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9 21:02

대청도

조회 수 81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평생 고생해 민박집 하나 장만해 놨더니 낚시꾼 발길 끊겨 휴업상태
고기만 잡고 살았는데 육지 나갈 수도 없고…”

40년 전에 지은 방공호 있으나 마나북측은 서해안 기지에 온갖 포 집중배치北 앞마당이나 다름없어
▲ 대청도의 한 주민이 선진동 해군기지에 정박 중인 해군 고속정들을 바라보며 담배를 피우고 있다.
지난 12월 2일 서해 5도의 한 섬인 대청도. 취재진은 물어물어 3곳의 대피소를 찾았다. 한 곳은 굳게 문이 닫혀 있었고, 두 곳은 문이 열려 있었다. 문이 닫힌 곳은 철제 자물쇠까지 채워져 있었다. 자물쇠에 검붉게 녹이 슬어 있는 것으로 미뤄, 사용하지 않은 지 오래됐음을 알 수 있었다. 문이 열려 있는 두 곳의 사정은 비교적 나아보였다. 청량음료 상자 등으로 바닥을 고이고, 그 위에 스티로폼을 깔아놓아 어느 정도 보온이 가능하게 돼 있었다. 하지만 식수나 전기의 사용은 불가능했다. 주민 장덕찬(65)씨는 “환기는 되지만, 솔직히 이런 곳에서 며칠이나 버틸 수 있겠느냐”고 되물었다.
   
   지난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태 이후 대청도 주민들의 최대 숙원은 “대피소만이라도 제대로 된 시설을 갖춰줬음 좋겠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7개 마을에 설치돼 있는 방공호는 모두 지난 1970년대에 지어진 것들”이라며 “너무 낡고 오래돼 북한의 포격을 견디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청도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살았다”는 원주민 김정곤(70)씨는 대청3리의 비상 대피소를 가리키며 “40년 전에 지어진 것이다. 정부한텐 미안한 얘기지만, 포탄 한 방만 맞으면 그대로 주저앉아 버리고 말 것”이라고 했다. 그는 “그런데 전쟁이 나면 여기 들어가 있으라고 하니, 그게 말이 되는 얘기냐”면서 “대포 한 방 맞으면 들어가 있는 사람들이 죄다 몰살될 텐데, 차라리 참호처럼 좀 더 길게 굴을 파서 여차하면 다른 데로 피신할 수 있게 해줬음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청도에서 태어나 대청도에서 평생을 살았다”며 “나는 죽어도 대청도에서 죽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민 김성녀씨는 “포격이 이뤄지면 숨을 곳이 대피소밖에 더 있겠느냐”면서도 “솔직히 마음이 불안불안하다”고 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라는 다른 주민은 “전쟁이 나도 대피소엔 안 들어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피소, 포 한 방이면 내려앉을 것”
   
▲ 90㎜ 해안포 진지의 내부 모습. 포를 받치고 있는 밑동과 포병 의자 주변에 검붉게 녹이 슬어 있다.
이 주민의 말처럼 주민 일부는 연평도 포격이 있던 날에도 “대피소로 가지 않고 그냥 집에 있었다”고 말했다. 장덕찬씨는 “대피소엔 물도 없고, 전기도 없다”며 “어두컴컴한 데 모여 있어봐야 뭘 하겠느냐”고 되물었다. 항상 위기감이 감도는 ‘최전방’ 지역이지만, 취재 중 만난 일부 주민들은 대피소의 위치조차 정확히 알고 있지 못했다. 50대로 보이는 한 남자 주민은 “대피소가 어디 있느냐”는 질문에, 눈을 동그랗게 뜨더니 “잘 모르겠다”며 “그런 걸 왜 묻느냐”고 되물었다. 60대로 보이는 다른 여성 주민은 고개를 갸웃거리며 “글쎄요”라고 답했다.
   
