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전자자료 유출 방지 체계도
|
2008년 국감자료에 의하면 군사자료 유출사고는 연간 수백 건에 달할 정도로 심각하다. 이에 따라 각군은 이를 차단하기 위해 정보보호 예산을 중기계획에 반영하고, 상용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를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전력화 추진 중이었다.
하지만 여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내재해 있었다. 전군을 전력화하는 데는 방대한 예산은 물론 향후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 공개경쟁입찰제도 도입으로 부대별 상이한 체계가 적용돼 상호 연동성에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었다. 더욱이 상용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는 일반기업용으로 개발됐기 때문에 정보보호 수준이 매우 낮아 어느 정도 해킹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체계를 무력화하고 자료를 유출할 가능성도 상존했다.
이번 국방ㆍ군사제안에서 은상(대통령 표창)을 받은 육군정보 최신 기술체계관리단 소속 하청호(현 국방부시설본부) 중령과 이득룡 중위(전역) 등 2명이 개발한 ‘軍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는 이러한 문제점 인식에서부터 시작했다.
이들은 2007년부터 자체 연구를 시작해 몇 차례 난관이 있었지만 꾸준히 노력한 끝에 2010년 마침내 개발을 완료, 육군에서 시험 적용해 봤다. 그리고 2011년에는 국방부 통제하에 타군으로의 확대에 이어 올해부터는 국방부 및 합참, 국직부대로 확대ㆍ적용할 계획이다.
개발된 군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의 가장 큰 특징은 상용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완전 보완했을 뿐만 아니라 기능적 측면에서도 월등하다는 데 있다.
특히 국정원이 보안성 강화를 위해 권장하는 비공개 군사용 암호화 알고리듬 적용은 물론 하드디스크나 CD 등에 저장되는 파일도 암호화되도록 하는 등 최신 기술을 군 운용 환경에 최적화함으로써 전문 개발업체에서도 이에 대해 매우 감탄하고 있다고 군 관계자는 전했다.
예산 절감 효과도 막대하다는 분석이다. 이번 체계 개발을 통해 계획된 정보화 예산 약 367억 원을 절감한 것으로 추산된다는 것이 군의 판단. 아울러 전력화 기간을 약 10년 정도 단축해 국방망에 접속된 모든 PC에 설치함으로써 군 정보보호 수준을 한 차원 격상시킨 것으로도 평가하고 있다. 더 이상 군 PC에서 군사자료의 외부 유출은 어림없다는 게 이들 관계자의 자부심 섞인 말이다.
군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는 앞으로 국방망의 최선봉에서 PC를 지키는 파수꾼으로서 불법 군사자료 유출을 막는 살아 숨쉬는 정보보호체계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군은 기대하고 있다. <이주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