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한 軍 의료체계] 조선일보 | 김철중 의학전문기자 | 입력 2011.06.14 03:13 | 수정 2011.06.14 07:28
논산훈련소 - 군의관, 인턴 갓 마친 초심자… 심각한 질병 놓치기 십상
일반 軍부대 - 대대·연대에 군의관 한 명뿐… 민간병원과 협력도 부실
민간전문가들 진단 - 軍의료 전투하듯 하면 곤란… 장비개선 보다 인식 전환돼야

 

경기도 부천 순천향대병원 중환자실에 사지마비 상태로 누워 있는 오모(22)군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강원도 지역 사단에 근무한 현역 장병이었다. 오군은 지난해 여름, 메스꺼움과 식욕감소 증세로 사단의무대 진료를 받았다. 군의료진은 우울증으로 판단하고 약물치료를 했다. 뒤늦게 뇌 안쪽 뇌척수액이 고이는 공간이 부풀어 오르는 뇌질환의 일종인 뇌수종으로 밝혀져 민간 대학병원으로 이송돼 뇌 수술을 받았으나 현재 뇌기능 상실로 말을 전혀 못하는 상태다.

20110614072806827.jpg


최근 군의료의 오진과 늑장 대응으로 뇌수막염 환자가 잇따라 사망한 가운데, 군의료가 환자 발생 시 초동 대처를 부실하게 해 화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본지가 국방부 산하 '군의료체계 보강 추진위원회'에 소속된 민간분야 위원 6명을 모두 인터뷰한 결과, 이들은 "현재의 군의료 핵심 문제는 하드웨어(시설과 장비 등) 문제도 있지만 군의료에 대한 인식 부족, 1~3차 효율적인 의료 시스템 미비 등 소프트웨어의 부실이 더 심각하다"는 데 입을 모았다.

구멍 난 1차 군의료 시스템

1만7000명의 훈련병을 수용하는 논산 훈련소의 경우 폐렴·감기·골절·인대손상 등의 환자가 속출하고 있으나, 이를 처리하는 의료인력은 군의관 7명과 의무병 6명뿐이다. 7개 연대별로 하루 평균 150~200명의 환자가 훈련이 끝난 저녁 6시부터 10시 사이 의무대를 찾지만, 주로 병원에서 인턴을 마치고 군의관이 된 중위 1명이 이들을 치료하고, 군의관 7명이 돌아가며 야간 근무를 한다.

이들은 입원실 환자 관리, 응급 환자 대기 등으로 종종 밤샘 당직근무도 선다. 의무병들도 환자 진료기록 입력과 체온 체크, 주사 및 소독 등을 하느라 눈코 뜰 새 없다. 이렇다 보니 심각한 질병을 안은 환자들을 놓치기 십상이다.

지난해 5월 경기도 동북부 지역 사단에 근무하던 장병이 갑자기 가슴을 움켜쥐고 쓰러졌다. 사단의무대로 이송된 이 환자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이 의심됐다. 통상적인 군의료체계 절차라면 인근 군 병원이나 국군수도병원으로 후송되어야 할 상황이다. 하지만 사단의무대는 환자의 상태가 촌각을 다투며 군병원으로 이송돼도 고난도 치료가 필요해 역부족이라며, 환자를 가장 가까운 대학병원으로 응급 이송했다. 이로써 환자는 극적으로 회생했다. 만약 기존의 군의료체계 후송 방식대로 했다면, 환자의 운명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이 부대 의료진은 전했다.

현재 군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대대→연대→사단→병원'으로 다단계 후송 체계가 고착화돼 있다. 하지만 대대와 연대에는 군의관이 한 명 있을 뿐이다.

군 의료인식·예산은 아직 1980년대

전체 국방비 중 의료 예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 10여년간 국방비에 군 의료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0.2~ 0.7% 수준을 맴돌고 있다. 지난 2005년까지는 0.29% 수준이었으나 2005년 말 군에서 얻은 위암으로 제대 후 사망한 노충국 사건이 발생하면서 2006년 이후 다소 증액됐지만 0.5~0.6% 수준이었다.

연간 무기 등 구입비용으로 10조원의 예산을 쓰면서 정작 이 장비를 운용할 장병의 건강에 쓰는 돈은 2200억여원에 불과하다.

'군 의료체계 보강 추진위원' 강대희(서울대 의대) 교수는 "군의료를 전투하듯이 명령체계로만 다뤄서는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군의료 선진화를 위한 획기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TAG •

  1. 아프간의 진정한 친구, 오쉬노부대 6진 파병

    아프간의 진정한 친구, 오쉬노부대 6진 파병 - 조정환 육군참모총장 주관, 29일 국제평화지원단에서 환송식 - - 바그람기지 2지대 경계지원 및 한국대사관 경비지원 임무, 61명 파병 -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기지 주...
    Date2012.11.30 Views1990
    Read More
  2. 국군 장병 63빌딩 문화시설 무료이용 추진

    -국방부와 한화호텔&리조트(주) 협약체결, 12월 1일부터 문화시설 무료이용 - ◦ 국방부는 오늘(11.29,목) 오전 10시30분에 63빌딩 미스티 룸에서 장병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한화호텔&리조트(주)와 ‘63빌딩 장병 무료...
    Date2012.11.30 Views2178
    Read More
  3. 월간 ‘공군’ · 블랙이글 국제 에어쇼 영상 ‘커뮤니케이션’ 특별상 받는다

