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중국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이용자의 민감한 업무 내용과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관, 기업은 잇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는 출시 일주일 만에 한국 이용자가 120만 명을 넘어설 정도로 관심을 모았다. 이용자가 챗GPT에 이어 생성형 AI 2위에 올랐다.

중국산 저비용 고성능 AI로 알려진 딥시크는 지난달 추론형 최신 모델로 ‘R1’을 출시하면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오픈 AI의 o1(오원)과 비슷한 성능과 속도를 내면서 무료로 배포됐다. 사용자 질문에 답하는 생성형 AI 모델 ‘V3’도 개발해 출시했다.

지난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금융위원회 등 중앙 부처가 정부망에서 딥시크 접속을 금지했다. 7일에는 대검찰청도 안전성 확인 시까지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앞서 5일에는 외교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다수 부서가 접속을 제한했다.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선거관리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도 참여했다. 전국 초·중·고 등도 업무용 인터넷 PC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서울시와 부산시 등 광역지방자치단체, 주요 시중은행과 증권사, 롯데그룹, 신세계그룹 등 기업들도 딥시크 접속을 금지했다.

딥시크 공포 확산이유는 중국 당국이 이 AI 모델이 수집하는 광범위한 개인 정보를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이다. 실제로 딥시크는 중국 내 서버에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필요에 따라 ‘중국 데이터 보안법’에 의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2021년 시행된 이 법은 국가 주권·안보·발전을 이유로 개인 또는 기업에 데이터를 요구할 수 있다.

문제는 딥시크가 수집한 광범위한 개인 정보를 중국 정부가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딥시크는 사용자의 생년월일, 이름, 이메일, IP 주소 같은 개인 정보 수집은 기본이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오디오, 그림, 파일 등 데이터도 무차별적으로........................[정순채 칼럼] 안보 쇼크로 치닫는 중국의 ‘딥시크’ 전문 SDG뉴스(http://www.sdgnews.net)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안보 쇼크로 치닫는 중국의 ‘딥시크’

    지난달 중국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이용자의 민감한 업무 내용과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관, 기업은 잇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는 출시 일주일 만에 한국 이용자가 120만 명을 ...
    Date2025.02.11 By관리자 Views436
    Read More
  2.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디지털 유산'

    [정순채 칼럼]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디지털 유산' 사진, SNS 계정, 문서, 암호화폐에 이르기까지 고인의 일생이 기록된 ‘디지털 유산’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유산은 고인이 생전에 온라인이나 휴대폰 등 디지털 공간에 남긴 모든 흔적을 말한...
    Date2025.02.03 By관리자 Views7200
    Read More
  3. No Image

    [정순채 칼럼] 딥페이크 범죄와 AI 윤리 교육

    [정순채 칼럼] 딥페이크 범죄와 AI 윤리 교육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로 초중고 학생들의 불안감이 높다. 지난해 12월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 실태 및 청소년 인식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89.4%가 불법 영상물을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 딥페이크(deepf...
    Date2025.01.21 By관리자 Views5089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한계 넘어... ‘전지전능’한 인공지능

    지난해 인공지능(AI)은 전쟁과 기후위기, 정치·경제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세계를 움직였다. AI는 기존에 학습한 다양한 데이터로 사용자가 원하는 답을 줬다. 스스로 데이터를 만들어 학습하며, 인간처럼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2016년 3월 AI 알파고...
    Date2025.01.15 By관리자 Views5734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모바일 포렌식 증거분석 기본은?

    초기화된 모바일, 사진 및 동영상, SNS 등 이전 기록물은 남아 있지 않아 ‘모바일 포렌식(Mobile Forensics)’은 디지털(Digital) 포렌식 기술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 분석으로 확장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서 범죄 단서나 증거를 찾아내는 과학수사 기...
    Date2025.01.09 By관리자 Views7268
    Read More
  6. No Image

    2025년 사이버 보안 위협 핵심은 '인공지능'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인공지능(AI)은 사이버 보안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공격자와 방어자의 공방에는 적극적인 AI 기술 활용이 예상된다. 지난해 12월 국내외 주요 사이버 보안 기업은 올해 사이버 보안 위협 전망에서 AI를 빼놓지 않았다. 올해에 AI를 악용...
    Date2025.01.03 By관리자 Views6958
    Read More
  7. No Image

    [정순채 컬럼]되돌아보는 2024년 사이버 위협은?

