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고있다.
이 군사분계선 상에 직경 8 0 0 m의 타원형 모양의 좁은 공간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JSA(Joint Security Area)이다. 행정구역상으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에 속하는 이곳 JSA는 한국전쟁 기간중 정전회담이 개최되어 장장 2년 1 9일 동안에 무려 1 , 0 7 6회에 걸친 회합을 가진끝에 1 9 5 3년 7월 2 7일마침내 정전협정이 체결된곳이다.

▶ 판문점의 유래
한국전쟁 당시 정전협상이 열렸던 회담장소는 현재의 위치에서 1㎞ 정도 북쪽에 있었으며, 4채의 초가집과회담장으로 쓰였던 가건물, 조립식 막사등이있었다 .
원래 판문점의 지명은‘널문리’로서 임진왜란 때는 선조 임금이 피난길에 하룻밤을 머물고 간 곳이기도 하다. 이곳을 판문점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정전회담에 참석한 중공군 대표들이 이곳을 쉽게 찾아보게 하기 위해 당시 회담장소 부근에 있던 주막을 겸한 가게(店)를 한자로 적어 ‘板門店’으로표기한 것에서 유래한다.

▶ 판문점에 새겨진 애환
판문점에는 지금까지도 분단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주는 상처가 남아 있다. 그것은 바로 1 9 7 6년 8월 1 8일 오전 11시에 북한군이 저지른 소위 ‘도끼만행사건’(일명 ‘ 8 . 18 사건’)이다. 당시 유엔사측이 초소의 시야를 가로막고 있던 미루나무를 자르려 하자 북한군이 이를 가로 막으며 Bonifas 대위(死後소령 진급)와 Barrett 중위를 도끼로 살해하였으며, 그 외에도 미군 4명과한국군 4명에게 중상을입혔다.
이 사건 후에 유엔사는「Paul Bunyan작전」을 수립하여 문제의 미루나무를 베어 냈고, 지금은 당시의상처를그대로 안은 채나무의밑둥만 남아 있다. 판문점공동경비구역 남측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경비부대를「캠프 보니파스」라고 명명한 것은 보니파스 대위의 넋을 기리기위함이다.

 

hb_gbb_11.jpg

 

판문점 옆에는 군사분계선을 따라 ‘사천강’이 흐르고 있다. 이 강을 가로질러 남측지역과 북측지역을 연결하는 다리가 놓여져 있는데, ‘돌아오지 않는 다리’라고 불린다. 그것은 정전 직후 이곳에서 전쟁포로들의 교환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포로들이 다리 위에서 일단 방향을 선택하면다시는 돌아갈 수없었기 때문이다
이 후,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북측이 판문점으로 들어오는 유일한 통로였다. 그러나 ‘8.18 사건’으로 쌍방 인원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지 못하게 되자 북측은 이 다리를 사용할 수가 없게 되었고 결국 새로운 다리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다리는 7 2시간만에 놓여진 것이라 하여 유엔사측에서는 ‘ 7 2 시간다리’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자료출처 :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1. 軍장병 '영정사진' 촬영 논란에 촬영중단 결정

    [마이데일리 = 금아라 기자] 유사시 대비를 위한 군 장병들의 증명사진 촬영 지시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적 불안감이 확산되자 국방부가 사진촬영 중단을 결정했다. 9일 밤 MBC '뉴스데스크'는 "국방부는 유사시 영...
    Date2010.06.10 Views4007
    Read More
  2. 독도함

    사진출러 : 플릭코리아 대한민국해군
    Date2010.06.07 Views3277
    Read More
  3. 국제관함식의 독도함

    Date2010.06.06 Views6237
    Read More
  4. 독도함 물청소

    사진출처 : http://www.flickr.com/ ROKNAVY님의 포토스트림
    Date2010.06.06 Views4305
    Read More
  5. No Image

    [주간동아 단독] 천안함사고직후 코앞 ‘해병수색대’ 안 불렀다!

    해군 사고 초기 대응 난맥상 … 백령도 해병 현장까지 10분, 고속단정도 보유 해군이 천안함 사고 직후, 해경구조대를 1시간여 기다리는 동안 10분 지척에 있는 백령도 해병 6여단 수색대에는 공식 구조요청을 하지 않...
    Date2010.05.30 Views4276
    Read More
  6. 북한의 특수부대

    국방백서(국방부·2006)는 북한의 특수부대에 대해 “전방군단 특수전 부대를 포함해 12만여 명에 달하고, 유사시 남한 전 지역에 동시 다발적으로 침투해 후방지역 교란과 혼란 조성을 기도할 것이며, 전선지역의 주요...
    Date2010.05.28 Views6958
    Read More
  7. 북한군의 군사교육훈련

    북한군의 군사교육훈련은 소위 남조선혁명을 위한 대남전략 연장선에서 혁명을 위한 군대 육성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혁명적 군대육성’이란 정치사상과 전략·전술의 우세로 양적(量的)·군사기술적 우위인 적을 이길 ...
    Date2010.05.28 Views7209
    Read More
  8. 북한군의 신병훈련과 신병훈련소

    북한에는 부대별로 신병훈련소가 편성돼 있다. 신병훈련소가 없는 경우에는 병영 내 건물 일부에 임시로 교육대를 만들어 운영하기도 한다. 교육훈련을 지도하고 감독하는 군관(장교)과 하사관(부사관)은 군단이나 사...
    Date2010.05.28 Views11462
    Read More
  9. 분단의 상징, “JSA”

    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
    Date2010.05.28 Views3735
    Read More
  10. No Image

    증원전력 “TPFDD”

    한·미연합사령부는 유사시 미 증원전력을 신속하게 한반도에 전개함으로써 유엔사 및 연합사 전시 작전계획을 지원할수 있도록 계획을수립하여준비하고 있다. 주한미군이 한반도에서 유사시 초전방어의 역할을 한다면...
    Date2010.05.28 Views4340
    Read More
  11. 한·미연합군사령부

    한·미연합군사령부, “평화수호의 보루” 한·미연합군사령부(Combined Forces Command; CFC)는 한·미동맹의 상징이요, 연합방위체제의중추역할을 수행해 왔다. 한국의 방어역량이 향상되면서 한·미 양국은 연합군사령부...
    Date2010.05.28 Views5693
    Read More
  12. 북파공작원 관련사진 몇장

    정보사내 북파공작원들중 사망한 대원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진 충혼탑 (사진출처 : 국방위 이경실의원실)
    Date2010.05.23 Views5987
    Read More
  13. No Image

    기동함대의 핵심전력, LPH독도함

    한국무기개발사 기동함대의 핵심전력, LPH독도함 (국방홍보원)
    Date2010.05.23 Views3445
    Read More
  14. No Image

    South Korea Special Forces jump training

    Date2010.05.22 Views2332
    Read More
  15. KF16 전투기편대와 블랙이글스

    공군 KF-16 전투기편대가 건군 58주년 국군의날 축하비행을 하고 있다. [국방화보]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의 편대비행
    Date2010.05.22 Views345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 199 200 Next
/ 200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