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원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jpg

이서원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운용하는 해상돌격 주력 부대이자 상륙작전의 선봉대 역할을 하는 상륙장갑차부대 부사관이다. 해병대 부사관 기준으로 25세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입대를 결심했다. 입대 전에는 육·해·공 전 영역의 방위산업을 담당하는 방산업체 협력사에서 설계팀의 일원으로 근무했다. KAAV를 비롯한 여러 군사장비의 3D 모델링, 캐드, 일러스트 작업 등 설계업무를 담당하면서 국방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당시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던 것은 KAAV였다. 전 군에서 오직 해병대만이 운용하는 장비라는 점도 특이했지만, 바다와 육지에서 동시에 위용을 뽐낼 수 있는 KAAV는 설계 단계에서도 유난히 눈에 띄었다.

회사에서 설계업무를 하면 할수록, 이 독특한 매력의 장비를 직접 운용·정비하고 싶다는 열망이 커졌다. 사무실에서 하는 단순 설계가 아니라 엔진 소리와 장병들의 함성을 듣고 싶었다.

언론을 통해 직접 설계한 KAAV가 미국 해병대와 연합훈련을 하고, 태국·하와이 등 해외에서 힘차게 진격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가슴이 설?다. 결국 2024년 8월 안락한 자리를 박차고 나와 해병대교육훈련단의 문을 두드렸다.

혹자는 “편한 자리, 좋은 월급을 두고 왜 사서 고생하느냐”고 얘기하지만 해병대 부사관이라는 신분과 해병대 전투복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명예이자 꿈이었다. 입대를 결심하고 훈련을 받으면서 단 한 번도 이런 생각에 변함이 없었다. 11주간 오로지 ‘빨간명찰’과 부사관 계급장만 생각하며 땀 흘렸다. 극기주를 마치고 교육훈련단 정문으로 들어왔을 때의 감동과 빨간명찰을 받을 당시의 뜨거운 눈물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2024년 10월 18일, 임관식에서 대표선서를 하는 순간에는 전율이 흘렀다.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관으로서 조국과 국민에게 충성을 다할 것을 다짐하며 진정한 해병대의 일원이 됐다는 자부심을 느꼈다.

지난 2일까지 임무에 필요한 병과 보수교육(상장초급반)을 받았다. 여러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지만, 직접 설계한 장비들을 실무적으로 배워 가는 하루하루가 즐거웠다. 부하를 자신 있게 이끌고, 상관에게 신뢰받는 전천후 해병대 부사관으로 우뚝 서고 싶다. 더 나아가 부소대장, 정비반장, 행정관 등의 직책을 수행하며 민간에서의 경험을 접목해 KAAV-Ⅱ, KAAV-Ⅲ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

지금 해병대 일원으로서 느끼는 자부심과 보람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다. 훗날 그토록 원했던 KAAV를 타고 육·해상을 누비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해병대 부사관으로서 모든 열정과 능력을 바치겠다고 다짐한다. <국방일보 병영의창 2025.04.21>

 

