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실패 잊었나

 

<뉴데일리 전경웅기자>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적 구습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여론의 뭇매가 쏟아지고 있다. 그중에도 특히 좌파 진영 단체와 매체들이 앞장섰다. 벌떼처럼 달려들어,  해병대를 물고 뜯고 할퀴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18일 국방부는 장관 주재 하에 열린 토론회에서 해병대 군기사고 및 가혹행위와 관련해 ‘제명조치’를 포함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조치를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명조치’란 ‘빨간 명찰’을 빼앗아 더 이상 해병대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지원병으로 구성된 해병대에게 ‘빨간 명찰’은 美해병대의 상징인 ‘Semper Pi(충성)’ 만큼이나 소중한 전통이다. 가혹행위를 하는 해병은 ‘기수열외’가 아니라 ‘해병대 열외’를 시키겠다는 게 군 수뇌부의 의지다.

군 수뇌부는 또한 장관 지시로 병 상호 간의 지시범위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 행동강령은 지휘자(병 분대장, 조장)이외의 병 상호관계는 명령복종 관계가 아니며 병의 계급은 상호 서열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휘자(병 분대장, 조장)를 제외한 병 상호간에는 명령, 지시를 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또한 구타·가혹행위, 인격모독(폭언, 모욕) 및 집단따돌림, 性군기 위반행위는 어떠한 경우에도 금지한다고 밝혔다.

이를 어기다 적발되면 관련자 모두를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폭행을 했을 때는 당사자 간 합의가 이뤄져도 처벌하겠다고 한다. 군 안팎에서는 군 수뇌부의 의지에 수긍하면서도 ‘토론회와 장관 지시만으로 군 내부 문제가 해결될까’라는 의문도 갖고 있다. 군을 잘 아는 이들은 ‘가장 중요한 건 지휘부의 의지’라며 ‘한 번 지켜보자’고 말한다. 해병대뿐만 아니라 타 군, 심지어는 전경에도 있는 ‘병사 간 가혹행위’는 30년의 노력으로도 쉽게 고쳐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좌파 진영 단체와 매체들은 ‘군 수뇌부가 짜고 치는 게임을 하고 있다’며 성토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이번 토론회도 그렇고 해병대 총기사고 현장검증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다. 왜 진짜 전문가인 군 인권단체를 조사에 포함시키지 않느냐’며 날을 세웠다.

‘진짜 전문가’라니? 이게 무슨 소리인가.
좌파 진영이 ‘전문가’라고 내세운 단체는 ‘군인권센터’였다.
군인권센터는 2009년 12월 3일 출범한 단체다. 소장은 임태훈 씨. 임 소장은 센터 출범 당시 “군대는 지금까지 억압적인 문화 때문에 인권침해가 자주 벌어졌으나, 군대야말로 헌법을 수호하는 힘을 가진 기관으로 인권 수호의 첨병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센터 홈페이지에는 ‘군대 내에서 유엔이 채택한 세계인권선언과 국회가 비준한 국제인권법이 구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단체의 목적을 밝히고 있다.

군대 내 인권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전투력 강화의 전제조건은 ‘장병 상호 간의 신뢰와 존중’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군대 생활의 특성 또한 잘 이해해야 조직기강을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악습’을 없앨 수 있다.

그렇다면 '군인권센터' 소장은 군대 생활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 분’일까. 군인권센터 홈페이지에 있는 임 소장의 약력은 이랬다.

임 소장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동성애자인권연대 대표를 지냈다. 2000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홍석천의 커밍아웃을 지지하는 모임 집행위원, 2001년부터 2002년까지는 인터넷 국가검열반대 공동대책위 공동대표를 지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성적소수자(동성애자) 그룹 대표를 맡았다.
2004년에는 병역거부로 실형을 선고받고 1년 6개월 동안 복역했다고 한다. 이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여성의 전화 상담위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광우병국민대책회의 인권법률의료지원팀장, 지금은 국가인권위 전문상담위원을 맡고 있다고 한다. 노무현 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하며 기밀 열람도 했다고 한다.

