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자 : 해병대교훈단 전술학과장 채수항 해병소령

  우리 교육훈련단에서는 올해부터 초군 및 초급반 교육생을 대상으로 전투실상을 간접적으로 체험키 위한 KCTC체험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KCTC체험훈련이란 KCTC훈련을 대비하여 전장실상을 체험하고 지형 및 장비사용법을 숙달하는 훈련으로 KCTC훈련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KCTC 체험훈련은 1박 2일 일정으로 장비소개, 섬멸전, 체험훈련, 영현체험 순으로 진행되며, KCTC체험훈련을 통하여 실전적인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훈련을 위해 KCTC체험훈련장에 대한 지형정찰을 실시 후, 세부 훈련계획을 수립하였다. 훈련 2주 전에는 분소대 기동 훈련장에서 협조된 공격과 지휘통제훈련을, 1주 전에는 훈련장과 유사한 급경사 지형에서 조교를 대항군으로 운용하여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나름대로 세부적으로 준비를 하였으나, KCTC체험 훈련장에 도착한 첫날 교육생들은 모두가 당황스러워하였다. 그것은 사진과 도상으로 보았던 지형보다 급경사이고, 기동로 또한 제한되는 실지형을 보았기 때문이다. 교육생들은 방탄조끼를 착용한 단독무장으로 지형정찰을 실시하면서, 2참호 부터는 손으로 나무를 잡고 올라가기에 급급했다. 교육생들에게 수십번이나 강조하였던 체력단련의 중요성을 스스로 체험하게 하였다. 
  이튿날 우리는 KCTC체험훈련장에서 대항군이 방어하는 진지에 대하여 공격을 실시하였다. 공격개시선을 통과한 교육생들은 훈련한대로 은폐 및 엄폐하 상호 사격지원으로 순탄하게 기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1참호를 통과한 교육생들의 공격기동 속도는 점점 둔화되었고, 2참호에서는 전문 대항군에 의해 대부분이 돈좌되거나 전사상자로 처리 되었다. 그리고 훈련장의 대형스피커에서 들리는 전장소음은 교육생들의 지휘통제를 더욱 제한하였고, 결국 3참호까지 도달한 교육생은 15%에 지나지 않았다. 강원도의 낮은 야산에 불과한 체험훈련장에서의 체험훈련을 통하여 우리는 다음과 같이 값진 3가지의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험준한 지형에서 공격기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인한 체력이 필요하다. 급경사의 산악지형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공격기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인한 체력을 길러야한다는 것이다. 평소 구보, 산악기동훈련 등을 실시하였지만 실전장에서는 사격과 기동을 병행해야하므로 더욱 강인한 체력이 필요하다. 우리의 주적인 북한은 험준한 산악지형이 대부분임을 고려할 때 강인한 체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둘째, 상호 식별이 제한되는 전장환경에서 원활한 지휘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녹음이 우거진 숲, 능선과 계속사이의 시계가 제한된 사각지역 등에서 원활한 지휘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부대가 고립되거나 상호 협조된 사격과 기동이 이루어 질 수 없다. 또한 전장소음으로 인한 육성, 통신기사용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약정된 신호와 완수신호를 혼용하여야 한다.
  셋째, 적을 상정한 실전적인 교육훈련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KCTC체험훈련시 대항군 운용으로 교육생들에게 적극적인 훈련참가를 유도할 수 있었다. 대항군에게 피해를 받지 않기 위해 교육생들은 생존 본능이 살아나면서 급경사 지형을 원활히 극복하였고, 가시밭을 포복전진하거나, 은폐 및 엄폐지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였다. 대항군을 운용하지 않았다면 가시덤불이나 위험한 지형을 회피하였거나, 안전한 곳 위주로 기동하여 대부분이 전멸 당하였을 것이다.
  비록 반나절의 짧은 KCTC체험훈련이지만 우리 해병대 교육훈련단 간부교육생들에게 실전적인 체험을 느끼게 해준 소중한 경험이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생들에게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여 교육계획에 반영시킬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KCTC체험훈련을 아낌없이 지원해준 KCTC관계관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를 드리며, 우리 교육생들은 이러한 훈련경험을 통하여 실무에서도 전장감각을 잊지 않고, 훌륭한 지휘자로서 임무를 충실히 해주리라 믿는다.

TAG •

  1. 군에서 인생목표 구체화

    2008년 8월 29일(금) 국방일보 3면
    Date2010.08.10 Views3027
    Read More
  2. 역시 무적해병이다 - 이형균

    이형균 인하대 객원교수·전 경향신문 편집국장 얼마 전 강원도 홍천에 있는 과학전투훈련장(KCTC)에서 해병대가 치열한 전투 끝에 3참호 진입에 성공했다는 뉴스를 접했다. 7월 3일부터 3일간 진행된 전쟁체험훈련에...
    Date2010.08.05 Views3937
    Read More
  3. No Image

    뜨거운 열정을 가진 스승이 되자

    기고문 - 교육단 정훈 올해도 스승의 날은 어김없이 찾아왔고, 잠시나마 잊고 지냈던 스승님에 대한 고마움을 되돌아 보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는 학창시절 인생의 구심점이 되어주신 선생님을 기억하고, 존경해오고 ...
    Date2010.07.30 Views3163
    Read More
  4. No Image

