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2023년 발굴 유해 중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192구에 대한 합동 봉안식 거행

by 관리자 posted Dec 30,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호국영웅이여, 조국의 품에서 편히 잠드소서

 

국방부는 12월 29일(금), 국립서울현충원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관으로 2023년 발굴된 6·25전사자 214구의 유해 중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192구에 대한 합동 봉안식을 거행했다.

 

이날 봉안식에는 국방부장관과 국가보훈부장관을 비롯해 육ㆍ해ㆍ공군참모총장과 해병대사령관, 경찰청 차장과 재향군인회장, 유해발굴에 직접 참여했던 장병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유해발굴 추진경과 보고를 시작으로 전사자에 대한 경례, 종교의식, 헌화 및 분향, 추모사, 조총 및 묵념, 영현 봉송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유해발굴은 3월부터 11월까지 강원 철원·인제, 경상 칠곡·함안 등 6·25전쟁 격전지 35개 지역에서 이뤄졌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과 29개 사·여단급 부대의 장병들은 산악지형과 악천후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호국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의 흔적을 끈질기게 추적한 결과 총 214구의 유해를 발굴하였다.

 

214구 중 신원이 확인된 호국영웅은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고 최임락 일병을 비롯해 총 22명이며, 아직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192구는 합동봉안식 이후 국유단 신원확인센터 내 유해보관소에 모실 예정이다.

 

지난 2000년, 6․25전쟁 5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으로 현재까지 수습한 국군전사자 유해는 모두 1만 1천여 구이며, 그 중 226명의 신원을 확인하여 가족의 품으로 모셔드렸다.

 

특히 올해는 6·25 전사자 중 신원이 확인 된 형제분들을 ‘호국의 형제’로 명명하여 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대전현충원, 국립제주호국원에 각각 안장함으로써 유가족의 슬픔을 위로하고, 국민의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또한, 7월에는 미국 하와이에 모셔져 있던 국군 전사자 유해 총 7구를 최고의 예를 갖춰 국내로 봉환하는 등 호국영웅에 대한 국가 차원의 예우는 물론 나라를 위한 헌신에 끝까지 보답하는 정부의 책무를 이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방부는 앞으로도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6․25 전사자를 마지막 한 분까지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모시기 위해 관계부처와 지자체 등의 노력을 통합하는 민ㆍ관ㆍ군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고, 많은 유가족들이 유전자 시료 채취에 동참할 수 있도록 국민 캠페인 등의 홍보활동을 강화하여 ‘국가 무한책임’의 소명을 완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Articles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