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희 병장 해병대1사단 포병여단
[국방일보 병여의창 2022.07.20]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사람의 마음을 바꿀 수 있다. 정유재란 때인 노량해전 당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마라”는 말은 적들의 사기를 높이지 않기 위함이었고, 6·25전쟁 도솔산전투에서 병력 차이로 전세가 밀리고 있음에도 전우들에게 “적군이 도망치고 있다”고 한 해병은 아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함이었다. 두 전투의 결과에서 말 한마디는 사람의 마음을 바꾸고, 큰 파급력을 지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말의 결 차이’와 생활반장 교육에서 ‘질문하고 말하기’ 방식을 배웠다. ‘말의 결’은 상대방에게 이야기할 때 “~해라” “~해” 식의 말투보다 “~하는 게 어때?” “~해 보는 게 어떨까?”라고 조언 형식의 질문으로 말하는 방법이다.
‘질문하고 말하기’는 잘못을 바로 꾸짖는 게 아니라 상대방에게 그런 행동을 한 이유를 먼저 묻는 것이다. 이 방식을 군 생활에 접목해 후임들을 대할 때 말의 결을 바꿔 보기로 했다.
처음으로 실천한 것은 전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후임에게 경례를 강조할 때였다. 후임에게 “경례 좀 잘하고 다녀라”라고만 얘기했던 나는 “경례는 군인의 인사라고 생각하면 돼. 사회에서 인사를 잘하면 예의 바르다고 칭찬받잖아? 여기서도 우렁찬 목소리로 경례하면 해병다운 인상을 남길 수 있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이후 후임은 경례 하나만큼은 누구보다 잘했고, 나는 실무에 투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적응 중이었던 상대방 입장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됐다.
두 번째는 사회적 거리 두기가 완화되면서 마스크 착용에 관한 것이었다. 장기간 이어진 코로나19는 마스크 착용이라는 불편함을 커지게 하고, 경각심은 줄어들게 했다. 그래서 마스크 착용이 바르지 않은 일부 후임에게 “불편하고 답답하지만 마스크 착용만으로도 자신에게, 또 상대에게 바이러스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줘. 조금만 참고 노력해 보는 게 어떨까?”라고 말했다. 돌아오는 대답은 “잘 착용하겠습니다”였고, 그 후로 중대원들이 전보다 훨씬 더 마스크를 잘 착용했다.
만약 당시에 강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언성을 높이며 이야기했더라면 되레 반감이 생겼을 수도 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하고, 혀는 칼보다 날카롭다’는 말이 있다. 이는 말의 양면성이 사람을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움직이게 한다는 것이다.
병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건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소통이 부드럽고 따뜻한 결이었으면 좋겠다. 그러기 위해 나는 질문하고 말하기 방식을 전파하려 힘쓰고 있다. 좋은 사람이 지나간 자리에는 꽃이 피기 마련이다. 말의 결을 조금만 달리해 우리 해병이 지나간 자리에도 웃음꽃이 피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