BBS_202504210359489080.jpg 해병대 부사관을 향한 나의 여정 이서원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운용하는 해상돌격 주력 부대이자 상륙작전의 선봉대 역할을 하는 상륙장갑차부대 부사관이다. 해병대 부사관 기준으로 25세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입대를 결심했다. 입대 전에는 육·해·공 전 영역의 방위산업을 담당하는 방산업체 협력사에서 설계팀의 일원으로 근무했다. KAAV를 비롯한 여러 군사장비의 3D 모델링, 캐드, 일러스트 작업 등 설계업무를 담당하면서 국방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당시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던 것은 KAAV였다. 전 군에서 오직 해병대만이 운용하는 장비라는 점도 특이했지만, 바다와 육지에서 동시에 위용을 뽐낼 수 있는 KAAV는 설계 단계에서도 유난히 눈에 띄었다. 회사에서 설계업무를 하면 할수록, 이 독특한 매력의 장비를 직접 운용·정비하고 싶다는 열망이 커졌다. 사무실에서 하는 단순 설계가 아니라 엔진 소리와 장병들의 함성을 듣고 싶었다. 언론을 통해 직접 설계한 KAAV가 미국 해병대와 연합훈련을 하고, 태국·하와이 등 해외에서 힘차게 진격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가슴이 설?다. 결국 2024년 8월 안락한 자리를 박차고 나와 해병대교육훈련단의 문을 두드렸다. 혹자는 “편한 자리, 좋은 월급을 두고 왜 사서 고생하느냐”고 얘기하지만 해병대 부사관이라는 신분과 해병대 전투복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명예이자 꿈이었다. 입대를 결심하고 훈련을 받으면서 단 한 번도 이런 생각에 변함이 없었다. 11주간 오로지 ‘빨간명찰’과 부사관 계급장만 생각하며 땀 흘렸다. 극기주를 마치고 교육훈련단 정문으로 들어왔을 때의 감동과 빨간명찰을 받을 당시의 뜨거운 눈물을 지금도 잊을 수 없다. 2024년 10월 18일, 임관식에서 대표선서를 하는 순간에는 전율이 흘렀다. 대한민국 해병대 부사관으로서 조국과 국민에게 충성을 다할 것을 다짐하며 진정한 해병대의 일원이 됐다는 자부심을 느꼈다. 지난 2일까지 임무에 필요한 병과 보수교육(상장초급반)을 받았다. 여러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지만, 직접 설계한 장비들을 실무적으로 배워 가는 하루하루가 즐거웠다. 부하를 자신 있게 이끌고, 상관에게 신뢰받는 전천후 해병대 부사관으로 우뚝 서고 싶다. 더 나아가 부소대장, 정비반장, 행정관 등의 직책을 수행하며 민간에서의 경험을 접목해 KAAV-Ⅱ, KAAV-Ⅲ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 지금 해병대 일원으로서 느끼는 자부심과 보람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다. 훗날 그토록 원했던 KAAV를 타고 육·해상을 누비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는 해병대 부사관으로서 모든 열정과 능력을 바치겠다고 다짐한다. by 국방일보 from KOOKBANG.DEMA.MIL.KR

 

 



  1. NEW

    해병대 부사관을 향한 나의 여정

    이서원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 한국형 상륙돌격장갑차(KAAV)를 운용하는 해상돌격 주력 부대이자 상륙작전의 선봉대 역할을 하는 상륙장갑차부대 부사관이다. 해병대 부사관 기준으로 25세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입대...
    Date2025.04.23 Views338
    Read More
  2. 해병대전략연구소 RIMS 저널 제41호 발간

    해병대전략연구소 RIMS 저널 제41호 발간 해병대전략연구소 RIMS 저널 제41호가 발간되었습니다. RIMS저널 제41호에는 해병대전략연구소 임원진 한국국가전략연구원 국제회의 참석 등 RIMS동정, 해병 탄생의 요람을 ...
    Date2025.03.30 Views21210
    Read More
  3. 대한민국 해병대가 자랑스러운 이유

    김주호 중위 해병대2사단 상승여단 해병대를 선택한 사람은 각자 사연과 의미가 있다. 나 역시 누구 못지않게 해병대와 특별하고 끈끈한 인연을 자랑한다. 그것은 바로 2대(代) 해병대 집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는 점...
    Date2025.03.26 Views24249
    Read More
  4. 해병대에서의 내일이 더 기대되는 이유

    손석희 상병 해병대2사단 해포여단 해병대는 인생의 도전이자 전환점이 됐다. 성인이 되기 전까지만 해도 해병대는 그저 생소한 군대에 불과했다. 입대를 고민하던 무렵 언론에 보도된 해병대의 빨간명찰, 팔각모, 끈...
    Date2025.03.26 Views24228
    Read More
  5. 해병대전략연구소 RIMS 저널 제40호 발간

    해병대전략연구소 RIMS 저널 제40호 발간 해병대전략연구소 RIMS 저널 제40호가 발간되었습니다. RIMS저널 제40호는 RIMS동정, 주요인사 신년사, 을사년! 해병대 도약을 위한 새 출발, 시사논평, 2025년 해병대 3대 ...
    Date2025.01.17 Views84194
    Read More
  6. 해병대전략연구소 전략논단 제35호 발간

