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군 전사(戰史)에 “역사상 가장 고전했던 전투”라고 기록될 만큼 6․25전쟁 당시 가장 치열했던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국군전사자가 신원이 확인되어 66년 만에 가족품에 안긴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21일, 1950년 8월 미 7사단 소속 카투사로 입대해 장진호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故 임병근 일병(1930. 5. 5. 生)의 유가족 집을 방문해 전사자 신원확인 통지서와 위로패, 유해수습시 관을 덮은 태극기 등을 부산에 거주하는 장조카 임현식(71)씨에게 전달한다.
□ 故 임 일병의 유해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건 천우신조였다. 북한 함경남도 장진에서 전사한 임 일병은 북․미합의에 따라 美 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 사령부(JPAC JPAC(Joint POW/MIA Accounting Command) : 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 사령부
/現 DPAA DPAA(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가 2000년부터 북한 지역에서 미군 유해 발굴작업을 진행하던 가운데 2001년에 발굴되어 하와이에 있는 JPAC 본부로 옮겨졌다.
□ 만약 북한이 한국군 유해라는 사실을 미리 알았다면 미군 유해만 반출한다는 합의 조항 때문에 유해 반출이 불가능 했던 것이다. 신원확인을 위한 정밀 감식 과정에서 12위가 아시아계로 확인되었고 국유단이 JPAC으로 이동해서 한․미 공동 감식을 진행한 결과 국군전사자로 최종 확인되어 2012년 5월 국내로 봉환되었다.
* 21,000km 이동:부산~장진호~판문점~하와이~서울
□ 당시 유가족과 유전자가 일치했던 2명(故 일병 김용수, 이갑수)은 이미 가족의 품에 돌려드렸으며, 남은 10위의 신원확인을 위해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하신 분 가운데 유해가 없이 위패만 모셔져 있는 분들의 유가족을 지속적으로 추적․확인한 결과 경기도 용인에 유가족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상황이 급 진전됐다.
□ 유가족 탐문 담당(신형기 탐문관, 34)이 용인으로 이동해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면서 부산에 임 일병을 기억하는 장조카(전사자의 5남매 중 장남 故 임종근님의 큰 아들 임현식)가 있다는 사실을 추가적으로 알게 되었고 친외가 6명의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국내로 봉환된 지 4년 만에 故임병근 일병으로 신원이 확인됐다.
□ 신형기 탐문관은 “저희는 신원확인을 위해 단 1%의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유가족을 만나기 위해 전국 어디라도 이동한다”면서, “다행히 어릴 적 삼촌(전사자)을 기억하는 유가족분이 계셨고 관련된 정보와 유전자 시료채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셔서 신원확인이 빨리 이루어 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장조카 임현식(71)씨는 “삼촌은 조카들이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들어 주실 정도로 자상했고 손재주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삼촌이 보이지 않아 여쭤봤더니 남자형제가 4명(4남 1녀 중 넷 째)인데 본인이 대표로 전장에 다녀오시겠다고 자원입대하신 후로 소식이 끊어졌다고 들었습니다”라고 말했다.
□ 이어서 “삼촌과 함께 카투사로 참전했던 5촌 당숙(임신근)께서 살아 돌아오셔서는 삼촌이 행방불명 됐다고 하시더군요. 그게 마지막이었습니다”라면서, “전사통보를 받은 날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눈물 흘리시는 모습을 먼발치에서 바라보면서, 삼촌이 돌아가셨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 “아버지께서 삼촌의 제사는 꼭 지내야 한다고 신신당부 하셨지만 전사일을 몰라 9월 9일을 기일로 정해 제사를 지내왔습니다. 다행히 올해부터는 삼촌이 돌아가신 12월 6일에 제사를 지내면 될 것 같네요”라며, “살아생전 삼촌 유해를 모시는 게 소원이었는데 이제야 가슴에 맺힌 한(恨)을 풀었습니다”라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 외조카 권순영(79)씨는 “외가댁과 우리집이 가까워 자주 놀러가곤 했습니다. 당시 외삼촌이 고등학생이었고 제가 초등학교 5학년 때라 외삼촌에 대한 기억이 많아요. 노래도 잘하고 영어도 잘하셨죠. 그래서 카투사로 간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66년 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유해로나마 다시 외삼촌을 뵐 것을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해집니다”라며 촉촉해진 눈시울을 닦았다.
