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59주년 | 두 노병의 증언
이성호 전 해군참모총장과 공정식 전 해병대사령관은 지난달 27일 80대 중반의 노구를 끌고 경남 진해를 찾았다.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리는 손원일 제독 탄생 100주년 기념일(5월 28일) 행사를 위해서다. 진해 앞바다에 초승달이 걸린 이날 밤 두 사람은 생도사에서 60년도 더 차이 나는 후배들과 얘기꽃을 피웠다. 최대 3주간 수중작전이 가능한 첨단 잠수함인 손원일함도 둘러봤다.
공 사령관은 그날 85년 인생을 살아온 보람을 느꼈다. “지금과 그때의 해군은 정말 하늘과 땅의 차이입니다. 당시 나와 동기생들은 죽 먹고 배고파가며 생활을 했습니다. 주린 배를 참지 못한 생도들이 취사반을 습격하는 일도 자주 일어났죠. 그렇게 1년2개월 만에 교육을 끝내고 임관했습니다. 그리고 3년 뒤 6·25 전쟁에 참전했습니다. 우리가 6·25를 치르고 밑바탕이 됐기 때문에 우리 후배들이 이런 행복을 누리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너무 감개무량했습니다.”
두 사람은 대한민국 해군 창군 원로다. 일제 때 진해고등해원양성소(한국해양대의 전신)를 나온 이 전 총장은 1946년 해군사관학교(당시 해군병학교) 초대 교관으로 해군에 뛰어들었다. 공 전 사령관은 해사 1기생으로, 47년 임관했다. 대한민국 해군이 정식 출범(48년 9월 5일)하기 전 해방병단(海防兵團) 시절의 일이다.
인천상륙 직전엔 영흥도 첩보활동
이성호· 공정식씨는 6·25 전쟁의 분수령이 된 인천상륙작전(50년 9월 15일)에 참가했다. 전투함 703을 이끈 이 전 총장(당시 중령)은 인천상륙작전에 앞서 첩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영흥도 등 인천 앞바다에서 작전을 펼쳤다.
당시 미군과 국군은 덕적도와 영흥도를 점령한 뒤 이곳을 바탕으로 인천·서울 등 내륙지역의 정보를 모았다. “7월 초였어요. 인천 해안까지 들어갔다가 북한군의 해안포 사격을 받기도 했습니다. 영흥도에서 당시 북한군과 연합군 간에 뺏고 뺏기는 교전을 벌였습니다.”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이 개시됐다. 이 중령은 704 함장으로, 공 소령은 704 부함장으로 해병대 상륙 작전을 지원했다. 공 전 사령관은 그날의 장면을 사진처럼 기억했다. “ 당시 우리 701, 702 ,703, 704함정은 인천 바로 앞인 월미도 앞바다까지 들어가 근접 지원사격을 했습니다. 서쪽을 바라보니 덕적도 앞바다에 맥아더가 탄 기함 마운트 매킨리를 비롯해 연합군 함정들이 새까맣게 모여 있었어요.”
상륙작전에는 우리 해병대 2700여 명이 최전방에서 나가 돌격했다. 우리 해군의 총수였던 손원일 해군참모총장도 “함대에 남으라”는 맥아더의 지시를 묵살하고, 해병대와 함께 총을 들고 뭍으로 올랐다. 인천과 수도 서울의 수복은 그렇게 이뤄졌다.
타고가던 지프 지뢰 밟아 부상도
50년 12월 1일 공 소령은 704 부함장에서 해병대 대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통영상륙작전에서 인연을 맺은 김성은 해병대 참모장의 권유를 받아들인 것이다. 그는 중동부 전선의 요지인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는 등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 부상도 입었다. 지프가 대전차 지뢰를 밟은 탓이다. 동행한 전령이 숨지는 등 피해가 컸다. 다행히 공 소령은 파편으로 엉덩이에 상처를 입는 데 그쳤지만 당시 후유증으로 오른쪽 귀의 청력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공 전 사령관은 요즘도 60년 전 그때 꿈을 자주 꾼다. “내가 20대의 젊은 해병대 대대장이 돼 총알과 포탄이 빗발치는 전장을 뚫고 달리는 거예요. 귀 옆으로 ‘쉭-’ 총탄이 지나가는 소리도 들어요.”
