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승 찬 일병 해병대1사단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간다”는 말이 있다. ‘힘들거나 즐겁거나 시간은 흐르고 전역은 다가온다’는 뜻이다. 몇몇 군인이 국방의 의무를 다하는 시간에 대해 “어떻게든 지나간다”는 수동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이 안타깝다. 군대란 시간의 주권을 되찾게 해주는 소중한 경험이 돼야 한다.
신병교육대에서 시계를 반납하는 순간부터 시간은 숫자라는 그림자를 벗어버리고, 진솔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던져진다. 소셜 커뮤니케이션, 의미 없는 술자리, 관심조차 없던 분야의 스펙 관리 등 세상의 요구로 인해 빼앗겼던 시간은 군인으로 첫발을 내딛는 순간 나에게 온전하게 환원된다. 군대는 이처럼 그동안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잃어버린 시간을 환급해주는 공간이다.
나아가 군대에서 시간은 모두에게 평등하게 다가온다. 어떤 학교에 다녔고, 어떤 직장을 가졌고, 어떤 부모 밑에서 자란 것과 무관하게 군화를 신는 순간 우리는 다 같은 해병일 뿐이다. 부족한 경제적 상황을 만회하기 위해 남는 시간에 아르바이트하던 친구도, 학업에 치여 진정 원하던 공부를 못 하던 친구도 여기에서는 개인 시간을 활용해 자기계발에 몰두할 수 있다. 모두가 시간 활용에서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는다.
그러나 자유롭게 주어진 시간이 누구에게나 기회는 아니다. 자유가 책임을 수반하듯이 군인에게 주어진 시간은 짐으로 다가올 수 있다. 우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야 할지, 주말에는 무엇으로 채워갈지 항상 고민할 필요가 있다. 해답을 찾지 못한 장병들에게 시간이란 더 이상 기회가 아닌 권태라는 무력감 속에 빠지게 되는 고통일 뿐이다. 하루하루를 채워나가는 것이 아니라 비워나가야 하는, 주권이 상실된 수동적인 날들의 연속인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루를 보내야 하는가?’라는 물음 앞에서 어떻게 시간의 주권을 회복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시간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해답을 제공할 것이다. 군인들은 시간을 객관화해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시간이 영원하다고 여기며 하루란 그저 전역 날을 위해 무수히 지워나가야 하는 달력 위의 날짜에 불과하다고 여긴다.
시간을 죽이기 위해 시청했던 텔레비전, 좋아하지 않는 운동을 하며 흘려보냈던 순간들은 아무런 의미도 없이 달력 위 X 표시에 필요했던 잉크보다도 가볍게 휘발돼 사라진다.
우리는 시간을 내면화해야 한다. 지금이라는 순간이 무의미한 점들의 연속이 아니라 내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선이라는 걸 깨달아야 한다. 개인 시간에 독서하겠다는 선택도, 낮잠을 청하거나 게임을 하며 휴식을 취하겠다는 결정도 모두 과거의 부족함을 채우기 위한 노력이어야 하며 미래를 위한 투자여야 한다.
독서를 통해 궁금증을 해결함과 동시에 새로운 물음을 던지며, 휴식을 통해 피로를 해소하고 내일을 위한 동력을 충전하는 것이다. ‘나’라는 렌즈를 통해 바라본 시간은 무의미하게 잊혀 버리는 것이 아니라 삶을 창조해가는 과정이다.
군대만큼 내 삶에 질문하고 시간에 대한 주권을 되찾는 완벽한 환경은 없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우리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누가 그랬듯이 거꾸로 매달아도 국방부 시계는 흘러갈 것이다.
흘러가는 시간을 잡을 수 있는 열쇠는 자신에게 있다. 삶을 바꿀 수 있는 약 2년이라는 시간이 헛되지 않도록 나에게 주어진 오늘이라는 시간에 대한 주권자가 되어 살아보자.<국방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