交戰守則강화만으론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konas.net / written by 김성만(재향군인회 자문위원, 前 해군작전사령관)

  김태영 국방장관은 24일 국회 국방위 답변에서 “북한이 북방한계선(NLL) 너머로 포사격을 가해올 경우, 지상에서 하는 것과 동일하게 2~3배의 화력으로 대응할 것”이라면서, 최근 이러한 내용으로 해상 교전수칙을 개정했다고 밝혔다. 9일 북한군이 백령도 인근 NLL 남쪽 해역에 해안포 사격을 가해 왔는데도 제대로 대응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자 교전수칙을 수정한 것이다. 이로써 향후 해상 교전수칙은 ‘비례성의 원칙’을 적용하게 됐다.

김 장관은 “적이 NLL 이남 해상으로 포를 쏘면 ‘비례성 원칙’에 따라 적이 도발한 거리만큼 NLL 북방 바다에 쏠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만약 북한군의 포격으로 아군이 피해를 본다면 자위권 차원에서 즉각 응징 사격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군의 교전수칙 개정은 당연한 조치다. 그러나 교전수칙 강화만으로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100129_32866.jpg
 ▲ 서해5도에서 대공방어 중인 해병 장병ⓒkonas.net

  서해 5도와 NLL 주변 해역에 배치된 한국군은 북한의 해안포 포격을 탐지할 수단이 없다. 국방부가 서해 5도에 배치한 대(對)포병 레이더(AN/TPQ-36)는 해안포 포탄을 추적할 능력이 제한된다고 확인해 주었다. 해안포는 평사포라 포탄 비행고도가 낮아서 그렇다고 한다. 따라서 앞으로 북한이 해안포를 추가로 발사해도 이전처럼 사격진지와 포탄의 착탄 위치를 확인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주간에는 이번처럼 해안 경계초병의 육안 관측으로 포탄이 떨어지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야간이나 저시계(안개, 비)에서는 그것도 어렵다. 김 장관은 이런 문제점을 알고 신형 대포병레이더(AN/TPQ-37)가 서해 5도에 알맞은지와 음향탐지 레이더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결국 국방장관이 강조한 새로운 해상 교전수칙도 실제 적용에서 문제가 많다. 만약 포탄이 남측 육지에 떨어져 응징 사격을 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에 사격진지를 확인하고 바로 타격해야 한다. 그러나 9일 착탄 위치 판단에만 5시간 이상이 소요됐다.

그러면 한국군이 왜 이렇게 됐는가. 지난 수년간 북한은 서해 5도에 대한 공격 전력을 증강한 반면 한국은 투자를 소홀한 탓이다. 오히려 2006년에는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서해 5도 해병부대를 대폭 감군키로 계획했다. 남북한 전력에 불균형이 발생한 것이다. 그래서 북한은 무력도발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은 2005~2007년 해안포를 대구경포(122㎜, 130㎜)로 교체했다. 서해 5도 주변에 총 1000여문을 배치하고 2008~2009년에는 포격훈련을 대대적으로 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불법적으로 NLL 해역을 ‘평시 해안포 사격구역’으로 지정했다. 하지만 한국은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다.

그러자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지휘 아래 올 1월15일 평양 인근 서해안에서 육·해·공군 합동훈련을 했다. 해상 사격에 장사정포(54~60㎞)와 공군 전투기까지 동원됐다. 이 훈련은 서해 5도에 대한 공격훈련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북한은 1월27~29일 백령도~ 연평도 간 NLL상에 해안포와 장사정포 400여발을 발사했다. 한국은 아무런 대응도 하지 못했다. 당시 서해 5도에는 대포병레이더가 없었다. 이후 대포병레이더를 급히 배치했으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국방부는 모두 고장이었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설사 가동이 됐다손 치더라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는다. 성능 때문이다.

서해 5도와 NLL을 방어하는 해군·해병대 전력을 시급히 증강해야 한다. 북한의 3·26 천안함 폭침과 해안포 사격은 서해 5도에 대한 침탈 야욕으로 보고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해상 교전수칙을 강화했다고 서해 5도를 포함한 NLL 수호에 빈틈이 없을 것이라고 자만해서는 결코 안된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이다.(konas)



  1. 서해5도·NLL방어 해군·해병대 전력 시급히 증강해야

    交戰守則강화만으론 NLL이 수호되는 것은 아니다. konas.net / written by 김성만(재향군인회 자문위원, 前 해군작전사령관) 김태영 국방장관은 24일 국회 국방위 답변에서 “북한이 북방한계선(NLL) 너머로 포사격을 ...
    Date2010.08.26 Views3323
    Read More
  2. 열린 마음 닫힌 마음

