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군사령부, “평화수호의 보루”
한·미연합군사령부(Combined Forces Command; CFC)는 한·미동맹의 상징이요, 연합방위체제의중추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국의 방어역량이 향상되면서 한·미 양국은 연합군사령부 조직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1 9 6 8년 1 0월 1 5일, 주한 미 제8군사령부내에 한·미연합참모기획단이 구성되었고 , 1971 년에는 미 제7사단의 철수와 함께 한·미 제1군단이 창설되었다.1 9 7 7년 1월 미국의 카터대통령이 한국에 남아있는 미 제2사단마저 철수시키겠다고 선포함에 따라 한·미간에는 주한 미 지상군의 철수와 관련된 작전지휘체계를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한국의 방위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본격적으로 연합군사령부 창설 문제를논의하게되었다 .

 

hb_gbb_09.jpg


1 9 7 7년 제1 0차 한·미안보협의회의 ( S C M )에서 당시 서종철 국방부 장관과 브라운 미 국방장관간에 연합군사령부 창설에 합의한 이후, 제11차 S C M에서 연합군사령부의 조직 및기능에 관한합의에 도달하였다.
그리하여 제10차 SCM에서 합의한「군사위원회 및 한·미연합군사령부 권한 위임사항」과 1978년 연합사 창설을 위해 최초 개최된 군사위원회회의(MCM)에서 하달한「전략지시1호」에 따라 1978년 11월 7일 용산 미군기지내에 한·미연합군사령부가창설되었다.
이로써 그동안 유엔군사령부가 수행해 온 한국방위 임무를 한·미연합군사령부가담당하게 되었는데, 유엔군사령부는 정전협정 유지에 대해서만 계속 책임지고, 연합군사령관은 정전협정의 유지 및 관리에 관한 한 유엔군사령관 지시에 따르도록 함으로써 유엔사와 연합사간의 관계를 상호지원 및 협조관계로설정하였다.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창설로 한국전쟁 직후의「대전협정」에 따라 그 동안 유엔군사령관에게 위임되었던 작전통제권이 한국군이 참여하는 연합군사령관에게로 전환됨으로써, 한·미 군사관계가보다 발전되는 중요한계기가 되었다.
한·미연합군사령부의 지휘체계는 양국의「국가통수 및 지휘기구」(National Command and Military Authorities; NCMA)로부터 작전지침 및 전략지시를 받아「한·미군사위원회(Military Committee; MC)」를 통하여그 기능을 수행토록 되어 있다.
한·미연합군사령부의 편제 및 구성은 한·미간 동률 보직원칙에 따라 사령관에 미군 4성 장군, 부사령관은 한국군 4성 장군으로 보임하고, 참모장은 미군 중장이, 각 참모 요원은 부서장이 한국군 장성이면 차장은 미군 장성이 되고, 부서장이 미군 장성이면 차장은 한국군 장성이 맡도록하였다.
한·미연합사령관의임무는 평시 한국 합참과의 긴밀한협조하에 한반도 전쟁억제를 위한 위기관리를 하면서, 전시를 대비한 계획 발전과 연습을 통해 한·미양국이 제공하는 한·미 연합전력을운용, 한국에대한 방어임무를수행할 준비를 하는 것이다.
역대 연합사령관들은 이와 같은 한·미연합방위체제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연합체제라는 것에 대해 긍지를 갖고 있으며, 미 본토에서 방문하는 주요인사들에게 이 점에 대한 강조를 빠뜨리지않는다.
한·미연합방위체제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존재하는 한, 한반도 전쟁 억제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장치로 계속유지될 것이다.   

 

hb_gbb_10.jpg

 

 1 9 7 8년 11월 7일, 전쟁수행 사령부로서 유엔군사령부가 연합군사령부로 대체된 것은 아주 의미 있는 일이었다. 연합군사령부는 미군 4성장군이 사령관직을, 한국군 4성장군이 부사령관직을 맡고 있는 명실상부하게 한미연합으로 이루어진 사령부인 것이다. 그리고 유엔군사령부는 지금도 중요하지만 통일이 되는 과정에서 도 중요한 사령부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모든 것은 변화한다. 정치와 국가적 이해관계로 인해 굳건한 동맹관계가 도전 받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그러나 한가지 변하지 않은 것은 바로 북한의 예측불가능성이다. 이 때문에 한국과 동북아의 안정을 위해서
는 상당기간 동안 미군의 주둔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은 미국, 한국, 일본의 현재 및 미래 국가안보전략을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한 동북아에서의 미군주둔은 현재는 물론 통일 과정에 있어서도 한국에게 유리하도록 지역내 안정을 보장할
것이다. 립시(William J. Livsey) 前연합군사령관
자료출처 : 국방부발행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1. No Image

