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jpg창군 이래 병사들이 착용하는 육군 전투복은 여섯 차례 변경됐다. 우리 군은 반세기를 겨우 넘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군복 변천사는 나름의 긴 사연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육군의 전신인 조선경비대 시절에는 일정한 제식 없이 여러 가지 군복이 혼용됐다. 모든 것이 부족하던 시절이기 때문이다. 구 일본군의 군복을 그대로 착용하기도 했으며 1946년 9월부터 미군이 지급한 전투복을 착용하기도 했다. 혹은 미군 전투복을 흉내냈지만 형태가 약간 다른 국산 전투복도 착용했다.

이러한 혼란은 6·25전쟁 중에도 계속됐다. 실물로 남아 있는 군복들을 보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착용한 미 육군용 전투복은 물론이고 정글용 전투복이나 미 해병대·해군용 전투복을 개조한 경우도 발견된다. 규정된 군복 자체가 없었다고 할 만큼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54년 9월1일 육군 잠정 규정 23호를 통해 통일된 전투복 규격이 처음으로 마련됐다. 54년형 군복은 미군 군복과 거의 유사한 디자인으로 상의는 컨버터블 칼라에 다섯 개의 단추를 부착한 형태며 하의는 대퇴부에 속붙임 사선 주머니를 붙인 일반적인 바지 형태였다.

65년 다시 전투복이 변경됐다. 65년형 전투복은 팔꿈치·무릎·엉덩이 등 쉽게 마모되는 부분에 보강용 천을 덧댄 것이 특징이다. 당시 전술 훈련이 강화되고 야전 진지 보강 작업이 활발히 진행돼 튼튼한 전투복이 요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별도의 외출복이 없는 현실에서 덧댐이 많은 군복은 품위가 없다는 이유로 2년 만인 67년에 폐지됐다. 67년에 제정된 군복은 54년형 군복과 유사하지만 칼라의 형태가 오브론(oblong) 양식으로 변경됐다.

또 이때부터 병사들이 평시에 입는 군복의 정식 명칭을 작업복이 아닌 전투복으로 부르게 된다.
70년대에는 국가 경제 발전에 힘입어 군복도 한국인의 체질과 특성을 지닐 수 있는 양식으로 변경돼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그 결과 탄생한 군복이 71년형 군복이다. 이 군복의 가장 큰 특징은 상의를 하의 밖으로 내어 입는다는 점이었다. 이렇게 착용하는 것이 전투·훈련·작업 등 각종 활동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칼라의 형태도 전통적인 컨버터블 형태로 환원됐다.

하지만 상의를 하의 밖으로 내어 입으면 키가 작아 보이고 외관상 군기가 불량해 보인다는 이유로 이 군복도 2년 만인 73년에 폐지됐다. 73년에 새로 제정된 군복은 대퇴부 상단에 부착하는 주머니를 소형으로 교체했으며 착용 방법도 상의를 하의 안으로 넣어 입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 군복은 90년 11월23일 형태는 크게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색상만 얼룩무늬 위장색으로 변경됐다. 단색에 비해 위장색 군복은 적에게 식별되지 않아 전장에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녹색의 삼림과 황색의 토양 등 한국의 자연 지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색깔을 감안, 현행 육군 전투복은 흑색 20%, 녹색 30%, 갈색 30%, 모래색 20%의 비율로 구성돼 있다.

또 현행 군복은 VAT·환원 염료 등 특수 재질로 염색, 적의 적외선 장비로부터 잘 탐지되지 않게 하고 있다. 과학적인 고려가 밑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 현행 전투복의 특징이다.

<국방일보 김병륜 기자   lyuen@dema.mil.kr >



  1. No Image

    디지털 5색 전투복 입는다 - 국무회의서 병역법 개정

    정부는 병역의무 면탈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재신체검사 경과관찰 기간을 2년으로 연장하고 속임수를 써서 병역처분을 받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사유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확인 신체검사도 실시하도록 개정...
    Date2011.05.17 Views2958
    Read More
  2. 육군 전투복 변천사

    창군 이래 병사들이 착용하는 육군 전투복은 여섯 차례 변경됐다. 우리 군은 반세기를 겨우 넘긴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군복 변천사는 나름의 긴 사연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육군의 전신인 조선경비대 시절에는...
    Date2010.11.22 Views814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