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연평도포격전으로 명칭 변경
국방부는 31일 ‘연평도 포격 도발' 정부 공식 명칭을 ’연평도 포격전’으로 변경했다고 밝히고 이날 연평도 포격전용어 변경 지시를 각급 부대에 하달했다.다만 국방부는 장병 교육을 위해 도발의 주체를 명확하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연평도 포격 도발’이라는 용어를 부분적으로 사용해도 된다고 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그동안 해병대에서 수차례 연평도 포격전으로 용어 변경을 건의해 왔다”면서 “연평도 포격전 당시 해병대의 용전분투를 재조명하고, 군과 국민의 자긍심을 제고한다는 취지에서 용어를 변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간 꾸준히 변경의견을 내놓아던 해병대사령부 역시 “연평도 포격전으로 용어를 변경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해병대사령부는 “용어 변경을 위해 노력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면서 “해병대는 연평도 포격전 영웅들의 희생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며, 서북도서를 반드시 수호해 대한민국의 평화를 지키겠다”고 전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달 26일 제6회 서해 수호의 날 기념식에서 ‘연평도 포격전’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불의의 피격에도 당당히 이겨낸 연평도 포격전 영웅들께도 마음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연평도 포격전은 2010년 11월 23일 오후 2시30분쯤 북한이 인천시 옹진군 대연평도를 향해 기습적인 포격을 가한 사건이다. 연평도 포격전은 정전협정 이후 북한이 우리 민간인 거주 구역을 공격한 첫 사례로 기록됐다. 당시 북한은 해안포 등을 동원해 170여 발을 발사했고, 연평도를 지키던 해병대 연평부대는 K9 자주포로 80여 발을 대응사격 했다. 연평부대 장병들은 신속한 대응사격과 동시에 주민들의 대피를 도우며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포격전 과정에서 연평부대 서정우 하사, 문광욱 일병이 전사했고, 장병 16명이 부상했다. 민간인도 2명이 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