    월간 ‘공군’블랙이글 국제 에어쇼 영상 ‘커뮤니케이션’ 특별상 받는다 / 국방일보 2012.11.27 공군 미디어영상팀이 제작한 블랙이글 국제에어쇼 영상의 일부. 공군제공 28일 열리는 2012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 대상...
    Date2012.11.26 Views2612
    Read More
  4. 올해 지뢰제거작전 임무 마무리

    올해 지뢰제거작전 임무 마무리 합참, 9만7000㎡ 지역에서 168발 제거 / 국방일보 2012.11.27 육군8군단 명파부대 장병들이 전방지역에서 지뢰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정의훈 기자 합참의 올해 지뢰제거작전이 민통...
    Date2012.11.26 Views1909
    Read More
  5. 운동선수 이전에 군인…상무, 공수훈련

    운동선수 이전에 군인…상무, 공수훈련 / 국방일보 2012.11.26 축구·육상 등 17개 종목 선수·지도관 243명 참가 ‘수사불패’ 상무정신 함양 국군체육부대 이상기(축구·오른쪽) 상병이 육군특수전교육단에서 모형 항공기...
    Date2012.11.25 Views3116
    Read More
  6. 김성찬 국회 국방위원 印尼 해군 최고훈장 받아

    김성찬 국회 국방위원 印尼 해군 최고훈장 받아 / 국방일보 2012.11.26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김성찬 국회 국방위원이 지난 23일 인도네시아 대사 관에서 프라세티오 대사로부터 인도네시아 해군 최고훈장을 수여받았...
    Date2012.11.25 Views1858
    Read More
  7. 한·중 수교 20주년 기념 중국인민해방군 문예대표단 초청 공연

    ◦ 국방부는 한·중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중국인민해방군 총정치부 소속 문예대표단 초청 공연을 한다. 공연은 11월19일(월) 서울국립극장 해오름극장과 11월21일(수) 계룡대 대강당에서 각각 열린다. ◦ 이번 공연은...
    Date2012.11.21 Views1222
    Read More
  8. 유도탄고속함 제원 및 함명 인물 세부 소개

    함명 인물 세부 소개 ❑ 故임병래 해군 중위(1922. 1. 17. ~ 1950. 9.14.) 임병래 중위는 1922년 평안남도 용강에서 태어나 광복 이후 해군 첩보부대 창설요원으로 활동했고, 1950년 4월 해군사관후보생 9기로 임관했...
    Date2012.11.21 Views2894
    Read More
  9. 유도탄고속함으로 부활하는 6.25전쟁의 영웅들

    유도탄고속함으로 부활하는 6.25전쟁의 영웅들 - 11.20(화), 유도탄고속함 10~12번함「임병래함, 홍시욱함, 홍대선함」진수식 - 6.25전쟁의 영웅들 차례로 함명 제정, NLL 수호신으로 부활해 - 앞서 배치된 유도탄고...
    Date2012.11.21 Views2292
    Read More
  10. 공군 헌병단, 특수임무반 경연대회 최초 개최

    공군 헌병단, 특수임무반 경연대회 최초 개최 / 국방일보 2012.11.19 공군 헌병단이 개최한 2012 특수임무반 경연대회에서 참가요원들이 상황조치 종목에서 지붕을 뛰어넘으며 목표 건물로 향하고 있다. 공군제공 공...
    Date2012.11.18 Views7497
    Read More
  11. ‘젊은 보라매 창공에 묻히다’

    ‘젊은 보라매 창공에 묻히다’ 블랙이글 故 김완희 소령 영결식 … 대전현충원 안장 / 2012.11.19 김관진 국방부장관이 지난 16일 임무수행 중 순직한 故 김완희 소령(추서계급)의 빈소를 찾아 분향하고 있다. 홍승완 ...
    Date2012.11.18 Views2201
    Read More
  12. 국방부 연평도 포격도발 2주기 장병정신무장 강화

    연평도 포격도발 2주기 장병정신무장 강화 / 국방일보 2012.11.19 국방부 전 장병 정신교육 ‘결코 잊을 수 없다’ 연평도 포격도발 육군30사단 정찰대 장병들이 지난 16일 경기도 고양시 화전동 일대 작전지역에서 수...
    Date2012.11.18 Views3192
    Read More
  13. 특수비행팀을 사랑한 ‘보라매’

    블랙이글 순직 조종사 故 김완희 대위는 / 국방일보 2012.11.16 故 김완희 대위가 영국 와딩턴 하늘을 배경으로 자신감 넘치는 포즈를 취하고 있다. 공군제공 15일 발생한 공군특수비행팀 블랙이글의 T-50B 항공기 사...
    Date2012.11.16 Views2008
    Read More
  14. 정승조 합참의장, 동부전선 최전방 부대 현장지도 예년보다 추운 겨울…동계전투준비태세 확립 강조

    정승조 합참의장, 동부전선 최전방 부대 현장지도 예년보다 추운 겨울…동계전투준비태세 확립 강조 / 국방일보 2011.11.14 정승조 합참의장이 13일 육군21사단 최전방 소초를 방문해 사단장으로부터 경계작전 현황을 ...
    Date2012.11.14 Views2725
    Read More
  15. 육군39사단, 10번째 특전예비군 창설

    육군39사단, 10번째 특전예비군 창설 / 국방일보 2012.11.14 육군39사단이 12일 진주특전예비군 창설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부대제공 육군39사단이 10번째 특전예비군중대를 창설했다. 사단은 앞으로도 지속적 특전...
    Date2012.11.14 Views276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