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보 2011년 12월호]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untitled-36.jpg

국군조직법 개정법률

 

국군조직법에 따르면, 우리 군은 육군·해군·공군의 3군으로 조직되고, 해병대는 해군 소속이다. 해병대의 지휘·감독 권한도 해군참모총장의 권한이고, 그 권한의 일부를 해군규정 등 내부규정을 통하여 해병대사령관에게 위임하고 있었다.
즉, 해병대에 대한 지휘·감독을 일부는 해군참모총장이, 일부는 해병대사령관이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해병대를 지휘·감독함에 있어서 해병대사령관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고, 그 결과 해병대가 군사력 건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아 법률의 개정이 논의되었으며, 논란 끝에 국회 국방위원회는 해병대의 손을 들어주었다.
법률이 해병대의 독자적인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는데, 첫째, 해병대의 주임무가 ‘상륙작전’임을 각군의 임무를 규정한 제3조에 규정하였고, 둘째, 해병대에 대한 지휘·감독은 해병대사령관을 통해서만 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해병대사령관이 현재 합동참모회의의 배석자 지위에서 각군참모총장과 같이 당연직 구성원으로 격상되었다.

 

해병대의 주임무는 상륙작전

 

untitled-37.jpg 지난 2010년 10월 28일 백령도에서 실시된 서북도서 방어훈련. 육군 헬기를 타고 백령도 사곶해안에 착륙한 해병대원들이 목표지점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 개정 법률안은 몇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해병대의 주임무가 ‘상륙작전’임을 제3조에 규정하였다는 것이다. 이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겠으나, 상륙작전을 위해서 조직되고 존재하는 것이 해병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상륙작전은 해병대의 명실상부한 임무라 하겠으나, 해군의 입장도 만만찮다.
상륙작전의 태생적 본질은 바다를 기반으로 하는 해군작전이고, 호위함정·상륙함정 등 장비의 상당부분을 해군이 지원하고 있으며, 상륙작전의 수행에는 여러 단계를 거치는데, 상륙작전의 전 과정은 해군이 주도하고 해병대는 그 마지막 단계인 ‘상륙군’의 핵심역할을 수행할 뿐이라는 것이다.
또한, 앞으로 상륙작전에 필요한 장비(예, 독도함) 등을 해군에서 해병대로 전부 이관하여야 하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해병대의 권한과 독립성 강화도 중요하지만, 해군과 긴밀한 협력과 합동성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고심 끝에 해병대의 주임무를 상륙작전으로 규정하되,1) 해군의 주임무에도 ‘상륙작전’이 제외되지 않았음을 명백히 한다는 의미에서 ‘상륙작전을 포함한 해상작전’으로 규정하도록 타협안이 마련되었다.
둘째, 국방부 및 해군 그리고 국방위원 상당수가 당초 개정안에 반대의 입장이었음에도 이를 극복하고 개정안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합리적인 타협안을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이 법률안은 여·야 의원들이 각각 대표발의(한나라당 정미경 의원, 민주당 신학용 의원) 하였는데, 해병대를 육군·해군·공군 외 제4군 체제로 전환하려는 내용2) 등 몇 가지 시각차가 있었으나, 기본적으로 공통분모가 많아 절충안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셋째, 이 개정 법률안이 가지는 또 다른 의미는 ‘귀신잡는’ 해병에게 최근 연평도 포격, 해병대 2사단 ‘기수열외’, ‘총기사고’ 등 명예스럽지 못한 일들이 다수 발생한 것이 해병대에게 지나치게 무리한 과업3)을 떠맡기면서, 오로지 “악으로 깡으로” 버틸 것을 강요하며,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증강에 대하여는 외면한 탓이 아닌가 하는 반성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이 법률의 개정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1.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회보 2011년 12월호]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군조직법 개정법률 국군조직법에 따르면, 우리 군은 육군·해군·공군의 3군으로 조직되고, 해병대는 해군 소속이다. 해병대의 지휘·감독 권한도 해...
    Date2011.12.10 Views3030
    Read More
  2. No Image

    [야고부] 해병대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해병대가 부각되는 것 같지만, 과거에는 이보다 훨씬 더했다. 타군과는 차별적인 복장과 두발, 군기 때문만이 아니다. 해병대는 역사적 격변기마다 등장해 뉴스의 초점이 돼왔다. 6`25전쟁과 월...
    Date2011.11.27 Views3484
    Read More
  3. 아직 숙제가 많은 해병대 - 유용원

    조선일보 입력 : 2011.11.22 23:02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국가 전략기동부대로는 육군 1개 기동군단보다 해병대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난 1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제11회 해병대 발전 국제 ...
    Date2011.11.25 Views2890
    Read More
  4. 절치부심의 1년 “우리는 준비됐다”

