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훈련

해병대 훈련르포 "연평도로 보내주십시오!"

by 운영자 posted Dec 2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해병훈~1.JPG

 

[사진=김태성 기자]


"연평도에 꼭 가고 싶습니다."
"그렇게 해 가지고 연평도 갈 수 있겠나!"

올 들어 가장추웠던 지난 15일. 경북 포항시 해병대 교육훈련단 각개전투훈련장. 체감온도 영하 16도. K-2 소총의 총열이 얼어버릴 듯한 맹추위다.그러나 해병은 떨지 않았다.

홀겹 군복 하나에 얼음이 언 구덩이를 누운 자세로 지날 때엔 추위를 느낄 새도 없이 교관의 불호령이 떨어진다. 구령에 맞춰 낮은 포복htm_2010122013372820002010-002.jpg 자세를 로봇처럼 반복하는 이들은 해병대 1129기 훈련병이다.1소대 소대장 김태언(34) 상사는 “해병대 훈련은 어떤 악조건에서도 강행하는 게 원칙”이라고 말했다.

고된 훈련이 끝나고 기다리던 점심시간. 주먹밥과 약간의 김치지만 꿀맛이다. 점심도 순순히 먹는 법이 없다. 추위를 이기기 위해 군가도 목청껏 불러야 한다. 그래야 밥을 먹을 수 있다.

"1129기. 소리가 그 정돈가?" 교관의 말 한마디에 젖먹던 힘까지 내어본다.
온기가 식은 주먹밥을 게눈 감추듯 먹어치운 김영수 훈련병은 "어머니가 해 준 밥과는 말로 표현 할 수 없지만 훈련의 과정이라 생각하고 먹고 있습니다" 라며 씩씩히 웃어보였다.

 

이날은 해병대 신병교육의 꽃이라고 불리는 ‘극기주’ 셋째 날이었다. 5주차에 해당하는 ‘극기주’ 동안 신병들은 침투 및 각개전투 훈련, 시가지전투 훈련, 화생방 훈련, 고지정복 훈련을 받는다. 훈련병들은 하루 4시간 이내의 수면시간과 평소 절반 정도의 식사량으로 한 주를 버텨야 한다.

총 6주 교육과정 중 1주차엔 K-2 소총을 지급받고 비교적 가벼운 제식훈련과 비무장 구보 훈련을 받았다. 2주차에는 본격적인 담금질에 돌입한다. 병아리 훈병이 처음 맞는 장애물은 목봉 훈련. 길이 5m, 무게 300㎏가 넘는 목봉을 12명이 들고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고통 속에서 내가 아닌 우리를 배우게 된다.

이들이 입소식을 치른 지 열흘 만에 연평도가 공격당했다. 김 상사는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내 새끼들이 실무부대에 가서 살아남도록 만들기 위해 더 큰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1129기 신병들은 크리스마스 이브인 12월 24일부터 연평도와 백령도, 대청도 등지의 배치받은 자대로 투입될 예정이다.

110657553.jpg박현근(20) 훈련병은 "전에는 북한을 적이 아닌 동지로 여기며 평화통일을 소망하는 학생이었지만 연평도 도발 이후 북한은 선배를 2명이나 죽인 주적이다"고 말했다.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박 훈련병처럼 조국을 위해 기꺼이 싸우겠다며 입대지원자들이 해병대로 몰리고 있다. 971명을 선발하는 이번 달 해병 모집에 지원자는 3488명. 3.5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가장 힘들다는 수색병과에는 11명 모집에 231 명의 젊은이들이 지원해 2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교육훈련단에는 한동안 사라졌던 복수나 응징을 상징하는 구호('빨간 명찰의 피와 땀으로 반드시 복수한다"천인공노할 북괴만행 해병대가 응징한다')도 다시 등장했다.

16일 새벽 3시. 해병대라면 누구나 한 번은 거쳐가는 관문인 천자봉 행군이 시작됐다. 훈병들은 20㎏이 넘는 완전군장을 하고 경북 포항시 대송면 대각동에 있는 운제산(471m) 대왕암까지 24㎞ 정도의 거리를 마라톤하듯 행군한다. 졸음과 피곤함을 참고 끝없이 발을 내디뎌야 하는 천자봉 행군은 자기와의 싸움이다. 아침도 햄버거와 차디찬 우유 1개가 전부였다.

"1129기. 밥도 먹었으니 이제 한번에 오르는 거다. 알았나?"
"네. 파이팅! 파이팅! 파이팅!"

턱에 숨이 차도록 오른 산 꼭대기. 한 훈련병이 갑자기 눈물을 쏟자 김 상사의 칼날같은 목소리가 들려왔다.

"사내 자식이 왜 질질 짜나?"
"감격해서 그렇습니다.제가 해냈습니다."

훈련병의 대답이 모두를 한바탕 웃게했다. 천자봉 행군을 마치고나서야 비로소 전투복 오른쪽 상의에 붙어 있던 노란 명찰위에 해병대의 상징인 빨간 명찰을 붙인다. 한 청년이 대한민국 해병대원으로 거듭났음을 인정받는 자리다.

“충성을 다하겠습니다!”

빨간 명찰을 단 해병대원의 첫 외침이다. 무적해병은 태어나는 게 아니라 만들어진다. <2010/12/20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