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사령부 재창설(’87. 11. 1)
1973. 10. 10 경제적 군 운용 목적으로 해병대사령부 및 교육‚ 군수지원 부대가 해체되고 해군에 14년간 통합 운용된 해병대는 전력 관리상 문제점이 노출되어 상륙작전에 관한 지휘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해병대 부대를 통합 지휘할 기구인 해병대 사령부를 1987. 11. 1 재창설 하였다.
하지만 해병대사령부의 재창설에 따른 권한과 책임사상이 법적으로 보완되지 못하여 해병대 인력 관리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보고하고 법률 제정을 추진한 결과‚ 1990. 8. 1 국군조직법에 해병대 관련사항을 재 입법화함으로서 부대령 부대와 그 위상이 다른 직제령 부대로서 해병대 사령부가 해병대 부대를 지휘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 후 1992. 12. 1 해병대 부대를 상륙작전 위주로 운영하고 모든 예하부대를 지휘하여 연합사 전략예비부대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연합해병대사령부(CMFC)가 창설됨으로‚ 제1사단과 제6여단의 작전권을 포함한 지휘기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연합해병 사령부(’92. 12. 1)
대한민국 해병대는 1992년 12월 1일 연합해병대를 창설 국가보위의 핵심전력으로써 평시에는 상륙전력을 구축 전쟁을 억제하고 유사시에는 적 후방에 강력한 상륙전력을 투사하여 전승에 기여 국가정책을 지원한다.
해병대사령부 발안으로 이전(’94. 4. 6)
1987. 11. 1 재창설된 해병대사령부는 해군본부 부속건물인 기지병원을 개축하여 사용하던 중 1988. 4. 15 재경부대 교외 이전계획에 의거‚ 경기도 서해안으로 해병대 사령부 이전을 결정하고 52개 지역을 대상으로 33회 검토하여 현 위치인 화성군 봉담읍 형제산 하록에 사령부 위치를 결정한 후 백년대계의 이전사업을 추진하였다.
사령부 신청사는 1992. 4. 1 기공하여 1994. 4. 6 준공‚ 이전함으로써 해병대 전통정신을 계승하고 미래지향적인 해병대 역사를 창조하는 요람지로 자리 잡게 되었다. [사진설명 1994년 4월 11일 해령대 사령부 이전 기념행사]
지휘관리개선
1990. 9. 29 공포된 해병대 직제령(대통령령 제 13‚113호)에 따라 해병대 사령부의 임무가 명시되었지만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휘기능이 보장되지 않아‚ 1993년도 해병대사령부 내 해병대 현안과제 연구팀을 발족하여 작전 및 부대 지휘 시 문제점을 해본에 건의하였고‚ 현역과 예비역의 노력과 성원에 힘입어 1997년 12월 해군 본부와 국방부에 해병대 지휘관리체제 개선위원회가 구성되어 1999년 1월 21일 해병대 사령관이 해병대 부대를 지휘하도록 법령 및 규정을 개정하였다.
조직 및 정원에 관한 통칙‚ 해병대 직제령‚ 군 인사법시행령‚ 국방기획관리‚ 예산 및 군수품 관리‚ 국방보도 규정‚ 군무원 인산 관리 지침‚ 예비군 실무 편람 등에 대한 법령 및 규정을 개정하여 해병대사령관에게 위임함으로써‚ 미래전에 대비한 다목적 신속 대응군으로서 해병대 위상을 제고하였다.
다목적 신속대응군
해병대는 소수 정예군으로서 임무와 역할이 다양하고 막중하다. 상륙작전‚ 지상작전‚ 특화거점 방어‚ FEBA 방어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토방위의 전략적 요충지인 서북도서로부터 제주도 남단까지 여러 지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대별 작전 수행의 전문성과 부대 운영의 특성을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21세기 해병대는 현재의 다양한 임무와 대비‚ 그리고 미래의 전장환경에 적합한 다목적 신속 대응군으로서 고강도 전면전으로부터 전쟁 이외의 작전활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무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상시 전투 준비가 완료된(Force in readiness) 모습을 갖추어야 한다. 장차전의 양상은 해상을 통한 전력 투사로 연안지역 중심의 작전이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장차전의 양상에 대비하여 해상 및 주직 상륙돌격‚ 연안 도시지역 작전‚ 초수평선 입체 기동상륙 작전‚ 전략도서 및 전략기지 방어 작전 등의 교리를 발전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