    서봉수 중령 해병대연평부대 포병대대장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師)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한 ...
    Date2011.11.22 Views42470
    Read More
  5. <리뷰> 北 연평도 포격도발 1년

    연이은 평화 깬 도발에 우린 이겼고, 또 이기리라 / 국방일보 2011.11.22 해병대 연평부대 K-9 자주포가 지난해 11월 23일 북한의 포격도발 직전 해상 목표물을 향해 포탄을 발사하고 있다. 국방일보 DB 대한민국 영...
    Date2011.11.21 Views4267
    Read More
  6. <르포> 北 포격도발 1년… 연평도를 가다

    각종 시설 새로 교체… 상흔 일부 간직 K-9·벌컨포 배치 등 전력 대폭 강화 / 국방일보 지금도 남아 있는 북한의 기습포격 피해 현장. 연평도 포격전 전승기념관(위). 7중대 포상(아래) 해병대 연평부대 장병들이 가상...
    Date2011.11.21 Views2351
    Read More
  7. 해병 1000명 증강… 방어작전서 도발지 응징 거점으로

    서북도서 전력 어떻게 바꿨나 / 서울신문 “단 한 뼘의 영토, 풀 한 포기도 내줄 수 없다.” 북한의 연평도 포격 1주년(23일)을 앞두고 김관진 국방장관이 18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1주년에 즈음하여’라는 제목의...
    Date2011.11.19 Views3287
    Read More
  8. 공부의 신이 말하는 수능 공략법

    구본석 일병 / 해병대6여단 마라톤을 포함한 모든 육상 경기를 보면 기본적으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막판 스퍼트다. 각 선수는 자기 페이스를 조절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필사적으로 달리지 않는다....
    Date2011.11.10 Views2771
    Read More
  9. No Image

    [스크랩] 해병대 여러분께 드리는 글

    저는 현역 육군 대위(포병)으로서 현재 일본에서 유학중인 사람입니다. 현역인 관계로 성명과 소속을 밝히지 못 한점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한동안 떠들석했던 특수전 계시판이 잠시 소강상태에 들어간것 처럼 느껴지...
    Date2011.11.07 Views2752
    Read More
  10. 해군·해병대, 상륙 기동헬기 운용권 갈등

    입체적 상륙작전에 꼭 필요, 2016년까지 40대 도입 예정… 해군 "한대도 넘길 수 없다" <조선일보 유용원기자> 해병대사령부가 모체(母體)가 된 서방사 창설의 가장 큰 취지 중 하나는 지난해 11월 북한의 연평도 포격...
    Date2011.11.01 Views2748
    Read More
  11. 소중한 인연 그리고 해병대 

    병영문화 혁신의 생활화·신념화 해병대교육훈련단 장병 소감문 / 국방일보 2011.10.25 김영삼병장 사람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이 있다. 군대는 전국 방방곡곡에서 이름도 얼굴도 처음 보는 사람들이 모여 동...
    Date2011.10.24 Views3736
    Read More
  12. 해병대 지휘관리 개선 법안 시행 - 보도자료

    - 해군 소위가 해병소위로 임관, 해병대 사령관 명의의 전역증 발급 - 합동참모회의에 해병대 관련 사항 심의 시 해병대사령관도 구성원으로 투표권 행사 - 해병대 복무기록 정본, 38년 만에 해병대사령부로 이관 ❍ ...
    Date2011.10.14 Views3466
    Read More
  13. 헬기타고 백령도 해병대 국감장에 가보니....

    해병대사령관, 해군본부 국감 배석하다 단독국감받아 뿌듯 해병대 인사ㆍ예산 독립 강화 속 “아직은 갈 길 멀다”목소리 천안함 46용사가 심청이처럼 부활해 남북화합의 연꽃이 된다면… 4일 오전 백령도 해병대 제6여...
    Date2011.10.05 Views3240
    Read More
  14. 강한 국군 그리고 더 큰 대한민국

    김상민 이병 해병대2사단 포병연대 빨간 날만이 특별한 날처럼 여겨지는 요즘 검은 날이지만 나에겐 특별한 10월의 첫째 날을 생각해본다. 2011년 10월 1일은 건군 제63주년 대한민국 국군의 날로 6·25전쟁 당시 전쟁...
    Date2011.09.29 Views1656
    Read More
  15. 지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나?

    해병대가 6·25전쟁, 월남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얻은 명성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것이 아니다. 창설 이후 60년 동안 수없이 많은 역경에서도 오늘이 있기까지 우리 선배들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천안...
    Date2011.09.22 Views340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