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리포트 / 국방일보 2012.03.07

 

37908.jpg

전광호 영국 센트럴 랑카셔
대학교 교수·아태지역학 대학원장

 

우리 군은 분명히 강군이다. 규모로 보나 훈련 내용으로 보나 세계적 강군이라 자부해도 손색이 없다. 물론 세계에는 우리보다 더 강한 군대도 있다. 미국도 그렇고 부상하는 중국도 군사 강국이다. 그리고 비록 소군이지만 영국군도 프랑스군도 유럽을 대표하는 강군이다.

 영국의 국방대학교에는 각국에서 파견된 연락장교들이 있다. 많은 수는 아니지만 주로 나토의 주축 국가들이 연락장교를 파견하곤 했다. 프랑스는 1966년 나토를 탈퇴했다가 2009년 복귀했지만, 항시 영국 국방대에 연락장교를 상주시켰다. 필자가 영국 국방대에 근무한 4년간 프랑스 해병 중령이 연락장교로 파견돼 있었다. 그리고 프랑스도 다른 30여 개국과 마찬가지로 영국 국방대 합동지휘참모과정에 장교 3명을 매년 유학시켰는데 흥미로웠던 점은 매년 3명 모두가 해병 장교였다는 점이다. 물론 우연한 일치일 수도 있겠지만, 연락장교를 포함해 왜 매번 해병 장교들이었을까? 프랑스는 역사적으로 육군이 강한 나라다. 나폴레옹도 포병 장교 출신이었다. 이런 우연에 혹시 역사적 라이벌 의식은 없었을까? 그것이 항상 궁금했다.

 현대전에서 해병대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다. 특히 상륙전을 주요 임무로 하면서 16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시기의 해병대와는 그 의미와 중요성 자체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르다. 우선 해병대가 갖는 상징성은 영국과 같은 섬나라에는 두려움의 존재다. 물론 요즘 같으면 일단 공군력으로 제공권을 확보하고 장거리 미사일과 각종 함포사격으로 해안방어선을 무력화시키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결국 해병대가 최일선에 서서 상륙작전을 감행하리라는 것은 불문가지다. 또 육·해·공군에 편제된 각 특수부대가 저마다 역할을 다하겠지만, 어느 나라건 강한 해병대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강군을 상징하는 하나의 지표로 손색이 없다. 우리나라가 강군인 이유도 물론 3군 모두의 힘이겠지만 든든한 해병대를 갖고 있다는 것도 분명한 플러스 요인이다.

 잘 알다시피 우선 피상적으로만 따지자면 일본은 정규군을 갖고 있지 않다. 자위대가 있지만, 자위대의 장교들은 영국 국방대에 유학을 와도 군인 신분의 비자를 받고 올 수 없고 민간인 신분으로 유학을 온다. 계급도, 제복도 다 갖췄지만 당당히 ‘일본군’으로서의 지위는 전혀 가질 수 없다. 2년 전 한 학술 세미나에서 일본의 ‘보통국가화’를 주제로 일본의 저명한 학자들과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때 필자는 이렇게 말했다. “언젠가 일본도 보통국가의 지위를 가질 것이고 정규군도 보유하겠지만, 해병대와 공수부대는 절대 만들지 말아야 한다.” 그만큼 해병대는 존재감 그 자체로 큰 상징성을 가진 군이다.

 그저 필자만의 상상이겠지만 영국 국방대에 유학 오는 프랑스 해병 장교들은 어쩌면 아주 미묘한 영국과 프랑스 간의 역사적 라이벌 의식과 어떤 연관성은 없었을까? 지금도 참으로 궁금하다. 그러나 설혹 필자의 생각이 맞는다고 해도 누군들 그것을 확인해 주겠는가. 유럽 대륙에서, 적어도 서유럽에서 포성이 멎은 지는 이미 70년이 가까워 온다. 유럽 역사상 가장 긴 평화의 시기를 마음껏 만끽하고 있는 영국과 프랑스 군인들에게 필자의 궁금증은 차마 꺼내서는 안 될 금기시되는 이야기일 것이다.



  1.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해병

    특파원리포트 / 국방일보 2012.03.07 전광호 영국 센트럴 랑카셔 대학교 교수·아태지역학 대학원장 우리 군은 분명히 강군이다. 규모로 보나 훈련 내용으로 보나 세계적 강군이라 자부해도 손색이 없다. 물론 세계에...
    Date2012.03.07 Views2428
    Read More
  2. No Image

    해병대가치를 품은 나의 혁신의지

    글 / 상병 이강덕 해병대지 41호 나라 전체가 전쟁과 가난에 허덕이던 시절, 현실은 비참했지만 해병대의 병영문화만은 참으로 멋있었다는 것을 익히 들어왔다. 전쟁 속 나를 지켜주던 선임, 또 나를 지켜주던 후임. ...
    Date2012.02.27 Views3988
    Read More
  3. No Image

    혹한의 겨울에도 해병대의 가슴은 누구보다 따뜻하다!

