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해병대 입체 상륙작전의 핵심전력이 될 차기상륙함(LST-Ⅱ) 1번함 ‘천왕봉함’이 1일 취역기를 게양, 정식으로 해군 함정이 됐음을 선포했다.
해군5성분전단은 이날 경남 진해기지에서 엄현성(중장) 작전사령관 주관으로 천왕봉함 취역식을 거행했다.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할 4500톤급 천왕봉함은 현재 운용 중인 고준봉급(2600톤급) 상륙함과 비교해 기동·탑재능력이 월등해졌다.
길이 126m, 넓이 19m, 최대속력 23노트(시속 42.5㎞)로 기존 상륙함보다 속력이 7노트 이상 증가했다. 승조원 120여 명이 승함하며, 완전무장한 상륙군 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상륙정(LCM),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도 동시 탑재할 수 있다. 헬기 착륙장도 1개소에서 2개소로 확대했으며, 상륙작전지휘소를 별도로 마련해 일사불란한 지휘통제 능력을 구비했다.
이를 바탕으로 적 해안선 가시거리 및 레이더 탐지 범위 밖으로부터 발진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천왕봉함이 장착한 주요 장비 국산화율은 96%에 달한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전투체계와 40㎜ 함포, 대유도탄 기만체계(MASS),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SAAM), 항해·탐색레이더 등을 갖췄다. 방탄설계 적용 구역과 방화격벽을 강화해 생존성을 높인 것도 장점이다.
천왕봉함은 평시 기지·도서에 대한 병력·장비·물자 수송을 맡는다. 국지분쟁 발생 때 신속대응전력을 수송하는 것은 물론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재해·재난 구호 등 비군사적·인도주의적 작전도 지원한다.
해군은 적지에 상륙해 고지를 탈환한다는 의미를 담아 지명도가 높은 봉우리를 상륙함 명(名)으로 부여하고 있다. 천왕봉은 1967년 국내 최초로 국립공원 지정을 받은 지리산의 최고봉(1915m)이며, 백두대간 남부 중추봉이다.
천왕봉함은 전력화 훈련과 작전수행 능력 평가를 거친 후 내년 중반 작전배치될 예정이다. <국방일보>
해군5성분전단은 이날 경남 진해기지에서 엄현성(중장) 작전사령관 주관으로 천왕봉함 취역식을 거행했다.
상륙작전을 주임무로 수행할 4500톤급 천왕봉함은 현재 운용 중인 고준봉급(2600톤급) 상륙함과 비교해 기동·탑재능력이 월등해졌다.
길이 126m, 넓이 19m, 최대속력 23노트(시속 42.5㎞)로 기존 상륙함보다 속력이 7노트 이상 증가했다. 승조원 120여 명이 승함하며, 완전무장한 상륙군 3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다.
상륙정(LCM), 전차, 상륙돌격장갑차(KAAV) 등도 동시 탑재할 수 있다. 헬기 착륙장도 1개소에서 2개소로 확대했으며, 상륙작전지휘소를 별도로 마련해 일사불란한 지휘통제 능력을 구비했다.
이를 바탕으로 적 해안선 가시거리 및 레이더 탐지 범위 밖으로부터 발진하는 ‘초수평선 상륙작전’ 수행이 가능하다.
천왕봉함이 장착한 주요 장비 국산화율은 96%에 달한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전투체계와 40㎜ 함포, 대유도탄 기만체계(MASS), 대함유도탄방어유도탄(SAAM), 항해·탐색레이더 등을 갖췄다. 방탄설계 적용 구역과 방화격벽을 강화해 생존성을 높인 것도 장점이다.
천왕봉함은 평시 기지·도서에 대한 병력·장비·물자 수송을 맡는다. 국지분쟁 발생 때 신속대응전력을 수송하는 것은 물론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재해·재난 구호 등 비군사적·인도주의적 작전도 지원한다.
해군은 적지에 상륙해 고지를 탈환한다는 의미를 담아 지명도가 높은 봉우리를 상륙함 명(名)으로 부여하고 있다. 천왕봉은 1967년 국내 최초로 국립공원 지정을 받은 지리산의 최고봉(1915m)이며, 백두대간 남부 중추봉이다.
천왕봉함은 전력화 훈련과 작전수행 능력 평가를 거친 후 내년 중반 작전배치될 예정이다. <국방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