    2024년의 끝자락에서 한 해를 돌아보며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시점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보안전문가들은 2024년 주요 사이버 위협으로 소프트웨어(SW) 공급망 위협, 생성형 AI 악용, 융복합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 정치·사회적 이슈를 노린 공격 등을 전망...
    Date2024.12.24 By관리자 Views9588
    Read More
  8. No Image

    [정순채 칼럼] 카드 발급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최근 보이스피싱 방법이 진화하면서 다양한 피해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보이스피싱은 전화나 메시지를 통해 피해자를 속여 금전적 이익을 취하는 범죄이다.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어 경계가 필요하다. 최근 다수의 금융기관에 접수된 보이스피싱은 ‘카드 발급’을 사칭...
    Date2024.12.18 By관리자 Views10005
    Read More
  9. No Image

    [정순채 칼럼] 시민들 불안 부추키는 계엄사태 후 가짜뉴스

    [정순채 칼럼] 시민들 불안 부추키는 계엄사태 후 가짜뉴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확인되지 않은 정보와 각종 음모론이 쏟아졌다. 계엄령 추진 배경과 실행 과정이 모호한 가운데 확인되지 않은 소문과 음모론이 유통되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확인된 사실을 ...
    Date2024.12.11 By관리자 Views6617
    Read More
  10. No Image

    [정순채 칼럼] 늘고 있는 사이버폭력 등 학교 폭력

    올해 학교 폭력을 당했다는 초·중·고등학생이 4년 연속 증가하며,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1차 전수조사 결과’는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학교 폭력을 겪었다는 학생 비율은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
    Date2024.12.05 By관리자 Views7663
    Read More
  11. No Image

    [정순채 칼럼] 컴퓨팅 사고력의 발전 방향

    [정순채 칼럼] 컴퓨팅 사고력의 발전 방향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로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전환과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 환경에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적용하는데 필수적인 역량으로 ...
    Date2024.11.26 By관리자 Views8565
    Read More
  12. No Image

    [정순채 칼럼] 강화되는 학교 디지털 윤리 교육

    내년부터 초·중·고교 정규 교육에서 디지털 윤리 수업이 시작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딥페이크(불법 합성물) 등 온라인에서 청소년 범죄가 날로 심화하고 있어 본격적인 예방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학교 내 스마트폰 사용을 전면 금지해 SNS의 일일 이용시...
    Date2024.11.20 By관리자 Views7466
    Read More
  13. No Image

    경보...친러 해킹그룹들, 1주일 새 한국기관·기업 지속공격

    [정순채 칼럼] 최근 정부 부처 홈페이지들이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을 받아 장애가 발생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자 공격 배후가 관심이다. 배후에는 친러 성향의 해커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이후 한국을 의식한 공격으로 ...
    Date2024.11.13 By관리자 Views7979
    Read More
  14. No Image

    [정순채 칼럼] ‘부친상 문자’ 등 폭증하는 미끼 문자

    "문자 사기 예방하려면 모바일 백신 프로그램 수시로 실행해야" 지난달 중순 지인은 ‘아버지가 돌아가셨습니다’라는 부고 문자를 수신했다. 이를 진실로 믿은 그는 첨부된 ‘부고’ 링크 주소(URL)를 눌렀다. 바로 핸드폰에는 악성 앱이 설치돼 핸드폰 해킹을 당했다. 그 ...
    Date2024.11.04 By관리자 Views5221
    Read More
  15. No Image

    [정순채 칼럼] 디지털 매체와 함께하는 현대인의 일상

    현대인의 일상은 정보통신기술(ICT)과 함께하는 디지털 데이터 사회다. 신체의 일부가 된 스마트폰을 비롯한 컴퓨터, 자동차, TV, 스마트 홈, CCTV 등 우리 주변의 디지털기기는 매우 다양하다. 우리는 이런 디지털기기와 일상을 함께하고 있다. 직장인이나 자영업자 등...
    Date2024.10.29 By관리자 Views1051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