□ 신원이 확인된 임 일병의 유해는 유가족의 요청에 따라 앞서 장진호 전투에서 함께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故 김용수․이갑수 일병처럼 6월 중 국립 대전현충원에 안장 될 예정이며, 남은 9위의 유해는 신원확인 시 까지 국유단 유해보관소에 안치된다.
□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6․25전쟁 50주년을 맞아 한시적 사업으로 시작하였으며, 이후 국방부 직할 기관으로 2007년 창설되어 오늘까지 국군전사자 9천여 위를 발굴하였으며, 이 가운데 故 임병근 일병의 신원이 확인되면서 110명의 신원을 확인해 가족품으로 돌려드렸다.
□ 신원이 확인된 110명의 호국용사의 경우 유품(인식표, 도장, 명찰, 수통, 사진 등)과 유전자 검사를 통한 유해와 유가족 친족관계 확인이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 하지만, 현재 유전자 시료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은 약 3만 여명으로 미수습된 유해 13만여 위에 비해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6․25전쟁 세대와 유가족의 고령화 및 국토개발에 따른 지형변화 등도 유해발굴사업을 추진하는데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대령 이학기)은 “오늘 행사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고자 함께 싸운 한국군 전사자 유해를 한․미 양국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2012년 고국으로 봉환한 것과 세 번째로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에 돌려드린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아직도 비무장지대(DMZ) 이북에 4만여 위의 호국용사 유해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북한과의 협의만 이뤄진다면 언제든지 호국용사들의 유해를 발굴 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했다.
□ 한편, 2012년에 북한에서 발굴된 국군전사자 유해를 국내로 첫 봉환한데 이어 오는 4. 28(목)에는 미측(JPAC/現 DPAA)이 북한에서 발굴한 유해 중에서 한․미가 추가적으로 공동 감식을 진행하여 국군전사자로 확인된 15위의 유해와 국유단이 지난해 11월 미 2사단이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 백석산 일대에서 발굴한 미군 유해 2위를 최초로 상호 봉환하는 뜻 깊은 행사가 국방부장관과 연합사령관 주관으로 연합사 연병장에서 진행 될 예정이다. 끝.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은 21일, 1950년 8월 미 7사단 소속 카투사로 입대해 장진호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故 임병근 일병(1930. 5. 5. 生)의 유가족 집을 방문해 전사자 신원확인 통지서와 위로패, 유해수습시 관을 덮은 태극기 등을 부산에 거주하는 장조카 임현식(71)씨에게 전달한다.
□ 故 임 일병의 유해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건 천우신조였다. 북한 함경남도 장진에서 전사한 임 일병은 북․미합의에 따라 美 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 사령부(JPAC JPAC(Joint POW/MIA Accounting Command) : 합동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 사령부
/現 DPAA DPAA(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 국방부 전쟁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가 2000년부터 북한 지역에서 미군 유해 발굴작업을 진행하던 가운데 2001년에 발굴되어 하와이에 있는 JPAC 본부로 옮겨졌다.
□ 만약 북한이 한국군 유해라는 사실을 미리 알았다면 미군 유해만 반출한다는 합의 조항 때문에 유해 반출이 불가능 했던 것이다. 신원확인을 위한 정밀 감식 과정에서 12위가 아시아계로 확인되었고 국유단이 JPAC으로 이동해서 한․미 공동 감식을 진행한 결과 국군전사자로 최종 확인되어 2012년 5월 국내로 봉환되었다.
* 21,000km 이동:부산~장진호~판문점~하와이~서울
□ 당시 유가족과 유전자가 일치했던 2명(故 일병 김용수, 이갑수)은 이미 가족의 품에 돌려드렸으며, 남은 10위의 신원확인을 위해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하신 분 가운데 유해가 없이 위패만 모셔져 있는 분들의 유가족을 지속적으로 추적․확인한 결과 경기도 용인에 유가족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상황이 급 진전됐다.
□ 유가족 탐문 담당(신형기 탐문관, 34)이 용인으로 이동해 유전자 시료를 채취하면서 부산에 임 일병을 기억하는 장조카(전사자의 5남매 중 장남 故 임종근님의 큰 아들 임현식)가 있다는 사실을 추가적으로 알게 되었고 친외가 6명의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국내로 봉환된 지 4년 만에 故임병근 일병으로 신원이 확인됐다.