이 센터가 군 생활을 하는 이들을 위해 하는 일이라는 것도 입영 예비자에게 인권교육을 하고, 인권침해에 대응할 수 있는 사항을 적은 ‘인권카드’를 발급하며 군대 정책을 모니터링 하는 게 주된 일이란다. 좌파 진영은 이런 단체가 ‘해병대 총기사고를 포함한 군기사고를 수사당국과 함께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예비역들에게 묻고 싶다. 이런 단체가 군 사고현장 조사에 참여하는 것을 찬성하십니까?

해병대를 잘 아는 이들은 이번 사고 원인 중 하나로 ‘해병대가 해안 경계임무를 맡고 있는 것’을 꼽는다. 전략기동군인 해병대는 특성상 세계 어느 나라든 ‘거친 사내’들이 몰려든다. 이들이 최상의 전투력을 발휘하고 전우 간에 신뢰와 존중을 가지려면 강한 훈련으로 단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 해병 2사단은 김포와 강화도 일대 작은 소초에서 몇 달 씩 갇혀 해안만 바라보고 있다. ‘거친 사내’들이 그 ‘야성’을 뿜어 낼 일이 없으니 문제가 생길 수밖에.

지금 좌파 진영 단체와 매체들은  군 특유의 특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은 제쳐두고 오로지 ‘인권’과 ‘평등’만 내세우고 있다. 만약 이들 마음대로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노무현 정권 시절 있었던 ‘병영문화개선위원회’를 예로 들어보자. 당시 위원회는 ‘웃음벨(내무반 입구에 벨을 설치해 이것을 누르면 내무반 장병들은 무조건 웃어야 함)’ 등 해괴한 시스템을 만들어 장병들을 정신적으로 괴롭히기도 했다. 결국 이 ‘위원회’는 별 다른 성과 없이 해체됐다.

좌파 진영이 만든 ‘위원회’가 만약 제대로 성과를 올렸다면 이번 해병대 총기사고나 자살을 부른 가혹행위는 일찌감치 사라졌어야 한다. 그럼에도 좌파 진영은 이번에는 동성애자 권익 옹호활동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다 구속된 사람을 전면에 내세워 해병대를 조롱하고 있다. 

군 수뇌부에게는 해병대를 진정한 전략기동군으로 육성하고 해안 경계 임부는 육군에게 부여하는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개혁안 마련에 심혈을 기울여 줄 것을 주문한다.

좌파 단체와 매체들에게는 자랑스런 대한민국 해병대를 더 이상 모욕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1.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공격하는 좌파진영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 2사단 해안경계소초에서 총기사고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해병대의 관행...
    Date2011.07.20 Views2915
    Read More
  2.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편집자에게] 해병대에서 빨간 명찰을 뗀다는 것은 강신길 한국해양수산연수원장·해병대 예비역 준장 요즘 '귀신 잡는 해병대'가 '전우 잡는 해병대'가 되었다는 언론의 질책에 해병대 예비역 장성의 일원으로 몸 둘 ...
    Date2011.07.20 Views3858
    Read More
  3. No Image

    동성애자까지 나서 해병대를 모욕하지 말라

    [기자수첩] 해병대를 공격하는 좌파진영 ‘자칭 군인권단체’, 해병대 사고 조사에 끼워 달라 주장 해병대 군기사고의 원인은 ‘전략기동군’에게 육군 임무 맡긴 때문 좌파 진영, 盧정권 시절 '병영문화개선위원회' 실패...
    Date2011.07.19 Views2264
    Read More
  4. “그래도 용맹 해병대는 사랑 받아야 한다!”

    해병대를 위한 변명 그리고 고언 지난 4일 강화도 해병부대에서 가혹행위로 인해 김 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4명의 해병대원이 목숨을 잃었다. 불과 일주일만인 10일 포항의 해병대 1사단에서 정모 일병이 가혹행위...
    Date2011.07.19 Views2131
    Read More
  5. 상륙작전에 정통한 장교로 첫걸음

    김규태 소위 / 해군5전단 생도생활을 마치고 해군 장교로서 실무에 배치되자마자 2011년 연대급 합동상륙훈련 상황장교로 파견을 가게 됐다. 상륙작전이라고는 생도 시절 군사학 과목으로 잠깐, 그리고 초군반 성분작...
    Date2011.07.17 Views3987
    Read More
  6. 황석영 작가가 해병대 후배들에게…다시 전우를 생각한다