    해병대전략연구소(RIMS) 전략논단 제35호가 발간되었습니다. 해병대전략연구소 전략논단 및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간행물은 회원 및 후원회원들에게 배부하고 있습니다.
    Date2024.12.30 Views100202
    Read More
  7.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신호탄

    강명석 중위(진) 해병대6여단 2023년 12월 아라비아해 한가운데 떠 있었다. 사관생도 4학년, 해병대 장교가 되기로 결심한 뒤 마지막 관문인 순항훈련만을 남겨 두고 있었다. 임관이 얼마 남지 않은 시점이라 과연 어...
    Date2024.12.16 Views105545
    Read More
  8. 나를 바꾸는 건강한 힘, 해병대

    고영현 이병 해병대교육훈련단 아버지가 미국에서 공부하실 때 거기서 태어나 의도치 않게 복수국적을 갖게 됐다. 미국에서의 기억은 거의 없다. 아버지의 공부가 마무리돼 우리 가족이 한국으로 돌아온 건 내가 두살...
    Date2024.12.13 Views107113
    Read More
  9. 불굴의 의지로 나아가는 김황태, 그리고 해병대 정신

    조직 혁신과 발전을 위한 동력을 찾아서 ① 역경을 딛고 일어선 전우들의 울림 해병대전략연구소 림스저널 제39호 칼럼 해병대전략연구소 림스저널 https://krims.tistory.com
    Date2024.11.11 Views135198
    Read More
  10. 할아버지·아버지 길을 따라 해병대로 - 김선우

    김선우 이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나는 3대 해병이다. 존경하는 할아버지와 사랑하는 아버지, 이분들이 전역 후 지금까지 소속감·자부심을 갖고 있는 ‘해병대’라는 아우라 속에서 성장한 나까지. 어쩌면 해병대에 입대...
    Date2024.10.20 Views131997
    Read More
  11. 내 고향 포항, 해병대 - 박민우 소위 해병대교육훈련단 상륙전교육대대

    박민우 소위 해병대교육훈련단 상륙전교육대대 “포항의 승리를 위해 해병대 장병 여러분의 힘찬 응원이 필요합니다!” 프로축구팀 포항 스틸러스의 경기가 홈 구장 포항스틸야드에서 치러지는 날이면 들을 수 있는 장...
    Date2024.09.24 Views148453
    Read More
  12. 자부심 있는 선택, 해병대 - 권로빈준 이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권로빈준 이병 해병대 교육훈련단 나는 한국인 부모님 사이에 캐나다 밴쿠버에서 태어난 복수국적자다. 2개의 국적을 지닌 데 대해 ‘인생에서 다양한 도전을 할 수 있는 기회’ 정도로 여겼지 ‘국가’ ‘입대’와 같이 무...
    Date2024.09.24 Views143194
    Read More
  13. 평생 잊지 못할 해병대교육훈련단 - 고우진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

    고우진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 나는 입대하기 전부터 6·25전쟁 동안 수많은 전투에서 승리하며 신생 국가 대한민국을 지켜낸 해병대에 관심이 많았다. 해병대의 숱한 전투를 인터넷에서 찾아보며 나는 해병대라는 조...
    Date2024.08.27 Views166246
    Read More
  14. 마침내 이룬 ‘해병대 부사관’의 꿈

    조민흠 하사 해병대교육훈련단 학창 시절 교정에는 베트남전쟁 ‘해풍작전’ 중 적의 수류탄을 자기 몸으로 덮어 부하들을 구하고 전사하신 해병대 청룡부대의 고(故) 이인호 소령 동상이 있었다. 그렇게 막연한 궁금증...
    Date2024.08.23 Views158721
    Read More
  15. 해병대의 이름으로 단결했고 더욱 강해졌다

    김원빈 하사 해병대2사단 선봉여단 어떤 상황에서 우리는 군복 입은 자신을 자랑스럽게 생각할까? 대중교통을 이용하던 중 수고에 격려를 보내주시는 어르신의 한마디, 본인 모르게 식사비를 계산하고 가시는 예비역 ...
    Date2024.08.23 Views15092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