    UDT (1970년) 배달의기수

    Date2010.06.19 Views4327
    Read More
  2. No Image

    공군 F5전투기 1대, 훈련 중 추락...기체 결함 가능성 높아

    [3신 :18일 오후 7시] F5전투기 추락 원인, 기체 결함일 가능성 높아 18일 공군 F5전투기 추락으로 순직한 박정우 중령(42·공사 39기)은 2217시간의 비행시간을 기록한 베테랑 조종사였다. 박 중령은 철저한 자기관리...
    Date2010.06.18 Views4262
    Read More
  3. No Image

    제47회 국군모범용사 명단

    [서울신문]서울신문과 국방부는 공동으로 육·해·공군·해병 부사관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모범용사 60명을 선정, 13일 발표했다. 다음은 제47회 국군모범용사 명단. ◇육군 △육군본부 인사참모부 이명직 원사 △1107공...
    Date2010.06.14 Views7167
    Read More
  4. No Image

    軍 지휘체계 개편·국방선진화 박차

    천안함 사태 후속조치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은 14일 연설에서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군의 인사와 지휘체계 개편을 예고한 것이다. 군당국은 전역지원서를 제출하고 물러...
    Date2010.06.14 Views2221
    Read More
  5. 軍장병 '영정사진' 촬영 논란에 촬영중단 결정

    [마이데일리 = 금아라 기자] 유사시 대비를 위한 군 장병들의 증명사진 촬영 지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불안감이 확산되자 국방부가 사진촬영 중단을 결정했다. 9일 밤 MBC '뉴스데스크'는 "국방부는 유사시 영...
    Date2010.06.10 Views4015
    Read More
  6. 독도함

    사진출러 : 플릭코리아 대한민국해군
    Date2010.06.07 Views3292
    Read More
  7. 국제관함식의 독도함

    Date2010.06.06 Views6240
    Read More
  8. 독도함 물청소

    사진출처 : http://www.flickr.com/ ROKNAVY님의 포토스트림
    Date2010.06.06 Views4321
    Read More
  9. No Image

    [주간동아 단독] 천안함사고직후 코앞 ‘해병수색대’ 안 불렀다!

    해군 사고 초기 대응 난맥상 … 백령도 해병 현장까지 10분, 고속단정도 보유 해군이 천안함 사고 직후, 해경구조대를 1시간여 기다리는 동안 10분 지척에 있는 백령도 해병 6여단 수색대에는 공식 구조요청을 하지 않...
    Date2010.05.30 Views4288
    Read More
  10. 북한의 특수부대

    국방백서(국방부·2006)는 북한의 특수부대에 대해 “전방군단 특수전 부대를 포함해 12만여 명에 달하고, 유사시 남한 전 지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침투해 후방지역 교란과 혼란 조성을 기도할 것이며, 전선지역의 주요...
    Date2010.05.28 Views6961
    Read More
  11. 북한군의 군사교육훈련

    북한군의 군사교육훈련은 소위 남조선혁명을 위한 대남전략 연장선에서 혁명을 위한 군대 육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혁명적 군대육성’이란 정치사상과 전략·전술의 우세로 양적(量的)·군사기술적 우위인 적을 이길 ...
    Date2010.05.28 Views7223
    Read More
  12. 북한군의 신병훈련과 신병훈련소

    북한에는 부대별로 신병훈련소가 편성돼 있다. 신병훈련소가 없는 경우에는 병영 내 건물 일부에 임시로 교육대를 만들어 운영하기도 한다. 교육훈련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군관(장교)과 하사관(부사관)은 군단이나 사...
    Date2010.05.28 Views11485
    Read More
  13. 분단의 상징, “JSA”

    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
    Date2010.05.28 Views3761
    Read More
  14. No Image

    증원전력 “TPFDD”

    한·미연합사령부는 유사시 미 증원전력을 신속하게 한반도에 전개함으로써 유엔사 및 연합사 전시 작전계획을 지원할수 있도록 계획을수립하여준비하고 있다.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 유사시 초전방어의 역할을 한다면...
    Date2010.05.28 Views4345
    Read More
  15.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평화수호의 보루” 한·미연합군사령부(Combined Forces Command; CFC)는 한·미동맹의 상징이요, 연합방위체제의중추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국의 방어역량이 향상되면서 한·미 양국은 연합군사령부...
    Date2010.05.28 Views57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Next
/ 20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