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번째 6·25전사자 유해 故 전원식 일병 신원 확인

by 운영자 posted Dec 17,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전원식 일병 신원 확인.jpg

고(故) 전원식 일병의 유품. 국방부 제공


그동안 신원이 불분명했던 6·25전쟁 영웅의 신원이 또 한 번 확인됐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17일 경기도 가평 북면 목동리 일대에서 발굴한 6·25 전사자 유해를 고(故) 전원식 일병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 일병은 2000년 4월 유해발굴을 위한 첫 삽을 뜬 후 157번째로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다.

전 일병의 유해는 지난 2014년 3월 가평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의 제보에 의해 발굴이 이뤄졌다. 당시 제보자 송순목(73) 씨는 “어릴 적 할아버지께서 1·4후퇴가 있었던 시기에 부상 당한 군인 2명을 집으로 들여서 돌보셨는데, 얼마 되지 않아 돌아가시는 바람에 선산 근처 숲 가마터에 매장했다고 들었다”고 제보했다. 국유단은 제보를 토대로 현장을 조사한 뒤 여러 노력 끝에 2015년 10월 6·25 전사자로 추정되는 유해를 발굴했다. 발굴 당시 전 일병은 두개골을 포함한 완전한 유해로 발견됐으며 단추·옷핀·빗을 포함한 유품 23점도 함께 발굴됐다.

전 일병의 신원확인은 유가족의 유전자 시료가 확보돼 있었기에 가능했다. 전 일병의 딸은 2019년 11월 유전자 시료 채취에 동참했고 국유단은 유해와 유전자를 비교·분석해 최근 이들의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유단에 따르면 전 일병은 국군8사단 10연대 소속으로 6·25전쟁에 참전해 1951년 2월 가평지역 전투에서 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전 일병이 소속됐던 8사단은 발굴지역에서 60㎞ 이격된 횡성지역에서 전투 중이었고, 1·4후퇴 당시 중국군과 교전하며 가평으로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딸 전정숙(73) 씨는 “아버지가 돌아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고 무덤덤하다”면서 “아직 실감이 나지는 않지만 아버지가 돌아오셨다는 사실이 매우 기쁘다”고 심경을 밝혔다.

국유단은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해 방역수칙을 준수한 가운데 유가족들과 협의를 거쳐 내년 1월 중 전 일병에 대한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거행한 후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내년에도 국민들을 대상으로 사업 인식 및 참여도를 확대해 ‘국민과 함께, 국가에 대한 헌신에 보답하는 사업’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발굴된 전사자의 신원을 한 분이라도 더 찾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여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유단은 “유해 소재 제보나 유가족 유전자 시료 채취 참여 문의는 대표전화인 1577-5625(오!6·25)로 하면 된다”며 “유전자 시료 제공으로 전사자 유해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심사를 통해 최대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고 전했다. <국방일보 임채무 기자 2020.12.17>



Articles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