
    Date2024.05.21 ByHBcom Views284877
    Read More
  5. 해병대사령부 해병탑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해병대사령부로 진입하는 덕리 사거리 한쪽에는 해병대사령부 해병탑이 우뚝 세워져 있다. 몇번 지나치며 보기만 했었는데 이번에는 나오는 길에 차를 세우고 잠시 해병탑을 살펴보았다. 해병대...
    Date2023.10.30 By관리자 Views432162
    Read More
  6. 해병대 월성 무장공비 격멸 전적비

    해병대 월성 무장공비 격멸 전적비 전적비 옆 안내문에는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 있다. 무장공비 격멸 전적비 Monument for Destruction of North Korean Guer 이 장소는 1983년 8월4일 23:40경 당시 경북 월성군 양남...
    Date2022.04.27 By관리자 Views566417
    Read More
  7. 격심한 돌풍과 거센 파도와 싸운 5인의 해병, 영원히 기억해야 할 영웅들

    격심한 돌풍과 거센 파도와 싸운 5인의 해병 영원히 기억해야 할 영웅들 [해병대 역사탐방] 5인의 해병 순직비와 5인의 해병탑 포항시 북구 송라면 방석리 마을 뒤쪽 해변에는 비석 하나가 외롭게 세워져 있다. 이 비...
    Date2021.06.30 By관리자 Views567375
    Read More
  8. 한미해병 충혼탑

    한미해병 충혼탑 경북 포항시 송라면에 위치한 한미 해병대 충혼탑은 1984년 팀 스피리트 훈련 도중 악천후로 인한 CH-53헬기 추락으로 목숨을 잃은 한미 해병대 장병 29명과 89년 3월 훈련 중 순직한 미 해병대 23명...
    Date2021.04.24 By관리자 Views566247
    Read More
  9. 해병대 파로비

    해병대 파로비 도라산평화공원 해병대파로비
    Date2021.04.24 By관리자 Views5649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