   낙후된 시설은 군수장비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취재진이 찾아간 90㎜ 해안포 진지는 무방비 상태였다. 철통 같은 방어망이 구축돼 있으리라는 예상과 달리, 진지 주변엔 가시가 달린 철조망만 둘러쳐져 있을 뿐 외부로부터의 진입을 막는 병력이나 감시카메라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진지가 구축된 지 오래된 듯, 벽에 적혀 있는 ‘일반 수칙’은 글씨가 지워지고 색이 바래 읽을 수 없었으며, 진지 바닥엔 포탄이 담긴 상자와 해안포 정비에 사용되는 윤활유 통이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포신은 상대적으로 잘 정비돼 있었지만, 포를 받치고 있는 밑동과 포병이 앉는 의자 주변은 곳곳에 녹이 슬어 있어 ‘오래된 장비’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대청도를 지키고 있는 병력은 해경, 해군부대, 해병대 1개 중대를 합쳐 300명 남짓에 불과하다. 이 섬에 배치된 90㎜ 해안포는 6·25 때 쓰였던 M47 패튼 전차에서 떼어낸 M36 주포를 재활용한 것으로 사거리가 1㎞밖에 안된다. 한 주민은 “90㎜ 해안포는 최근 장비보다 명중률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데다, 부식이 심해 제대로 작동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백령도와 대청도에서 소대장으로 근무했던 한 전직 해병장교는 “해안포뿐만 아니라 전차도 6·25 때 쓰던 것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다”며 “장비가 노후해 훈련 중 전차가 멈춰서는 경우가 간혹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전차가 멈추면 훈련을 계속하기가 어려워진다”며 “장교들이 홧김에 군홧발로 전차의 조인트를 까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기상 악화되면 뱃길도 묶여
   
▲ 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해병부대 초소. 위병은 “모든 장비가 원활하게 잘 작동되고 있다”며 “경계에 만전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에서 북서쪽 직진거리로 170㎞ 떨어져 있는 대청도는 북한의 옹진반도에서 남서쪽으로 40㎞밖에 안 떨어진 최전방이다. 북한의 황해도 장연군에서 10㎞ 떨어진 곳에 있는 백령도와 함께 북한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놓여 있는 섬이다.
   
   연평도가 아수라장이 됐던 지난 11월 23일, 불행 중 다행으로 대청도엔 어민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당시 바다에 나가 조업을 하고 있었다”는 주민자치위원장 김성수(66)씨는 “대피하라는 연락을 받고 재빨리 귀항했다”며 “대청도 어민이나 어선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곳 주민들은 겉으론 평온해 보일지 몰라도 내심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었다. 북한이 연평도에 포격을 가한 지 9일째인 12월 2일 현재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은 약 1400명. 20~30대 젊은이들은 대부분 육지로 일자리를 찾아 떠난 지 오래고, 섬에는 50대 이상의 노인들이 주로 남아 생업에 종사하고 있다. 남은 노인들은 대청 1~7리의 7개 마을에서 대부분 고기를 잡거나 관광객을 상대로 민박을 쳐서 생계를 꾸리고 있다.
   
   숙박업에 종사하는 장덕찬씨는 “불안해서 살 수가 없다”며 “평생토록 고생만 하다 겨우 장만한 것이 민박집 한 채인데, 그나마 (연평도 포격으로) 낚시꾼들 발길이 딱 끊겨 휴업 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젊은이들은 육지로 나가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겠지만, 평생 고기만 잡아온 어민들은 육지로 가도 할 일이 없다”며 “뭍으로 간 아들딸이 자꾸 나오라고 성화를 부리지만, 나가봐야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말했다.
   
   대청도의 또 다른 애로사항은 기상변화에 민감하다는 점이다. 취재에 나섰던 지난 2일엔 해무가 자욱하게 끼어 앞뒤 분간이 쉽지 않았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파도까지 높아 오전에 조업을 나섰던 어선들이 모두 귀항해야 했다. 해무와 풍랑으로 인해 인천~대청~백령도를 오가던 정기선은 12월 2~3일 한시적으로 취소됐다. 대청도의 한 주민은 “서해5도는 한마디로 소외된 섬”이라며 “주민들이 견디지 못해 섬을 떠나면 대한민국의 영토가 그만큼 줄어드는 셈 아니냐”고 말했다. 그는 “서해 5도를 지키지 못한다면 대통령도 대한민국도 모두 다 망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반도의 최전선이자 ‘화약고’
   