□ 신형기 탐문관은 “저희는 신원확인을 위해 단 1%의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유가족을 만나기 위해 전국 어디라도 이동한다”면서, “다행히 어릴 적 삼촌(전사자)을 기억하는 유가족분이 계셨고 관련된 정보와 유전자 시료채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셔서 신원확인이 빨리 이루어 질 수 있었다”고 말했다.
□ 장조카 임현식(71)씨는 “삼촌은 조카들이 원하는 것을 직접 만들어 주실 정도로 자상했고 손재주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삼촌이 보이지 않아 여쭤봤더니 남자형제가 4명(4남 1녀 중 넷 째)인데 본인이 대표로 전장에 다녀오시겠다고 자원입대하신 후로 소식이 끊어졌다고 들었습니다”라고 말했다.
□ 이어서 “삼촌과 함께 카투사로 참전했던 5촌 당숙(임신근)께서 살아 돌아오셔서는 삼촌이 행방불명 됐다고 하시더군요. 그게 마지막이었습니다”라면서, “전사통보를 받은 날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눈물 흘리시는 모습을 먼발치에서 바라보면서, 삼촌이 돌아가셨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 “아버지께서 삼촌의 제사는 꼭 지내야 한다고 신신당부 하셨지만 전사일을 몰라 9월 9일을 기일로 정해 제사를 지내왔습니다. 다행히 올해부터는 삼촌이 돌아가신 12월 6일에 제사를 지내면 될 것 같네요”라며, “살아생전 삼촌 유해를 모시는 게 소원이었는데 이제야 가슴에 맺힌 한(恨)을 풀었습니다”라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 외조카 권순영(79)씨는 “외가댁과 우리집이 가까워 자주 놀러가곤 했습니다. 당시 외삼촌이 고등학생이었고 제가 초등학교 5학년 때라 외삼촌에 대한 기억이 많아요. 노래도 잘하고 영어도 잘하셨죠. 그래서 카투사로 간 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66년 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유해로나마 다시 외삼촌을 뵐 것을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해집니다”라며 촉촉해진 눈시울을 닦았다.
□ 신원이 확인된 임 일병의 유해는 유가족의 요청에 따라 앞서 장진호 전투에서 함께 전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故 김용수․이갑수 일병처럼 6월 중 국립 대전현충원에 안장 될 예정이며, 남은 9위의 유해는 신원확인 시 까지 국유단 유해보관소에 안치된다.
□ 유해발굴사업은 2000년 6․25전쟁 50주년을 맞아 한시적 사업으로 시작하였으며, 이후 국방부 직할 기관으로 2007년 창설되어 오늘까지 국군전사자 9천여 위를 발굴하였으며, 이 가운데 故 임병근 일병의 신원이 확인되면서 110명의 신원을 확인해 가족품으로 돌려드렸다.
□ 신원이 확인된 110명의 호국용사의 경우 유품(인식표, 도장, 명찰, 수통, 사진 등)과 유전자 검사를 통한 유해와 유가족 친족관계 확인이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 하지만, 현재 유전자 시료채취에 동참한 유가족은 약 3만 여명으로 미수습된 유해 13만여 위에 비해 많이 부족한 실정이며, 6․25전쟁 세대와 유가족의 고령화 및 국토개발에 따른 지형변화 등도 유해발굴사업을 추진하는데 큰 어려움이 되고 있다.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대령 이학기)은 “오늘 행사는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고자 함께 싸운 한국군 전사자 유해를 한․미 양국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2012년 고국으로 봉환한 것과 세 번째로 신원을 확인해 가족의 품에 돌려드린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아직도 비무장지대(DMZ) 이북에 4만여 위의 호국용사 유해가 묻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북한과의 협의만 이뤄진다면 언제든지 호국용사들의 유해를 발굴 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했다.
□ 한편, 2012년에 북한에서 발굴된 국군전사자 유해를 국내로 첫 봉환한데 이어 오는 4. 28(목)에는 미측(JPAC/現 DPAA)이 북한에서 발굴한 유해 중에서 한․미가 추가적으로 공동 감식을 진행하여 국군전사자로 확인된 15위의 유해와 국유단이 지난해 11월 미 2사단이 참전했던 강원도 양구 백석산 일대에서 발굴한 미군 유해 2위를 최초로 상호 봉환하는 뜻 깊은 행사가 국방부장관과 연합사령관 주관으로 연합사 연병장에서 진행 될 예정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