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특수전.jpg

▲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60주년을 맞아 5일 경남 진해 앞바다에서 열린 특수전 훈련 시범에서 UDT/SEAL 요원들이 CH-47 헬기를 이용한 저고도 이탈(soft duck) 해상침투작전을 펼치고 있다. 진해=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펑! 타다당 탕! 탕! 드르륵 드르륵… 펑! 펑!”

 5일 오전 10시 진해 해군특수전전단 종합전술훈련장.

 아덴만 여명작전으로 우리 해군의 용맹을 전 세계에 떨친 세계 최강 해군특수전전단(UDT/SEAL) 요원들이 고막을 찢을 듯한 폭발음과 총성을 울리며 테러범들이 장악한 건물을 모사한 모형탑으로 진입했다.

 희뿌연 연막이 창밖으로 피어올랐고 메케한 화약 냄새가 코끝을 자극했다.

 UDT/SEAL 요원들이 쏜 총탄의 탄피는 강한 소나기처럼 모형탑 밖으로 쏟아져 내렸다. 해군특수전전단 창설 6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특수전 훈련 시연은 이렇게 시작됐다.

 시범 중 강한 폭발음이 있으니 너무 놀라지 말라는 장내 아나운서의 친절한(?) 경고가 있었지만 소용없었다. 바로 눈앞 모형탑에서 연방 터져나오는 폭발음에 심장이 덜컹덜컹 내려앉았다.

 모형탑 위쪽에서 대테러요원이 은밀히 후방 레펠로 내려와 창문을 확보하자 대형 사다리를 지붕에 올린 모양의 대테러 작전차에 탄 공격팀이 순식간에 모형탑 안으로 진입해 테러범과 교전했다. 그사이 항공기에서 급속강하(fast rope)한 특전요원이 빠르게 건물로 침투해 테러범을 사살하고 건물을 장악하면서 첫 번째 국면인 건물 대테러 진압 훈련이 마무리됐다.

 이어 은밀하고 신속하게 대형 선박에 등반하기 위해 자동승강기를 이용한 선박등반 훈련, 해상침투 후 해안가의 암벽을 극복하기 위한 암벽등반 훈련 등이 펼쳐졌다.

 특전요원들은 평소 최고도의 전투체력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하루 뼈를 깎는 노력을 하는 것과 함께 어떠한 테러 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침투·진압훈련을 하고 있다는 장내 아나운서의 설명이 곁들여졌다.

 저격요원의 개인·팀 저격시범과 흔들리는 헬기 상황을 연출해주는 특수 진동장치를 이용한 사격시범도 이어졌다. 저격요원들이 한 발 한 발 사격할 때마다 수백m 떨어진 곳의 풍선이 정확히 하나씩 터지자 훈련 시연을 참관하던 육·해·공사 생도 등 참관객들은 탄성과 함께 박수를 보냈다.

 연이어 진행된, 은밀히 침투한 특전요원들이 적의 미사일을 타격한 뒤 교전하며 안전하게 빠져나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기동사격 훈련은 훈련장을 압도하며 관람객들을 일제히 기립하게 했다.

 이후에도 특전요원들은 군항 부두에서 근접전투 전술인 무사트(MUSAT) 훈련과 해상에서 특수전용 고속보트와 소형 고무보트 등을 이용한 해상침투 훈련 및 CH-47 헬기를 이용한 저고도 이탈(soft duck) 훈련 등을 시연했다.

 2시간여의 이날 훈련 시연의 대미는 아덴만 여명작전 당시와 같이 해상에서 발생한 선박 테러상황을 가정한 선박장악 및 인질구출 작전이 장식했다.

 해군특수전전단 관계자는 “대한민국 최정예 특수부대인 해군특수전전단 대원들은 테러 등 어떠한 위협에서도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며 “지난 60년과 같이 앞으로도 해군특수전전단은 언제, 어떠한 상황에서도 조국의 부름에 이 한 몸 바쳐 뜨거운 심장을 조국의 바다에 묻을 각오가 돼 있다”고 말했다.

<진해=  국방일보 이석종 기자 < seokjong@dema.mil.kr >                 



  1. 남북 한강하구 공동 수로조사 완료

    경기도 파주시 만우리에서 인천시 강화군 말도에 이르는 한강하구 수역이 ‘평화와 협력의 길’로 변모한다. 남북은 9일 지금까지 교류와 접촉이 없었던 한강하구의 물길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손을 맞잡았다. 국방부는 ...
    Date2018.12.09 Views524
    Read More
  2. [국방해설] 2019국방예산 46조 6971억 원 어디에 쓰나

    내년 2019년도 국방예산은 46조 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 이를 살펴보면 남북 화해무드 속에서도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WMD)에 대응하는 한국형 3축체계 구축 등과 관련한 예산이 증액된 것이 크게 주목된다. 전...
    Date2018.12.09 Views620
    Read More
  3. 2019년 국방예산 46조6971억 원