▲ 2010년 신축된 해병부대 막사. 최신시설을 갖춘 막사로 입주한 지 한 달가량 된다.
대청도가 위치한 서해 5도 일대는 두 차례의 연평해전과 대청해전, 지난 3월의 천안함 사태, 그리고 이번의 연평도 공격 등으로 상징되는 한반도의 ‘화약고’다. 북한군은 황해도 장산곶, 사곶, 해주, 옹진반도, 개머리, 무도 등 서해안 주요 기지에 130㎜ 대구경포(사거리 34㎞)와 170㎜ 곡사포(사거리 54㎞) 등 1000여문의 해안포를 배치해 놓고 있다. 특히 이번 연평도 해역을 포격한 황해도 개머리 기지와 무도 기지엔 155㎜포(사거리 27㎞), 130㎜ 대구경포(사거리 34㎞), 76.2㎜ 해안포(사거리 12㎞)가 집중 배치돼 있다.
   
   또 북한 해군사령부 예하 서해함대사령부 산하에는 6개 전대, 420척의 함정이 배치돼 있다. 이들 함정의 절반 이상은 서해 NLL(북방한계선) 인근 해주와 사곶 등에 집중 배치돼 있다. 특히 사곶엔 8전대 예하 함정 70여척이, 곡산 등 3개 공군기지엔 전투기 150여대가 출동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돼 있다. 함정 대부분은 경비정과 유도탄 고속정, 어뢰정, 화력지원정 등으로 무장한 170∼400t급 소형이지만, 37㎜ 단연장포(사거리 8㎞), 14.5㎜ 2연장포(사거리 7㎞) 등으로 무장하고 있어 무시할 수 없는 화력을 갖추고 있다.
   
   이 지역 전력을 지휘하고 있는 북한군 총참모장 출신의 4군단장 김격식은 예하에 수만 명의 병력을 거느린 채 호시탐탐 한반도를 노리고 있다. 반면 우리 군이 보유하고 있는 포 중에서 북한군 진지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것은 K-9자주포(사거리 40㎞)와 155㎜ 견인포(사거리 30㎞), 105㎜ 견인포(사거리 18㎞) 등이다.
   
   
   이따금씩 北 귀순자 넘어와
   
▲ 대청도 북쪽 해안을 방어하고 있는 해안포 진지. 90㎜ 해안포가 배치돼 있다. 이 해안포는 6·25 때 사용하던 전차의 포신을 떼어내 개량한 것으로 사정거리가 1㎞에 불과하다.
우리 군은 연평도 포격을 계기로 대포병레이더(탐지거리 50㎞)와 K-9자주포 6문, 다연장 로켓(사거리 31~45㎞) 등 강화된 무기를 연평도에 추가 배치했고 천마 방공포(사거리 9㎞)도 배치할 예정이다. 하지만 대청도에 배치된 화력은 아직 불충분하다. 대청도 방어를 책임지고 있는 문원옥 해병중대장은 “장비는 상대적으로 낡았을지 모르지만, 주기적으로 사격을 하며 관리하고 있어 명중률이 상당히 높다”며 “주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전 대원이 A, B조로 나뉘어 전투배치 체제로 근무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 중대장은 “상부에서 장비 교체를 결정하면 새 장비가 도입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장비는 낡았지만 관리를 잘해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야간 투시장비를 갖춰 밤에도 물샐틈없는 경비를 서고 있다”며 “주민들도 동요하지 않고 조업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대청도엔 이따금씩 북한에서 넘어온 귀순자들이 나타난다고 한다. 주민 김성녀씨는 “3~4년 전 황해도 순의도 포병부대에서 근무했다는 30대 남자 하나가 귀순해 온 적이 있었다”며 “당시 귀순자로부터 북한 해안포부대가 백령·대청·연평도에 조준을 맞춰놓고, 발사 장치만 누르면 포탄이 날아가도록 해놓았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김씨는 “특이한 것은 이 귀순자가 점심을 먹어본 적이 없다는 점”이라며 “북한에선 점심을 먹는 것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이유로 점심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전했다. <주간조선 커버스토리>
 
