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당시 누란의 위기 조국 위해 온몸 불사른 대원 그들의 혁혁한 전공…장병·지역주민 안보의식 고취 기대
최윤희 해군참모총장이 3일 열린 해군육전대전적비 제막식에서 헌화·분향한 후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
6·25전쟁 당시 포항지구전투에 참전해 맹활약한 해군육전대장 병들의 투혼을 기리는 전적비의 웅장한 모습. |
6·25전쟁 당시 누란(卵)의 위기에 처한 조국을 구하기 위해 숭고한 희생정신과 투철한 군인정신을 불사른 숨은 영웅들이 전적비로 부활했다.
해군은 3일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한미 해병대 충혼탑 부지에서 최윤희 참모총장 주관으로 ‘해군육전대 전적비’ 제막식을 거행했다.
이날 행사는 6·25전쟁 때 낙동강전선 방어에 투입, 혁혁한 전공을 세운 해군육전대원들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계획했다.
행사에는 생존 육전대원을 비롯해 역대 해군참모총장 및 해병대사령관, 포항특정경비지역사령부 주요 지휘관·참모, 해군·해병대 예비역, 박승호 포항시장, 지역 기관·단체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해군육전대를 직접 편성하고 부대를 해체하는 날까지 진두지휘한 강기천(86·예비역 해군대장) 전(前) 해병대사령관도 자리를 함께해 의미를 더했다.
행사는 경과보고, 육전대 공적 소개, 전적비 제막, 헌화·분향, 기념사 순으로 진행했다.
최 총장은 기념사를 통해 “해군육전대는 오직 조국을 위해 싸워 이기겠다는 필승의 신념으로 기적같은 전공을 세웠다”며 “후배 해군·해병대 장병들은 이를 본받아 철통같은 대비태세로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어떠한 해양안보 위협으로부터도 해양주권과 국가이익을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총장은 이어 “6·25전쟁 초기 갓 창설한 해군·해병대는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바다에서는 부산항을, 땅에서는 낙동강 방어선을 굳건히 지켜냄으로써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우리는 선배님들의 훌륭한 창군정신을 계승·발전시켜 대한민국 위상에 걸맞은 더 강한 해군·해병대를 건설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해군육전대장을 역임한 강 전 해병대사령관은 전적비 건립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했다.
강 전 사령관은 “뜻 깊은 전적비를 제막하면서 격전장에서 구국의 일념으로 용전분투한 육전대 전우들에게 한없는 고마움을 전하고, 애석하게도 적탄에 맞아 산화한 여섯 전우들의 명복을 빈다”며 “북한의 도발위협이 날로 증가하는 이 시점에서 해군·해병대는 국가 안전보장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적비는 6·25전쟁 현양사업 일환으로 지난해 1월부터 건립을 추진했으며, 육전대 해체일인 8월 25일 완공했다. 전적비는 가로 18m, 세로 15m, 높이 9.6m의 주탑과 청동 동상 및 화강석 등으로 제작했다.
전적비는 해군을 상징하는 닻과 용맹·승리를 나타내는 검을 형상화한 탑신, 3개 주요 전투를 표현한 3인의 동상, 육전대 업적을 기리는 파도 모양의 메모리얼 벽 등으로 구성됐다.
해군은 전적비가 육전대원들의 전공을 널리 알리고 앞으로 건립할 한미 해병대 충혼탑과 함께 장병·지역주민 안보의식 고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해군육전대는? 해군 육상 전투부대로 낙동강전투서 큰 활약
해군육전대는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7월 9일부터 8월 20일까지 포항지구전투에 참전해 맹활약한 육상 전투부대로 병력은 480여 명이다.
해군이 육전대를 결성한 이유는 해병대가 제주 4·3사건 진압을 위해 제주도에 주둔한 이후 중요작전에 참가했기 때문이다. 전세(戰勢)의 급박성을 인식한 해군은 해본작명(갑) 제56호를 발령하고, 강기천 소령을 육전대장으로 임명했다.
이어 진해에서 훈련 중이던 해군신병 16기를 주축으로 육전대를 편성, 낙동강 방어선 육상전투에 투입했다.
당시 북한군 5사단은 동부 축선을 따라 남하해 유엔군 병참물자 주(主) 양륙기지인 포항항만과 영일비행장이 위치한 포항지역을 위협하고 있었다.
또 북한군 766유격대 일부 병력이 북한군 5사단의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포항 북방에서 활동 중이었다.
해군육전대는 50년 7월 17일 죽장면 합덕리 고지에 500여 명의 적이 잠복 중이라는 정보를 입수하고 경찰 40여 명과 함께 영일비행장을 출격했다.
이들은 미 F-51 전폭기 지원 아래 오후 2시 30분쯤 공격을 개시, 도주하는 적을 맹렬히 추격해 오후 9시 30분쯤 적 최후 진지인 구암산(807고지)을 완전히 점령했다.
아군은 이 전투에서 적 4명을 생포하고, 161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아군은 중상 3명, 경상 2명이라는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정부는 구암산 전투의 공훈을 기려 정창룡 대위, 박승도 중위, 임기환·송세준 삼등병조(병장), 유명식 일등수병(상병) 등 5명을 1계급 특진시켰다.
해군육전대는 7월 22일 오전 3시 강구~포항 사이 남정으로부터 1㎞ 전방에 대기 중인 적 200여 명을 공격한 영덕·포항전투에서도 적 2명을 생포하고 23명을 사살했다. 이들은 또 포항지구전투사령부에 배속돼 북한군 5·12사단이 점령한 포항시가지 탈환작전에 참전해 적 122명을 사살하고 전리품을 다수 노획했다.
해군육전대는 이렇듯 기계·안강지구를 공략한 북한군 5사단과 766유격부대 공격을 저지함으로써 유엔군의 낙동강 방어선 구축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아군이 포항상륙작전·통영상륙작전·낙동강전투 등을 승리로 이끄는 발판을 놓았으며, 역사적인 인천상륙작전을 감행하는 밑거름이 됐다.
해군본부 관계관은 “육전대의 호국정신과 투혼은 싸우면 반드시 이기는 필승해군, 국민으로부터 신뢰와 사랑을 받는 호국해군의 표상”이라며 “우리 해군·해병대는 이들의 값진 전공을 원동력 삼아 한 치의 바다와 땅도 적에게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