    대위(진)허태진 / 해병대지 41호 “해병대 아저씨, 감사합니다.” 지난 12월 15일부터 16일까지 우리는 부대 인근에 있는 복지시설을 찾았다. 도솔산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몹시 바쁘게 지나갔던 해병대사령부 군악...
    Date2012.02.27 Views2705
    Read More
  4. 절치부심의 각오로 해병대 발전방향을 말한다!

    <글 대령 조강래 / 해병대지 41호> 1. 개 요 1949년 4월 15일. 380명의 병력으로 창설된 해병대는 6·25전쟁, 베트남 전쟁 등을 통하여 정예군으로 성장하였으며, 현재에도 실 전장과 가장 유사한 훈련인 과학화전투훈...
    Date2012.01.24 Views4539
    Read More
  5. 어머니께 띄우는 편지 - 권오갑

    < 권오갑 현대오일뱅크 사장> 지금으로부터 83년 전인 1929년 일입니다. 경기도 시흥이 고향인 어머니는 열일곱 살 꽃보다 아름다운 나이에 청계산을 넘어 안동 권씨가 모여 사는 판교 금토마을로 시집을 오셨습니다....
    Date2012.01.23 Views3884
    Read More
  6. 교육훈련 개혁과 병영문화 혁신 - 차동길 해병대교육훈련단장

    차동길 준장 해병대교육훈련단장 해병대는 지난 7·4 총기 사건으로 불거진 후진적 병영문화를 혁신하기 위해 지난 6개월 동안 뼈를 깎는 심정으로 노력해 왔다. 특히 해병이 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이곳, 해병...
    Date2012.01.18 Views5802
    Read More
  7. 2012년 우리는 준비됐다.

    2012년 우리는 준비됐다. / 글 중령 서봉수 전사불망 후사지사(前事不忘 後事之事)란 말이 있다. 이는 “과거의 일을 잊지 않는다면, 이후의 일도 잘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말이다. 벌써 적이 연평도 포격도발을 자행...
    Date2012.01.17 Views3555
    Read More
  8. 편지 한 통과 과자 한 봉지의 비밀

    이동후 이병 / 해병대교육훈련단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에 입대한 해병대. 해병대 특유의 남성스러움과 거친 면을 견딜 수 있을까 하는 부모님의 걱정에도 힘들고 고단했던 훈련 기간을 무사히 마치고 부푼 기대감을 ...
    Date2012.01.09 Views3615
    Read More
  9. 패러다임 전환으로 세상과 소통하다

    신홍규 대령 / 해병대 리더십센터장 지난 2010년 11월 23일은 해병대가 주둔하는 연평도에 북한군이 기습 포격도발을 해 무고한 주민들에게 큰 피해를 준 가슴 아픈 날이다. 그 아수라장의 현장에서 지휘자들은 전장 ...
    Date2012.01.03 Views3635
    Read More
  10. 2012년 새해 평소와 같은 날

    신일환 중위(진) 해병대 흑룡부대 소위로 임관한 후 14주간의 보병 초군반을 수료한 뒤 짧은 휴가를 받고, 2011년 10월 10일 백령도에 입도했다. 장교라는 신분으로 나는 62대대 6중대 1소대장이라는 직책을 맡아 씩...
    Date2012.01.01 Views3844
    Read More
  11. [김정원이 만난 사람]이호연 해병대 사령관

    “진짜 해병은 적과 싸워 이기는 것” / 충청매일 2011년 12월 25일 이호연 해병대사령관(53·해사 34기)은 유사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강인한 전투체력을 강조한다. 그래서 그는 스포츠선수들도 하기 어렵다는 철인...
    Date2011.12.27 Views4331
    Read More
  12. No Image

    병영문화 혁신의 제고

    해병대지 40호 / 중령 황용선 ○사단 7.4 총기 사망사고의 발생은 시사점이 크다. 해병대는 명예와 자부심에 큰 손상을 받았고, 군내·외적으로는 커다란 파장을 일으 켰다. 병영문화 혁신은 2000년 이전에 사고예방 및...
    Date2011.12.11 Views3777
    Read More
  13.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회보 2011년 12월호] 해병대의 권한과 사기 및 전력 증강 초점 국군조직법 개정법률 국군조직법에 따르면, 우리 군은 육군·해군·공군의 3군으로 조직되고, 해병대는 해군 소속이다. 해병대의 지휘·감독 권한도 해...
    Date2011.12.10 Views3025
    Read More
  14. No Image

    [야고부] 해병대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해병대가 부각되는 것 같지만, 과거에는 이보다 훨씬 더했다. 타군과는 차별적인 복장과 두발, 군기 때문만이 아니다. 해병대는 역사적 격변기마다 등장해 뉴스의 초점이 돼왔다. 6`25전쟁과 월...
    Date2011.11.27 Views3478
    Read More
  15. 아직 숙제가 많은 해병대 - 유용원

    조선일보 입력 : 2011.11.22 23:02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국가 전략기동부대로는 육군 1개 기동군단보다 해병대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난 17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제11회 해병대 발전 국제 ...
    Date2011.11.25 Views288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