    KCTC체험훈련을 통해 얻은 교훈

    기고자 : 해병대교훈단 전술학과장 채수항 해병소령 우리 교육훈련단에서는 올해부터 초군 및 초급반 교육생을 대상으로 전투실상을 간접적으로 체험키 위한 KCTC체험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KCTC체험훈련이란 KCTC훈...
    Date2010.07.30 Views2810
    Read More
  5. 해병대 장병 정신전력 강화방안(국가관 확립을 중심으로)

    2008년 해병대 군사학술용역 연구과제 해병대 장병 정신전력 강화방안 (국가관 확립을 중심으로) 해병대 전략 연구소 연구관 박창규 ■ 연구관 주요 경력 ○ 1974. 5.11 해병학교 54기 임관 ○ 1987. 2 연세대학교 언론 ...
    Date2010.07.27 Views8104
    Read More
  6. No Image

    군복입은 작은 영웅

    상병 이영하 (해병대사령부) 조국이 어려움에 부닥친 순간 자신의모 든것을 버리고 혼신의 힘을 다해 조국을 지켜내는 용감하고 위대한 사람들이 있다. 우리는 그들을‘영웅’이라 부른다. 그리고 평범한 우리는그 들을...
    Date2010.07.18 Views3005
    Read More
  7. 대화는 우리를 하나로 묶는다 - 이용호

    말을 이루는데는세가지요소가필요합니다. 먼저말에는‘뜻’ ‘의미’가 있어야하고, 그 의미를담아내는 그릇인 ‘모양’이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말의 뜻과모양을 표현하는 ‘소리’가 있어야 합니다. 혼자 있으면서 중...
    Date2010.07.17 Views3346
    Read More
  8. 백령도의 해병용사들 - 조선희

    최근 들어 북한의 도발로 인해백령도·연평도등, 서해5도의 긴장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것을 보면서 필자는 1997년백령도를지키고있는 무적해병 흑룡부대를 방문했던 기억이 되살아났다. 날씨 관계로 인천부두...
    Date2010.07.17 Views3153
    Read More
  9. 최북단섬 백령도 (조선일보)

    [조선일보 DMZ 속으로] [9] 北이 더 가까운 최북단 섬 백령도를 가다. 지하엔 미로 같은 갱도… 해변엔 용치(적 군함 접안 막는 쇠막대)… 섬 전체가 요새(要塞) 선창(船窓) 바깥 사납게 요동치는 너울 위로 대오(隊伍)...
    Date2010.06.26 Views3096
    Read More
  10. 4월 15일은 국민축제일이 되어야 한다.

    예비역 해병대령 양해범 1592년 3월 27일 남해안 시전리앞 바닷가에 수많은 인파가 인산인해를 이루며 바다를향해 함성을 울리며 손을 흔들어 대고 있었다. 푸른 바다엔 둥구런 괴물 하나가 하얀 연기를 뿜어대며 힘...
    Date2010.06.26 Views3101
    Read More
  11. 36년전 내가 해병대에 입대한 날 (상)

    남문기 / 미국뉴스타 대표이사 내가 쓴 ‘잘하겠습니다’를 우연히 읽다가 생각이 나서 옮겨본다. “엄마, 3,000원만 주세요.” 1974년 1월 7일, 나는 동네 슈퍼마켓에라도 다녀오는 사람처럼 어머니가 건네준 3,000원을 ...
    Date2010.06.20 Views3726
    Read More
  12. 21세기 전쟁수행 개념에 따른 한국해병대의 발전 방향

    21세기 전쟁수행 개념에 따른 한국 해병대의 발전 방향 - 정규성(자유기고가) 최근까지 한국군은 걸프전의 교훈을 한반도 특성에 맞게 적용하여 많은 전략, 작전술 개념을 혁신시켜 왔다. 불과 2년전까지만 해도 입체...
    Date2010.06.20 Views6490
    Read More
  13. 해병대가 영구히 존속하려면 제4군이 되려는 꿈은 버려야 한다

    김윤근(金潤根):만주 육군군관학교 제6기생(45년) 광복 후: 해사졸, 미국 해병대학졸, 연세대 경상대학원졸, 해병사 군수국장, 해병1상륙사 참모장, 수도방위 사령관, 5·16쿠데타 주역으로 국가재건 최고회의 교통체...
    Date2010.06.19 Views2596
    Read More
  14.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아름답다

    해병대교육훈련단 인행처 원사 임종수 1978년 해병대입대(부사관 135기) 2004년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졸업 2006년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취득 2008년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양성평등사회로 ...
    Date2010.06.19 Views3351
    Read More
  15. No Image

    해병의기도

    해병대 제9118부대 중령 이희복 (출처 : 월간<국방119> 1999년 12월호, p81.) 빗소리마저도 외롭고 적막하고 싸늘한 가슴을 더욱 절박하게 하는 칠흙 같은 적지의 밤 소리없는 해병의 투혼 이따금 항고와 무장 부딪히...
    Date2010.06.14 Views30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