    <서울신문 7/16 8면> 요즈음 해병대에서 일어난 몇 차례의 군기 사고에 대하여 너무도 뻔하고 상투적인 여론이 들끓는 것을 보며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다. 나는 한국의 젊은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병역의 ...
    Date2011.07.17 Views3539
    Read More
  7. 진화의 시계가 정지된 해병대 / 김종대

    김종대 <디앤디포커스> 편집장 생물이 유전자를 통해 자신을 복제하듯이 인간 집단도 자신의 문화를 후대로 전승한다. 이러한 집단의 유전자를 사회생물학에서는 ‘밈’(Meme)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집단과 구별...
    Date2011.07.17 Views2751
    Read More
  8. No Image

    해병대 때리는 언론을 네티즌이 때린다

    몽상한 문사들의 횡포에 우직한 무사들 반발 방송의 해병대 죽이기가 집요하게 반복되는 게 아닌가 의심되는 가운데 네티즌들은 반송에 비판적이다. 14일 "유낙준 해병대사령관은 12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만나 ‘책...
    Date2011.07.16 Views4856
    Read More
  9. [설왕설래] 해병대

    無敵海兵(무적해병)’,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최초로 써준 휘호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6월 해병 제1연대가 17일 만에 강원도 양구의 도솔산을 점령한 공로다. 이때부터 해병은 무적해병으로 통했다. ‘귀신 잡...
    Date2011.07.14 Views2728
    Read More
  10. 강한 훈련으로 무적해병의 명성을/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 지난 한주 해병2사단 총기사건으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졌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낭보가 아니었더라면 며칠 더 뉴스의 앞머리를 장식했을지 모른다. 동료 전우 4명의 목숨을 앗...
    Date2011.07.12 Views4769
    Read More
  11. ‘영원한 해병’의 위기- 방형남(동아닷컴)

    해병부대 총기 사건은 지난달 말 정년퇴직한 선배가 남긴 말을 다시 떠올리게 한다. 그는 논설위원 동료들과 석별의 정을 나 누는 자리에서 “군과 검경(檢警)은 비판을 할 때도 밑바탕에 애정을 깔고 바라봐야 한다”...
    Date2011.07.10 Views2629
    Read More
  12. No Image

    우리를 돌아보는 계기입니다.

    유용원의 군사세계 sealhur 님의 게시글 제대한지 30년이 되어 가지만 마음은 아직도 현역이란 생각에서 벗어나질 못합니다. 해병대란 이렇게 강한 중독과 향수를 갖게하는 거겠죠. 언론에서 말하는대로 배타적이고 ...
    Date2011.07.08 Views1910
    Read More
  13. No Image

    深度 있는 조사로 해병대 병영 바꿀 것 집어내라 - 조선일보 사설

    해병대 2사단의 강화도 해안 소초 생활관(내무반)에서 근무하던 김모 상병이 총기를 난사해 부대원 4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했다. 지난 2005년 6월 경기 연천군 육군 28사단 최전방 초소(GP)에서 김모 일병이 수류탄...
    Date2011.07.06 Views2505
    Read More
  14. No Image

    <연합시론> `군기 빠진' 해병대, 강군으로 거듭나야

    (서울=연합뉴스) 우리 군의 최정예로 꼽히는 해병대가 흔들리고 있다. 군기가 풀렸다는 징후가 꼬리를 물더니 급기야 병사 4명이 죽고 2명이 다치는 총기난사 사건이 터졌다. 해병대에서 이런 총기 사건이 난 것은 사...
    Date2011.07.05 Views2399
    Read More
  15. No Image

    ‘해병대 정신’ 다시 세우라 - 문화일보 사설

    강화도 해병대 해안 소초에서 4일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김정일의 잦은 도발에 맞서며 서해영토를 지켜온 해병대에서 병사 4명이 동료 사병의 총기난사로 숨진 사건은 1990년대 ...
    Date2011.07.05 Views248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