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대 곳곳 '11월23일, 아직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 문구
"동료가 기다린다"..부상 장병 부대복귀
(연평도=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지금은 안보 전시관으로 쓰이는 서해 최전방 연평부대 내 이발소는 1년 전 북한 포격 도발의 상흔을 그대로 보여준다.
지은 지 얼마 안 돼 포격을 당했다는 화장실 변기의 바닥 타일은 모두 윤이 나는 새 것이었다. 하지만 파편으로 인해 벽에는 구멍이 뚫렸고 타일이 떨어져 내렸다.
지난해 11월 23일 122㎜ 방사포탄이 관통한 천장에는 지름 1.5m가량의 구멍이 남아 철근 가락들이 몸을 삐죽이 내밀고 있었다.
해병대 김정수 대위는 '공룡 발소리' 같았던 포성을 생생히 기억한다. 지금은 해병대사령부로 자리를 옮긴 김 대위는 당시 K-9 자주포 부대인 포7중대 중대장이었다.
취재진은 최근 김 대위와 함께 다시 연평도를 찾았다. 옛 지휘관을 발견한 병사들이 한걸음에 달려와 그의 품에 안겼다.
북의 포문이 목표물로 겨눴던 진지 주변은 여전히 상처투성이였다. 화염에 의한 그을음, 포탄이 떨어져 움푹 팬 땅, 포상에는 크래커 조각 모양의 수천 개 파편자국이 남았다.
그날 이후 대원들은 2주가량 포 진지에서 대기태세를 유지했다. 추위와 싸우며 자야 했고 전투식량으로 끼니를 때웠다. 그들은 이때가 '가장 힘들었던 시기'라고 회고했지만 더욱 힘들게 만든 것은 억울함이었다.
불발탄이 발생해 결국 마지막까지 사격에 참여하지 못했다는 4포 대원의 안타까움은 더했다.
김 대위는 "4포 대원들은 자기들만 사격을 못했다는 억울함과 포병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안타까움, 혹여 중대에 누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힘들어했다"면서 "추가 도발이 생기면 가장 먼저 사격하겠다는 다짐을 아끼지 않았다"고 전했다.
4포 반장이었던 김상혁 중사도 속내를 털어놨다. "'13분(대응사격까지 걸린 시간)'에 대한 논란이 있을 때는 억울함도 있었다"면서 "'한 번만 더 건드려봐라' 하는 각오가 있었다. '이번엔 확실히 보여주자'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추위 속에서도 잘 견딜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둘러본 부대 곳곳에는 "11월23일, 아직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는 문구와 함께 '연평부대 포격전투 승전 기념'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
그날 포격 탓에 부상한 8명 중 5명이 본인의 뜻에 따라 소속부대로 다시 돌아왔다. 경비대대 소속 한규동 병장도 그 중 한 명. 파편은 입 주변과 왼쪽 볼에 긴 상처를 남겼다. 연평도로 다시 돌아온 이유를 묻자 그는 "동료가 좋았다. 왠지 나를 기다리는 것만 같았다"고 답했다.
처음엔 '왜 위험한 곳에 다시 가느냐'며 반대하던 부모님도 결국엔 그의 선택을 존중하기로 마음을 바꿨다. 그날의 기억은 이들에게 우애로 남았고 일병이었던 그는 어느덧 제대를 100일 정도 앞둔 병장이 됐다.
상처가 다 아문 것은 아니다. 부상자 중 한 명인 이한 병장은 "그날 이야기를 후임병에게도 해주느냐"는 질문에 그는 "궁금하다고 먼저 묻지 않는 이상 얘기하지 않는다"면서 "그때를 다시 떠올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그 일을 겪은 후 더 강해졌다. 한 번 죽다 살았는데 덤으로 얻은 목숨, 이제는 뭐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좋은 기억이었다"고 덧붙였다.
방공 진지에서 불과 3㎞ 떨어진 곳에는 북한 석도(席島)가 있다. 무인도인 섬에서 1.5㎞ 지점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이다.
서해 최북단에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북한의 저공침투 상황에 대비한 벌컨포 사격 훈련 등 기습침투 상황을 가정한 조치훈련이 하루에 2회 이상 불시에 이뤄진다.
연평도는 한창 공사 중이다. 차량이 쉽게 지나도록 도로도 새로 정비했고 진지ㆍ교통로 유개화(지붕을 덮음) 사업이 진행 중이다.
포격 당시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작전에 도움이 되지 않았던 포상의 타이어는 타지 않는 소재로 바꿨다. 진지 주변의 나무도 베냈다.
해병대 관계자는 "각종 공사로 인해 근로자들이 들어와 건설 경기는 좋다"면서 "식당과 민박 예약이 다 찼다"고 전했다.
군 당국은 내년까지 연평도와 백령도에 공격형 헬기 격납고와 전방탐지감시대 방호시설, 2015년까지 진지ㆍ교통로 유개화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8월에는 서북도서 일대 작전을 지휘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들어섰고 병력 1천여 명이 추가 배치됐다. 전차와 다연장포, 신형 대포병레이더 아서(ARTHUR) 등이 전환 배치됐다. K-9 자주포, K-10 포탄운반차, AH-1S 코브라 공격헬기, 링스헬기, 고성능카메라 등도 새로 들어섰다.
북한은 황해도 강령군 해안가에 포 진지 수십 곳을 추가로 구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년 전 포격도발의 원점인 개머리 진지가 있는 곳이다.
