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륙전 기지 사령부(’67. 5. 16)
해병 포항기지를 기간으로 1967. 5. 16대통령령 제 3‚071호에 의거 창설된 상륙전 기지 사령부는 포항기지의 경비(전시 1개 RLT편성)를 담당하며 1971. 7. 1 예비군 훈련연대(제 21‚ 22‚ 23연대)를 예속하여 예비역의 동원과 관리‚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전략기동부대 예비대로서 언제든지 출전 가능하도록 준비하며‚ 상륙전 훈련에 필요한 교장시설 및 수용시설을 관리하였다.
교육기지 사령부(’67. 5. 16)
재진부대 행정 및 근무지원 임무를 위하여 1959. 2. 1 국본 일명(해) 제50호에 의거 해병교육단에서 증편된 진해기지는 1967년 5월 16일 대통령령 제3‚070호에 의거‚ 해병교육기지사령부로 개편되어‚ 해병대 장병의 각종 특기교육과 사관‚ 하사관 후보생‚ 신병에 대한 기초 군사교육을 실시하였다.
해병학교‚ 상륙전학교(1971. 7 창설)‚ 신병훈련소‚ 상남 보병훈련연대 및 통신교육대(1967. 9 설치)‚ 사격장 관리대 등을 지휘 · 관리하였다.
상남보병훈련연대(’57. 1. 23)
1957. 1. 23 해병 교육단의 상남야외훈련대를 창설하여‚ 강하고 힘 있는 최고의 군인을 양성하는 실전적 야외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1964. 1. 1 ‘해병 상남보병훈련대’로 개칭한 뒤 1969. 9. 1 해병 교육기지사령부 상남 훈련연대로 증 · 개편되었으며‚ 1973. 9. 1 국방부 훈련 제 157호에 의거‚ 해병 상남훈련연대가 해체되면서 해군 교육단에 인계되었고‚ 1977. 1. 1 까지 20년간 20여 만명의 해병대 장병을 양성하였다.
상남지역(현 창원시)의 산야는 해병대 전술교육장으로 34만평의 부지에 상남훈련연대 본부 (현 용호동 롯대아파트)‚ 각개 전투 및 침투 사격장‚ 수류탄 교장(현 일동아파트)‚ 중 · 소대 전술훈련장 (현 반송아파트)‚ 각종 직사⁄곡사화기 사격장(현 도민 사격장)‚ 벽암지교육대‚ 공수 교육대 등 20여개의 야외 교육훈련장이 산재되어 있었다.
지휘 참모대학(’64. 1. 1)
1964. 1. 1창설된 해병참모지휘학교는 1967. 7. 1 국본 일명(해) 제9호에 의거‚ 해병 지휘참모대학으로 개편되어‚ 대학반‚ 고등군사반을 운영하였다.
해병대 위관 및 영관 장교에게 사단급 이상 부대의 지휘관 및 참모의 직능 수행에 필요한 지상전 및 상륙전에 관한 군사교육을 실시하였다.
항공대(’58. 3. 1)
해병대 항공대는 제1사단 항공대(1958. 3. 1창설) 및 제2여단 항공대(1965. 9. 20창설) 그리고 제5여단 항공 관측대(1963. 3. 18창설)를 운영하다가 1971. 5. 5 해병대사령부 항공대를 창설하여 휴전선 및 상륙/지상 작전 시 첩보 획득과 탐색 및 정찰 지원을 하였고‚ 월남전 시에는 근접 항공 지원‚ 탐색 및 정찰 그리고 사탄 유도를 하였다.
1971년도에 사령부 전용 운항 및 계류 시설을 설치하였고‚ 1972년도에 신촌리 비행장에 부지 8‚700평을 매입하여‚ 격납고 및 내무실을 신축하였다. [사진설명 : 1958년 최초 해병대에 도입된 U-6기
제5해병여단(’66. 11. 23)
해병대는 제1사단 제2연대를 기간으로 제2여단(청룡부대)을 편성하여 파월함으로서 제1사단이 전략기동예비대로서 임무수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심각한 상태였다. 해병대 임무 수행 능력 보강을 위하여 5‚470명의 병력이 보충되어 건군사상 최초로 30‚430명으로 증강된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해병대는 증강된 병력으로 1966. 11. 14 제5연대를 신편하여 이 부대를 기간으로 1966. 11. 23 새로운 전투여단인 제 5여단을 창성하고 8년 동안 김포반도에서 휴전선을 지킨 제1임시여단과 1967. 1. 23일 부대 교대함으로서‚ 서부전선 수도권방어력을 보강하였다.
제1임시여단은 수도권방어 임무를 마치고 제1사단으로 복귀하여 제1사단은 전투력 정비가 강화되어 전략기동 예비대로서 임무 수행 능력을 완전히 회복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