TAG •

  1. No Image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기상반장 중사 신용한

    ▶포7중대 기상반장 중사 신용한2010년 11월 23일. 날씨는 어느 날보다 좋았다. 난 오늘도 평상시와 동일하게 보급업무를 수행하고 오후에 있을 중대 ATT평가 사격 통제관으로써 탄종, 신관, 장약, 발수를 확인한 후 사격 시 15분전에 3포상으로 이동하여 사격준비 상태 및 3포 인원들에게 장비 이상 유무와 안전 교육을 실시...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5141
    Read More
  2.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중사 안준오

    ▶ 인사과 일보담당 중사 안준오뒤돌아보면 마땅히 기여한 바도 없으며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다는 생각이지만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준 인사과 간부들에게 감사하고 교훈으로 간직하고자 수기를 기록한다. 우리 연평부대 인사과는 그날도 여느 때와 같이 각자가 맡은 임무의 수행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인...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5823
    Read More
  3. No Image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행정관 상사 한훈석

    ▶ 본부중대 행정관 상사 한훈석'10. 11. 23. 화요일 14시 35분 청명한 초겨울 하늘에 검고 흉악한 포물선이 그려지고 서해5도 중 가장 평화롭고 아름다웠던 연평도가 무간지옥과 다를 바 없는 아비규환으로 물들기 시작한 것은 찰나의 순간이었다. 이 날은 해상 사격훈련이 있는 날이라 대원들에게 거점작전에 대하여 교육을...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5560
    Read More
  4.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군종과장 하승원대위

    ▶ 군종과장(목사) 대위 하승원 하승원 대위(사진 왼쪽) 굉음이 울리고 눈앞에서 포탄이 떨어졌다. 마을에서 연기가 올라왔고, 시선이 닿는 곳곳에 탄흔이 보였다. 급히 올라간 의무실은 이미 피를 흘리며 쓰러져 있는 아이들(병사들 지칭)이 누워있었다. 복도에는 아이들이 흘린 피가 흐르고 있었고, 응급실 안쪽에는 서서히...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5344
    Read More
  5.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의무실 이재선하사

    ▶의무실 예방의학담당 하사 이재선 이재선 하사 23일 아침 어느 때와 다름없이 관사에서 일어나 출근 준비를 하고 나와 같은 버스를 타고 가는 선후임들에게 인사를 하며 시작하였다. 부대에 도착하고 나서도 어느 때와도 하나 다름없이 평화롭다면 평화롭고 계획된 일과가 진행되었다. 그날 오후 우리 부대 사격훈련이 시작...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5653
    Read More
  6.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3포반장 하사 김영복

    김영복 하사 금일에 평가 ATT평가 사격이 계획이 되어 있었다. 그래서 오전부터 사격준비 및 사격대비 비사격 임무를 실시하였다. 오후 13시 30분부터 평가사격이 되었고, 초탄은 우리 3포가 수정임무 사격을 실시하였다. 마지막 사격을 실시하는 도중에 4포가 불발이 나서 FDC에 불발보고를 하였다. 그때 우리 포반은 사격...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6848
    Read More
  7. 연평도포격 현장수기 - 제7포병중대장 대위 김정수

    제7포병중대장 대위 김정수 우리 해병대 연평부대 포 7중대는 '대한민국 국가대표 포병중대'다. 전군 최초로 대한민국이 개발한 세계적인 명품 K-9 자주포가 배치됐다는 것을 알고 서북도서에서의 군 복무로 자부심을 갖도록 내가 붙인 애칭이다. 2010년 11월 23일 여느 때처럼 아침에 출근을 하면서 소연평을 바라봤었다. ...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8375
    Read More
  8. 해병대원들의 연평도포격 수기

    해병대 사령부가 지난달 23일 발생한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전투에 참가한 장병들의 수기 가운데 일부를 14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수기는 현장에 있던 장병 12명이 직접 적은 것이다. 해병대 측은 다른 장병들이 적은 내용을 보완해 수기를 책으로 발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기에는 장병들이 직접 보고 체험...
    Date2010.12.14 By관리자 Views8056
    Read More
  9. 전쟁에 반대하는 해병