서방사 관계자는 "우리가 요새화 작업을 진행하는 것처럼 북한도 똑같이 공사 중이다. 적이 포격 도발보다 더 강한 도발을 준비하는 징후도 포착되고 있다"면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를 확인하고 대비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동료가 기다린다"..부상 장병 부대복귀
(연평도=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지금은 안보 전시관으로 쓰이는 서해 최전방 연평부대 내 이발소는 1년 전 북한 포격 도발의 상흔을 그대로 보여준다.
지은 지 얼마 안 돼 포격을 당했다는 화장실 변기의 바닥 타일은 모두 윤이 나는 새 것이었다. 하지만 파편으로 인해 벽에는 구멍이 뚫렸고 타일이 떨어져 내렸다.
해병대 김정수 대위는 '공룡 발소리' 같았던 포성을 생생히 기억한다. 지금은 해병대사령부로 자리를 옮긴 김 대위는 당시 K-9 자주포 부대인 포7중대 중대장이었다.
취재진은 최근 김 대위와 함께 다시 연평도를 찾았다. 옛 지휘관을 발견한 병사들이 한걸음에 달려와 그의 품에 안겼다.
북의 포문이 목표물로 겨눴던 진지 주변은 여전히 상처투성이였다. 화염에 의한 그을음, 포탄이 떨어져 움푹 팬 땅, 포상에는 크래커 조각 모양의 수천 개 파편자국이 남았다.
그날 이후 대원들은 2주가량 포 진지에서 대기태세를 유지했다. 추위와 싸우며 자야 했고 전투식량으로 끼니를 때웠다. 그들은 이때가 '가장 힘들었던 시기'라고 회고했지만 더욱 힘들게 만든 것은 억울함이었다.
불발탄이 발생해 결국 마지막까지 사격에 참여하지 못했다는 4포 대원의 안타까움은 더했다.
김 대위는 "4포 대원들은 자기들만 사격을 못했다는 억울함과 포병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는 안타까움, 혹여 중대에 누가 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힘들어했다"면서 "추가 도발이 생기면 가장 먼저 사격하겠다는 다짐을 아끼지 않았다"고 전했다.
4포 반장이었던 김상혁 중사도 속내를 털어놨다. "'13분(대응사격까지 걸린 시간)'에 대한 논란이 있을 때는 억울함도 있었다"면서 "'한 번만 더 건드려봐라' 하는 각오가 있었다. '이번엔 확실히 보여주자'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추위 속에서도 잘 견딜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둘러본 부대 곳곳에는 "11월23일, 아직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는 문구와 함께 '연평부대 포격전투 승전 기념' 표지판이 붙어 있었다.
그날 포격 탓에 부상한 8명 중 5명이 본인의 뜻에 따라 소속부대로 다시 돌아왔다. 경비대대 소속 한규동 병장도 그 중 한 명. 파편은 입 주변과 왼쪽 볼에 긴 상처를 남겼다. 연평도로 다시 돌아온 이유를 묻자 그는 "동료가 좋았다. 왠지 나를 기다리는 것만 같았다"고 답했다.
처음엔 '왜 위험한 곳에 다시 가느냐'며 반대하던 부모님도 결국엔 그의 선택을 존중하기로 마음을 바꿨다. 그날의 기억은 이들에게 우애로 남았고 일병이었던 그는 어느덧 제대를 100일 정도 앞둔 병장이 됐다.
상처가 다 아문 것은 아니다. 부상자 중 한 명인 이한 병장은 "그날 이야기를 후임병에게도 해주느냐"는 질문에 그는 "궁금하다고 먼저 묻지 않는 이상 얘기하지 않는다"면서 "그때를 다시 떠올리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그 일을 겪은 후 더 강해졌다. 한 번 죽다 살았는데 덤으로 얻은 목숨, 이제는 뭐든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좋은 기억이었다"고 덧붙였다.
방공 진지에서 불과 3㎞ 떨어진 곳에는 북한 석도(席島)가 있다. 무인도인 섬에서 1.5㎞ 지점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이다.
서해 최북단에 있는 만큼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 북한의 저공침투 상황에 대비한 벌컨포 사격 훈련 등 기습침투 상황을 가정한 조치훈련이 하루에 2회 이상 불시에 이뤄진다.
연평도는 한창 공사 중이다. 차량이 쉽게 지나도록 도로도 새로 정비했고 진지ㆍ교통로 유개화(지붕을 덮음) 사업이 진행 중이다.
포격 당시 시커먼 연기를 내뿜으며 작전에 도움이 되지 않았던 포상의 타이어는 타지 않는 소재로 바꿨다. 진지 주변의 나무도 베냈다.
해병대 관계자는 "각종 공사로 인해 근로자들이 들어와 건설 경기는 좋다"면서 "식당과 민박 예약이 다 찼다"고 전했다.
군 당국은 내년까지 연평도와 백령도에 공격형 헬기 격납고와 전방탐지감시대 방호시설, 2015년까지 진지ㆍ교통로 유개화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8월에는 서북도서 일대 작전을 지휘하는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들어섰고 병력 1천여 명이 추가 배치됐다. 전차와 다연장포, 신형 대포병레이더 아서(ARTHUR) 등이 전환 배치됐다. K-9 자주포, K-10 포탄운반차, AH-1S 코브라 공격헬기, 링스헬기, 고성능카메라 등도 새로 들어섰다.
북한은 황해도 강령군 해안가에 포 진지 수십 곳을 추가로 구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년 전 포격도발의 원점인 개머리 진지가 있는 곳이다.
서방사 관계자는 "우리가 요새화 작업을 진행하는 것처럼 북한도 똑같이 공사 중이다. 적이 포격 도발보다 더 강한 도발을 준비하는 징후도 포착되고 있다"면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를 확인하고 대비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