    김동호 목사 대위·해병대6여단 인간의 마음을 크게 나눈다면 열린 마음과 닫힌 마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도 완벽하게 열린 마음을 가진 사람은 없을 것이고, 또 완벽하게 닫힌 마음을 가진 사람도...
    Date2010.08.25 Views3718
    Read More
  3. 2008 KR / FE 연습성과와 발전방향

    08 KR / FE 연습성과와발전방향 해병대령 차동길(합참 작전본부) 1. 머리말 2006년 9월 14일 한·미 양국 대통령은 한국군에 대한 전시작전통제권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전환할 것을 합의하였다. 2007년 2월 23일에...
    Date2010.08.23 Views3425
    Read More
  4. 칸퀘스트(Khaan Quest)연습 참가결과 및 성과

    해병중령 김해진(합참 전략기획본부) Ⅰ.‘Khaan Quest’란 어떤 훈련인가? 13세기 지구상에 혜성같이 등장한 몽골은 세계역사상 가장 넓은 제국을 건설한 정복국가였다. ‘Khaan’의 사전적 의미는 중세 타타르, 몽골 등...
    Date2010.08.23 Views4621
    Read More
  5. 전자전에 관한 고찰 - 상륙작전을 중심으로

    1996년 1월1일 발행 합참지 7호
    Date2010.08.23 Views2869
    Read More
  6. 공지기동 해병대 21 - 주윤곤

    공지기동해병대 21(합참지 15호) 해병대령 주윤곤 (해병대사령부) Ⅰ. 새 천년, 우리는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21세기 변화의 물결 21세기는 기존 사회의 물리적 패러다임(Paradigm: 견해나 이론의 지배적 틀)에서 새...
    Date2010.08.23 Views2824
    Read More
  7. 해병대VISION 2025 NEW WARRIOR 21 : 공지기동해병대건설 2-4장

    제2장 해병대의 목표 및 역할 / 제3장 해병대 기본전투개념 / 제4장 교리발전방향
    Date2010.08.19 Views2800
    Read More
  8. 해병대VISION 2025 NEW WARRIOR 21 : 공지기동해병대건설 1장

    제1장 미래전의 양상과 한반도의 안보환경
    Date2010.08.19 Views2043
    Read More
  9. 해병대 후배들에게 바라는 간부상 조언

    이글은 2006년 당시 해병대사령부 특별보좌관인 황중호준장께서 2006년 해병대지에 "후배들에게 바라는 간부상 조언"이라는 제목으로 기고한 글입니다. 30여년의 군생활을 통해 몸소 격은 리더쉽기법과 지휘관 및 참...
    Date2010.08.18 Views4223
    Read More
  10. No Image

    이 땅에 해병대여

    이 땅에 해병대여 시인 / 박광남 (해간60기) 한반도의 한라에서 백두까지 혹은 포항의 해안방어부터 김포의 철책선 그리고 백령도의 시퍼런 심해 속까지 해병은 들여다보고 있다.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이기에 우리...
    Date2010.08.17 Views2726
    Read More
  11. No Image

    조국의 이름으로 - 현충일 추모헌시

    <해병대> 제10호, 해병대사령부, 1997년 9월, p276∼278. 해군1함대 화지대장 해병소령 박광남(해간60기) 당신은 조국의 이름으로 숭고한 겨레의 등불이 되었습니다. 당신은 가셨지만 우리의 가슴에 나라 사랑의 참뜻...
    Date2010.08.17 Views3469
    Read More
  12. No Image

    물 한 사발과 술 한사발 - 박광남

    물 한 사발과 술 한사발 / 글/운사 박광남 국군의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여의도에 머물면서 매일 여의도광장의 대낮 뙤약볕과 싸워야하는 지휘관들의 회식이 초저녁 캠프와 가까운 어느 식당에서 있었다. 해병대지휘...
    Date2010.08.17 Views4008
    Read More
  13. 나는 해병장교였다 #02 - 박광남

    본명 박광남(朴光男) 아호/운사 ======================================== * 강릉 쉘부르라이브카페 대표 ======================================= 해간60기, 해병대1사단, 6여단연평부대, 제주방어사령부, 해병대...
    Date2010.08.17 Views3880
    Read More
  14. 나는 해병장교였다 #01 - 박광남

    본명 박광남(朴光男) 아호/운사 ======================================== * 강릉 쉘부르라이브카페 대표 ======================================= 해간60기, 해병대1사단, 6여단연평부대, 제주방어사령부, 해병대...
    Date2010.08.17 Views3235
    Read More
  15. 해병의 혼 내안에 잇으니 그대 자랑스러워라 해병이여!

    자료출처 : 2006년 해병대지 27호
    Date2010.08.16 Views313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