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단.사천강천투를 기억하다.

by 운영자 posted Jan 03,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장단·사천강 지구는 6·25전쟁이 막바지에 이른 1952년 3월부터 1953년 7월 휴전까지 대한민국 해병대가 중공군의 공세로부터‘ 한 치의 땅도 적에게 빼앗길 수 없다는 일념’으로 사수한 곳이다. 장기간에 걸친 치열한 전투로 해병대 7대 전투사에 당당히 이름을 올리고 있는 전투.

rokmc37_012.jpg

1951년 7월 휴전회담이 개최될 당시, 피아간 더 유리한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전초진지 쟁탈전이 계속되었다. 그러자 수도 서울 방위에 역점을 둔 군사적 보완책의 일환으로 해병대 제1연대는 1952년 3월 17일부터 서부전선 장단 지구로 투입되었다. 이후 1953년 7월 휴전 시까지 1년 4개월 동안 판문점에서 사천강까지 약 11km에 달하는 주저항선에서 중공군 2개 사단과 목숨을 건 영토쟁탈전을 펼친 것이 바로 ‘장단·사천강 지구전투’ 이다.

 

한 치의 땅도 빼앗길 수 없다는 일념으로 해병대 1개 연대가 중공군 2개 사단을 격퇴한 것이다.
제1차부터 4차까지 나눌 만큼 장기간의 치열한 전투에서 해병대는 적의 모든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내고 수도 서울을 지키는 눈부신 성과를 이뤄냈다.
제1차 전투에서는 병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파주시 장단면 사천강 일대에서 연대장 김동하 대령을 필두로 중공군의 2차례에 걸친 기습공격과 3회에 걸친 야간 공격을 막아 내며 본격적인 전투의 시작을 승리로 장식했다. 이후 김석범 대령이 1연대장으로 보직한 이후 ‘공격이 최선의 방어이다’라는 전술로 적 대대규모의 공격을 역습으로 격퇴하며 2차 전투에서도 승리를 거두었다.
중공군의 역습을 성공적으로 막아내자 해병대는 수도권 방어 임무의 중요성과 그 적임자로의 역할을 인정받는다. 해병대 제1연대가 제1전투단으로 재편성되며 공병중대, 전차중대 등이 보강되었고 제3차 전투에서 중공군의 공격을 유인 역습작전으로 또 한번 막아내는 전공을 세운다. 이후 4차 전투에서는 통영상륙작전의 영웅인 김성은 대령이 지휘권을 인계받아 중공군의 2차 공세의 전면공격을 막아내며 적의 전투의지를 상실시키고, 이 기회를 이용해 최대의 반격작전을 가해 큰 성과를 거둔다.
수도권 일대를 성공적으로 방어해낸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에서 해병대는 전사 776명, 부상 1938명의 희생을 치렀다. 하지만
우리 해병대는 중공군에게 14,017명의 전사자, 11,011명의 부상자 수에서 알 수 있듯 큰타격을 주며 현재의 서부전선과 수도 서울을 지켜낼 수 있었다. 이에 해병대는 당시 이승만 대통령으로부터 부대 표창은 물론 대한민국 국회로부터 감사장을 수여받는 등 그 전공을 인정받는다. 명실 공히 ‘무적해병’의 통을 이어가며 국민들의 신뢰를 한 몸에 받게 된 것이다.
그리고 57년이 지난 2010년 10월 16일 경기도 파주시 전공 선양비 일대에서 ‘장단·사천강 지구 전투’ 전승행사가 개최됐다. 이 행사는 이제는 노병이 된 당시 출전 장병들의 공적과 명예를 높이고, 희생된 전몰장병들의 희생을 추모하기 위한 지역 안보행사로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해병대 부사령관과 해병대전우회 중앙회 총재, 파주시장 등 주요 인사,해병대 장병 6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전승 추모행사와 더불어 도라산 파로비 참배식 또한 함께 진행됐다.

rokmc37_013.jpg

“형님. 아우가 왔습니다. 형님”
반세기가 넘는 시간이 흘렀지만 먼저 세상을 떠난 형님을 목 놓아 부르는 노신사의 모습에 참가자 모두는 57년 전 그들이 흘린 피의의미를 생각하며 숙연해졌다.
추모행사가 끝난 뒤 파주개성인삼축제에서는 안보체험관을 운영하여 전투식량 등을 시민들에게 나눠주고 페이스페인팅을 해주며 국민과 함께하는 해병대의 위상을 높였다.
특히 주무대에서 열린 해병대 군악대 공연과 의장대 시범은 국민들에게 60년 전 나라를 지킨 해병대가 여전히 든든하게 그들을 지키고 있음을 알려주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해병대지 37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