    해병 539기 김복철(44)씨. 그는 지난 1986년부터 88년까지 서해 바다의 강화도에서 근무했다. 오랜만에 군대 얘기가 나오자 여느 해병대 나온 사람들이 그러는 것처럼, 두 눈을 반짝이며 경험담을 쏟아내더니 신병교육을 마치고 동기들과 찍은 사진을 자랑스럽게 내민다. “해병대의 빨간 명찰은 아무나 다는 게 아닙니다. 전...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4602
    Read More
  10. 대한민국 최일선 서해 5도

    ‘서해 5도는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북한의 연평 도발 이후 대한민국 최전방에 떠 있는 서해 5도는 우리에게 자신들의 존재 의미를 새삼 되묻고 있다. 백령, 대청, 소청, 연평, 우도 등 대다수 뭍사람들에게는 이름조차 잊혀져 있던 이들 5개 섬은 이번 포격 사태로 우리가 절대로 빼앗길 수 없는 대한민국 영토임을 분명...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6524
    Read More
  11. 백령도

    “중국 어선들 어장 싹쓸이 그래도 덕분에 북한이 포 안 쏘겠지 싶기도 하고…” “자식들 나오라고 성화 여기처럼 살기 좋은 데 없어… 저놈들 내려오면 총 들고 나설 것” ▲ 육지에 있는 자식들을 위해 김장을 하는 백령도 주민들. 왼쪽이 이영자, 오른쪽이 최춘매씨. 연평도에 대한 북한의 포격 공격이 일어난 지 6일이 지난 11...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3121
    Read More
  12. 우도

    백령도·연평도 못지않은 전략적 요충지 1961년 남북한 비밀회담 루트 2주일마다 한 번씩 오는 부식 배가 생명선 서해 5도의 마지막 섬 섬 한 바퀴 도는 데 30분이면 끝 365일 민간인 구경 못해 고독과의 사투 근무 장병들 우울증 호소도 ▲ 우도의 일부분. 해병 OP가 보인다. photo 신미식 서해 5도(島). 북한의 연평도 포격...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4068
    Read More
  13. No Image

    대청도

    “평생 고생해 민박집 하나 장만해 놨더니 낚시꾼 발길 끊겨 휴업상태 고기만 잡고 살았는데 육지 나갈 수도 없고…” 40년 전에 지은 방공호 있으나 마나북측은 서해안 기지에 온갖 포 집중배치北 앞마당이나 다름없어 ▲ 대청도의 한 주민이 선진동 해군기지에 정박 중인 해군 고속정들을 바라보며 담배를 피우고 있다. 지난 1...
    Date2010.12.09 By슈퍼맨 Views8117
    Read More
  14. No Image

    해병대 - 함혜리

    “그들은 귀신을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용감했다.” 6·25 전쟁 당시 한반도의 전쟁터를 종횡무진 누비며 현장감 있는 기사로 전쟁의 참상과 이면을 세상에 알린 뉴욕헤럴드트리뷴의 종군기자 마거릿 히긴스가 1950년 8월 23일 자에 송고한 기사다. 히긴스는 ‘귀신 잡는 해병대’란 제하의 기사에서 우세한 적군을 기습적인 양동 ...
    Date2010.12.07 By관리자 Views4326
    Read More
  15. 한번 더 건드리면 죽는다 우린 해병이다

    [중앙일보]입력 2010.12.03 19:22 / 수정 2010.12.04 02:38 “사나이 한 명이 길목 지키면 1000명을 두렵게 한다” 해병 청룡부대 11중대, 연대급 월맹군 격파 … 당시 신원배 1소대장, 해병정신을 말하다 해병 정복을 입고 포즈를 취한 신원배 예비역 소장. 사진 = 박종근 기자 jokepark@joongang.co.kr 정유재란 때이던 1597...
    Date2010.12.05 By관리자 Views431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2 Next
/ 2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