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고있다.
이 군사분계선 상에 직경 8 0 0 m의 타원형 모양의 좁은 공간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JSA(Joint Security Area)이다. 행정구역상으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에 속하는 이곳 JSA는 한국전쟁 기간중 정전회담이 개최되어 장장 2년 1 9일 동안에 무려 1 , 0 7 6회에 걸친 회합을 가진끝에 1 9 5 3년 7월 2 7일마침내 정전협정이 체결된곳이다.

▶ 판문점의 유래
한국전쟁 당시 정전협상이 열렸던 회담장소는 현재의 위치에서 1㎞ 정도 북쪽에 있었으며, 4채의 초가집과회담장으로 쓰였던 가건물, 조립식 막사등이있었다 .
원래 판문점의 지명은‘널문리’로서 임진왜란 때는 선조 임금이 피난길에 하룻밤을 머물고 간 곳이기도 하다. 이곳을 판문점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정전회담에 참석한 중공군 대표들이 이곳을 쉽게 찾아보게 하기 위해 당시 회담장소 부근에 있던 주막을 겸한 가게(店)를 한자로 적어 ‘板門店’으로표기한 것에서 유래한다.

▶ 판문점에 새겨진 애환
판문점에는 지금까지도 분단의 아픔을 그대로 전해주는 상처가 남아 있다. 그것은 바로 1 9 7 6년 8월 1 8일 오전 11시에 북한군이 저지른 소위 ‘도끼만행사건’(일명 ‘ 8 . 18 사건’)이다. 당시 유엔사측이 초소의 시야를 가로막고 있던 미루나무를 자르려 하자 북한군이 이를 가로 막으며 Bonifas 대위(死後소령 진급)와 Barrett 중위를 도끼로 살해하였으며, 그 외에도 미군 4명과한국군 4명에게 중상을입혔다.
이 사건 후에 유엔사는「Paul Bunyan작전」을 수립하여 문제의 미루나무를 베어 냈고, 지금은 당시의상처를그대로 안은 채나무의밑둥만 남아 있다. 판문점공동경비구역 남측지역을 관할하고 있는 경비부대를「캠프 보니파스」라고 명명한 것은 보니파스 대위의 넋을 기리기위함이다.

 

hb_gbb_11.jpg

 

판문점 옆에는 군사분계선을 따라 ‘사천강’이 흐르고 있다. 이 강을 가로질러 남측지역과 북측지역을 연결하는 다리가 놓여져 있는데, ‘돌아오지 않는 다리’라고 불린다. 그것은 정전 직후 이곳에서 전쟁포로들의 교환이 이루어졌는데 이때 포로들이 다리 위에서 일단 방향을 선택하면다시는 돌아갈 수없었기 때문이다
이 후, ‘돌아오지 않는 다리’는 북측이 판문점으로 들어오는 유일한 통로였다. 그러나 ‘8.18 사건’으로 쌍방 인원들이 군사분계선을 넘지 못하게 되자 북측은 이 다리를 사용할 수가 없게 되었고 결국 새로운 다리를 구축했다. 그런데 이 다리는 7 2시간만에 놓여진 것이라 하여 유엔사측에서는 ‘ 7 2 시간다리’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자료출처 :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1. 분단의 상징, “JSA”

    남북을 갈라놓고 있는 군사분계선은 서쪽으로 예성강과 한강 어귀의 교동도에서부터 개성 남쪽의 판문점을 지나 중부의 철원 김화를 거쳐 동해안 고성의 명호리에 이르는 248㎞( 155마일)의 길이로한반도를 가로 지르...
    Date2010.05.28 Views37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