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부대정비 및 배치
장단(사천강)지구 전투를 수행 중이던 해병대 제1전투단은 1953. 7. 27 휴전협정 조인과 동시에 수도권 방어 임무를 위하여 경기도 파주군 금촌면에 전투단 본부를 설치하고 1954. 2. 1 제1전투단을 기간으로 제1여단을 창설하였고‚ 1954. 3. 17 미 해병대 제 1사단이 본국 철수로 작전지역의 작전권을 인수하였다.
1955. 1. 15 제1여단을 기간으로 제1상륙사단을 창설한 해병대는 상륙작전부대로서 체제를 정비하는 한편 상륙작전 및 지상 작전 임무를 수행하다가 1959. 3. 12 금촌에서 포항으로 이동하여 상륙작전 임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1상륙사단의 포항 이동에 따라‚ 1959. 2. 26 제1연대를 기간으로 제1임시여단을 신편‚ 김포반도에 계속 주둔케 하여 서부전선 및 수도권 방어를 수행하였다.
휴전협정에 의거 동 · 서해안 전략도서 확보작전 부대는 철수하여 제2연대에 편입하였고‚ 1953. 8. 15 서해도서부대를 편성‚ 백령도를 비롯한 서북 6개 도서를 방어하면서 1960.1. 1 해병도서경비부대로 개편되었다.
해병대사령부는 한국전쟁동안 1951. 5. 20 부산 용두산에 위치하면서 전선지역으로 이동하였고‚ 1955. 3. 26 부산 용두산 공원에서 서울 용산 후암동 남산 기슭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터전에 자리 잡게 되었다.
제1해병여단 창설(’54. 2. 1)
1954. 2. 1 제1전투단을 기간으로 제1여단을 창설‚ 파주군 금촌면에 주둔하면서 상륙작전 부대로서 조직을 정비하면서‚ 서부전선 및 수도권 방어임무를 수행하였고‚ 1954. 3. 17 미 해병대 제1사단의 본국 철수로 작전지역 작전권을 인수하였다.
제1상륙사단 창설(’55. 1. 15)
1955. 1. 15 제1여단을 기간으로 제1상륙사단을 창설하여 수도권 방어 임무를 수행하면서 상륙 훈련을 실시하였고‚ 1959. 3. 12 금촌에서 포항으로 이동하여 상륙작전 임무를 본격적으로 수행하였다.
1959. 3. 30 대통령령 제1‚468호에 따라 제1 상륙사단으로 정식 승인을 얻어‚ 유일한 국가전략기동부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도서부대 창설(’55. 2. 1)
동해안의 여도‚ 모도‚ 사도‚ 황토도‚ 웅도‚ 양도부대와 서해안의 초도‚ 석도부대가 휴전협정에 따라 진해로 철수하여 해병 제2연대의 모체가 되었다.
그러나 백령도와 연평도에 주둔했던 서해부대는 계속 잔류사여 서해안의 5개 전략도서 방어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1954. 3. 1 미 해병대가 본국으로 철수함에 따라 작전권을 인수하였다.
그 뒤 서해도서부대(1955. 2. 1)‚ 해병함대부대(1958. 4. 15)‚ 함대해병경비부대(1959. 4. 1)‚ 해병도서경비부대(1960. 1. 1)로 개편된 도섭 대는 1971년 1월 작전 체제를 강화하기 위하여 분대본부에 참모실로 보강하고‚ 1973년 10월에는 해병도서경비부대로 증편되었으며‚ 1974년 3월 1일에는 도서방어부대로 증 · 개편되었다.
해병대사령부 서울용산으로 이전(’55. 3. 26)
▲
해병대는 1949. 4. 15 진해에서 창설되었다. 창설한 지 불과 1년여 만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제주도에 주둔한 해병대사령부는 전추부대와 함께 부산 인천 서울 고성 원산 진해로 이동하면서‚ ‘귀신잡는 해병대’‚ ‘무적해병’의 위용을 떨치고 1951. 5. 20 부산 용두산 공원으로 이동하였다.
이렇듯 싸우면서 자라온 해병대사령부는 휴전 뒤 1955. 3. 26 부산에서 서울 후암동으로 이동하여 해병대 부대 지휘부대로서 부대의 발전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였다. [사진설명 : 1956년 6월 준공한 서울 용산의 해병대 사령부 전경]
보급정비단 창설(’55. 6. 1)
1955. 6. 1 창설한 보급정비단은 해병대 전 부대에 대한 독자적인 보급 및 정비지원을 위하여 각종 보급품의 청구ㆍ획득ㆍ저장 및 불출에 관한 전기능과 해병대 군수물자의 3‚ 4단계(LVT는 4. 5단계)정비를 담당하였으며‚ 전시 작전부대를 위한 전방전투근무단을 편성하여 전투근무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 [사진설명 : GMC 엔진을 정비하는 차량 정비병장]
특히‚ 차량‚ 공병‚ 통신‚ 정비교육과 병참 물자의 생산(LVT 재생) 및 기술검사‚ 이동정비를 실시하면서 무기‚ 장비‚ 물자의 폐품처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였다.
교육단 창설(’53. 2. 1)
한국전쟁 직후 1953. 2. 1 해병학교 및 해병훈련소를 기간으로 편성된 해병 교육단은 독자적인 해병대의 장교‚ 하사관‚ 병을 양성하기 위하여 상륙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병대식 교육훈련으로 강인한 해병을 창출하는 산실 역할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