내륙의 서부전선보다 북쪽으로 한참 올라와 있는 서해 5도 위쪽까지 북방한계선(NLL)이 그어진 것도 해병대의 공이었다. 해병대는 섬 지역의 전략적 가치를 알고, 북한의 원산·청진 앞바다까지 점령해두었다. 하지만 이들 섬은 휴전협정 때 “너무 위쪽에 있다”는 이유로 남한 영토에서 제외됐다.
이 전 총장은 서해 5도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북한과 국지전이 벌어진다면, 침공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이 서해 5도라고 했다.
“북한은 제일 먼저 서해 5도를 칠 것입니다. 수도 서울을 침공하는 가장 쉬운 길이 서해 5도입니다. 내륙의 서부전선은 우리 측 군부대가 너무 많아 침공이 어렵지만 바다는 특성상 그렇지 못합니다. 서해 5도가 북에 넘어가면 서울의 옆구리가 떨어지는 겁니다. 인천공항도 인천시도 그대로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
연평해전, 씁쓸한 기억
이 전 총장은 2002년 6명의 우리 해군이 목숨을 잃은 2차 연평해전 뒤 씁쓸했던 기억을 떠올렸다. “그때 성남 통합병원 장례식에 가서 놀랐습니다. 대통령도 장관도 오지 않았습니다. 쉬쉬하면서 장례식을 치렀죠. 나라 위해 목숨을 건 우리를 소모품 정도로 생각한 거죠.”
공 전 사령관은 인천상륙작전을 홀대해 온 역대 정부에 아쉬움을 표시했다. “얼마 전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차 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유명한 프랑스 북부의 미군 전사자 묘역을 찾아 화제가 됐는데, 우리는 지금껏 대통령은 물론 총리도 인천상륙작전 기념식에 참석한 적이 없어요.”
2010.05.18 02:17
서해 5도를 지켜낸건 해병대의 공
조회 수 3221 추천 수 0 댓글 0
TAG •
- 서해5도,
-
대한민국 최일선 서해 5도
‘서해 5도는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북한의 연평 도발 이후 대한민국 최전방에 떠 있는 서해 5도는 우리에게 자신들의 존재 의미를 새삼 되묻고 있다. 백령, 대청, 소청, 연평, 우도 등 대다수 뭍사람들에게는 이름조차 잊혀져 있던 이들 5개 섬은 이번 포격 사태로 우리가 절대로 빼앗길 수 없는 대한민국 영토임을 분명... -
우도
백령도·연평도 못지않은 전략적 요충지 1961년 남북한 비밀회담 루트 2주일마다 한 번씩 오는 부식 배가 생명선 서해 5도의 마지막 섬 섬 한 바퀴 도는 데 30분이면 끝 365일 민간인 구경 못해 고독과의 사투 근무 장병들 우울증 호소도 ▲ 우도의 일부분. 해병 OP가 보인다. photo 신미식 서해 5도(島). 북한의 연평도 포격... -
No Image
대청도
“평생 고생해 민박집 하나 장만해 놨더니 낚시꾼 발길 끊겨 휴업상태 고기만 잡고 살았는데 육지 나갈 수도 없고…” 40년 전에 지은 방공호 있으나 마나북측은 서해안 기지에 온갖 포 집중배치北 앞마당이나 다름없어 ▲ 대청도의 한 주민이 선진동 해군기지에 정박 중인 해군 고속정들을 바라보며 담배를 피우고 있다. 지난 1... -
No Image
서해 5도를 지켜낸건 해병대의 공
한국전쟁 59주년 | 두 노병의 증언 이성호 전 해군참모총장과 공정식 전 해병대사령관은 지난달 27일 80대 중반의 노구를 끌고 경남 진해를 찾았다.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리는 손원일 제독 탄생 100주년 기념일(5월 28일) 행사를 위해서다. 진해 앞바다에 초승달이 걸린 이날 밤 두 사람은 생도사에서 60년도 더 차이 나는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