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6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田家詞(전가사)

 

姜瑋(강위, 1820~1884)

 

暮入晨還出(모입신환출)

밤중에 들어와 신새벽에 또 나가니

 

乳眠常齁齁(유면상후후)

젖먹이는 항상 색색거리며 자고있다

 

作得一年農(작득일년농)

일 년 농사 끝내어 추수하고 나니

 

峽兒啼避父(협아제피부)

산골 아이는 울며 제 아비를 피한다

 

 

전깃불은 물론이고 호롱불도 없을 때의 이야기다. 꼭 필요할 때면 관솔불을 켰다. 관솔이란 송진이 엉긴 가지나 옹이다. 하루종일 일을 하느라 새벽에 나갔다가 밤중에 돌아오니 농사꾼이 집안에 있을 때면 아이들은 잠들어 있게 마련이다. 추수를 하고 나서야 비로소 약간 한가해진다. 모처럼 밝을 때 집에 들어가니 젖먹이 아이는 제 아버지가 낯설어 울면서 피한다. 어느 정도 과장이 섞였다 해도 이것이 불과 150년 전 우리 농민의 모습이다. 자작농 보다 소작농이 많았던 그 시절, 농민의 고단함을 담담하게 그린 시다. 강위는 중인 출신으로 추사 김정희의 제자다. 당대의 지식인이라 할 수 있겠다.

*():, 젖먹이 아이, 峽兒는 공통으로 농부의 아이를 가리킴. *齁齁(후후):후는 코를 골다, 후후는 코 고는 소리. *():두메, 산골. 한시연구가 이은영


TAG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은영의 한시산책을 연재합니다. file 운영자 2011.02.20 69082
72 (도자)기와장이 - 매요신 배나온슈퍼맨 2012.11.12 7161
71 三五七言(삼오칠언)357언 배나온슈퍼맨 2013.02.14 60551
70 偶吟(우음) - 양팽손 배나온슈퍼맨 2012.08.25 2117
69 入宋船上(입송선상) 송나라 가는 배에서 - 최사제 운영자 2012.11.11 6638
68 冬夜(동야 - 황경인 운영자 2011.06.10 1894
67 冬夜(동야) - 黃景仁(황경인) 운영자 2011.04.28 3727
66 友人會宿(우인회숙) - 이백 이은영 2011.03.26 5313
65 友人會宿(우인회숙) - 이백 운영자 2011.04.06 3134
64 夏日卽事(하일즉사) -이규보 배나온슈퍼맨 2011.08.01 4812
63 夏日山中 (하일산중) 이은영 2011.02.20 3443
62 對酒(대주) - 백거이 이은영 2011.03.26 6043
61 對酒(대주)- 백거이 운영자 2011.04.06 4675
60 山中雪夜(산중설야) - 李齊賢(이제현) 운영자 2011.04.28 3378
59 山晝(산주) 산 속의 한낮 - 한용운 운영자 2013.02.07 59791
58 山行(산행) - 두목 이은영 2011.03.26 6464
57 山響齋(산향재) - 강세황 배나온슈퍼맨 2012.11.13 58086
56 從軍行(종군행) 종군의 노래 배나온슈퍼맨 2013.02.14 60542
55 從軍行(종군행) 종군의 노래 - 왕창령 운영자 2013.01.03 60515
54 悟道頌(오도송) - 만해 한용운 운영자 2011.04.28 4713
53 憤怨(분원)분하고 원통하니 - 거인 운영자 2012.11.11 676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