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영이 앓고 있다-선임 해병·현역 대위·前사령관의 호소

by 박희철 posted Jul 09,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신문] 적(敵)을 마주한 병영이 불안하다. 김모 상병 사건은 누가 적이고, 누가 아군인지 피아구별이 안 되는 군기문란의 상징적인 사건이다. 화약고를 안고 있는 것은 전방만의 문제가 아니다. 후방도 결코 안전지대가 아니다. 열악한 병영시스템과 군대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제2, 제3의 '김 상병 총기 난사'는 피할 수 없다는 '육성보고서'가 나왔다. 8일 서울신문이 인터뷰한 김 상병의 20년 선임 해병과 현역 육군대위는 "병사만의 문제가 아니다.', '장성부터 위관급까지 간부들의 책임이 더 크다.'고 진단했다. '한번 해병은 영원한 해병'인 전직 해병대사령관도 병사들의 근무시스템을 빨리 바꾸라고 호소했다.

"총을 쏜 것은 김 상병이지만 진정한 가해자는 해병대 내의 고질적인 병폐다." 해병대 동기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예비역 최모(45)씨는 "김 상병과 변을 당한 사병들 모두 피해자"라면서 "그런 상황이 될 수밖에 없도록 몰고간 것은 해병대의 열악한 근무 환경"이라고 진단했다.

1980년대 후반 강화도 해병대 2사단에서 근무했던 최씨는 "사병들이 겪는 심리적·육체적 스트레스를 개선하지 못한다면 이번과 같은 사고가 또다시 일어나지 않는다고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씨는 "나도 사병 시절 선임들에게 밤새도록 구타를 당해본 경험이 있어 현재 사병들의 마음을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군대 내의 구조적인 문제와 현실적인 문제, 그리고 개인의 심리적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비극"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해병대는 철저히 기수 개념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나이는 상관없다. 그런데 이런 기수 개념을 파괴하는 것이 바로 기수 열외"라면서 "5~6년 전부터 생긴 용어로 '안 되면 되게 하라.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다.'와 같은 해병대 정신이 강조되는 환경 속에서 조금이라도 틀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최씨는 "해병대 내의 열악한 훈련 환경 등을 개선하지 않는 한 문제를 완전히 뿌리뽑지 못할 것"이라며 "워낙 해병대의 훈련이 고되고 근무환경이 열악하다 보니 '악과 깡'을 기르는 것을 해병의 미덕으로 여기고 있다. 규칙을 조금이라도 어기거나 남과 다른 사람은 문제아가 돼 기수 열외를 당하는 등 문제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해병은 국방장관의 서자'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장비와 생활환경 등이 열악하다."며 "근본적인 문제를 바꾸기 위해 해병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내부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인식(63·예비역 중장) 전 해병대사령관도 "전우들에게 총격을 가한 끔찍한 사건의 재발을 막으려면 전방부대 근무시스템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전 사령관은 "60여년의 해병대 역사에서 기수 문화를 중시해 왔는데 없애기는 어렵다."면서 "나이에 관계없이 기수에 의해 선·후임이 결정되기 때문에 나이가 많은 병사들이 힘들어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지휘관들의 분발을 당부했다.

군대 내에서 '아군끼리의 전쟁'이 빚어진 참혹한 사고에 대해 곪을 대로 곪아 있는 군대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육군 장교인 임모(32) 대위는 "병사들을 관리감독해야 할 지휘관들의 책임 결여도 한 요인"이라며 간부와 병사 간의 괴리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했다. 임 대위는 "소대장 등 지휘관은 고민을 들어주고 생활지도기록부 등에 기록을 하지만 그걸로 끝이다. 사고가 나더라도 상담기록만 있으면 지휘관은 책임이 경감된다."면서 "대부분의 병사들도 소대장 등이 자신의 고민을 해결해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임 대위는 양자의 책임의식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이영준·윤샘이나기자 apple@seoul.co.kr

Articles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