    내년에도 변함없이 추진되는 국방개혁 2.0의 든든한 재정적 뒷받침이 마련됐다. 국방부는 8일 “2019년도 국방예산이 국회 의결을 거쳐 전년보다 8.2% 증가한 46조6971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 증가율은 지난...
    Date2018.12.09 Views272
    Read More
  4. 정경두 국방부 장관,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 주관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5일 국방부에서 열린 ‘2018 연말 전군주요지휘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 후 처음으로 ‘전군주요지휘관회의’를 주관했다. 이경원 기자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전군...
    Date2018.12.06 Views261
    Read More
  5. 신형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취역

    해군 신형상륙함(LST-II) 네 번째 함정인 4900톤급 ‘노적봉함’의 취역식이 열린 3일 진해해군기지에서 승조원들이 경례하고 있다. 국방일보 한재호 기자 포근한 날씨를 보인 3일 오후 2시 진해 군항 서해대. 빨간색과...
    Date2018.12.04 Views749
    Read More
  6. 국방부 후반기 장성급 인사 발표… 합참차장에 원인철 공군중장

    국방부는 22일 정부가 단행한 후반기 장성급 장교 인사를 발표했다. 정부는 김정수·안준석·이진성·윤의철 등 4명의 육군소장을 중장으로 진급시켜 육군특수전사령관과 군단장으로 임명했다. 또 권혁민·김종삼·박기경·...
    Date2018.11.22 Views809
    Read More
  7.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 개최

    지난 20일 해군본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해군 암호전투기량 경연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주어진 단어를 암호로 조립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종필 군무주사 해군 최고의 암호 전문가가 선발됐다. 해군은 22일 해군본부 ...
    Date2018.11.22 Views476
    Read More
  8. 차기상륙함 4번함 ‘노적봉함’ 해군에 인도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사진 제공=방위사업청 방위사업청이 21일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차기상륙함(LST-II) 4번함인 ‘노적봉함’을 해군에 인도했다...
    Date2018.11.22 Views267
    Read More
  9. 일과이후 ‘병 개인휴대폰 사용’ 관련 民‧軍 토론회 개최

    국방부는 11월 21일(수) 15시 국방컨벤션 회의실에서 장병과 국민이 참여한 가운데 ‘병 개인휴대폰 사용’에 대한 민(民)‧군(軍) 토론회를 개최한다. 국방부는 사회와의 소통과 자기개발 기회 확대 등을 위해 부대 내...
    Date2018.11.15 Views340
    Read More
  10. 병과 명칭 개정 관련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 입법예고

    국방부는 11월 14일, 병과 명칭 개정을 위한 「군인사법 시행령」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 이번 개정안은 시대변화에 맞지 않는 구시대적 명칭을 개선하고, 현재 수행 중인 병과의 임무를 정확히 표현하는데 주안점...
    Date2018.11.13 Views292
    Read More
  11. 남북, 시범철수 GP 병력·화기 철수 완료

    국방부는 11일 “지난 10일부로 남북은 시범철수하기로 합의한 비무장지대 내 GP의 모든 화기와 장비, 병력 등을 철수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시범철수 GP 장병들이 철수를 위해 철문을 닫고 있는 모습. 국방부 제공 ...
    Date2018.11.11 Views230
    Read More
  12. 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유해 추가 발견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9.19. 남북 군사합의서’의 남북공동유해발굴 이행을 위한 지뢰제거 및 도로개설 작업 중 화살머리 고지에서 3번째와 4번째 유해를 추가로 발견하였습니다. □ 3번째 유해(...
    Date2018.11.07 Views276
    Read More
  13. 실미도 공작원 유해 매장지 제보자를 찾습니다.

    □ ‘실미도 사건’은 대북침투작전을 목적으로 창설된 실미도부대가 1971년 8월 23일 가혹한 훈련과 부당한 처우에 반발해 부대를 탈출하여 서울로 향하던 과정에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불행한 과거사입니다. □ 사...
    Date2018.11.07 Views371
    Read More
  14. 육·해·공군 사관생도, 첫 해외 합동순항훈련

    3군 합동순항훈련전단 참모들이 지난 24일 진해군항에 정박해 있는 훈련함정 앞에서 파이팅을 외치며 훈련 성공 결의를 다지고 있다. 왼쪽부터 윤효은(육군소령) 간호장교, 송재우(공군대위) 의무참모, 이상훈(해군소...
    Date2018.10.31 Views848
    Read More
  15.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시행

    ● 임신·출산·육아 관련 달라지는 것들 만 5세 이하 자녀 부모, 24개월 범위 내 하루 최대 2시간 육아시간 여군 출산휴가 분할사용 대상 연령 40세 이상→35세 이상 임신 중인 모든 여군 하루 2시간 모성보호시간 보장 ...
    Date2018.10.30 Views52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01 Next
/ 20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