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465_51439_3139.jpg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자문위원

 

 

경찰은 지난해 9월 철저한 보안을 앞세운 소셜미디어 텔레그램(Telegram)과 수사 핫라인을 구축했다. 그 결과 텔레그램에서 활개 치던 범죄자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마약, 성범죄 등 강력범죄를 포함해 투자리딩방 같은 신종 사기 등 범죄에 대한 수사 정보 취득이 가능해졌다.

 

텔레그램은 2013년 8월 출시한 모바일 메신저로 개발팀은 두바이에 있다. 2024년 이용자는 9억명을 돌파했다. 2019년 ‘n번방(박사방) 사건’ 등 범죄자들 간 주요 연락수단으로 알려지면서 수면 위로 드러났다. 텔레그램은 수사 정보 제공에 비협조적인 소셜미디어였다.

 

지난 2일 경찰은 “텔레그램과 상시 협의할 수 있는 핫라인을 구축해 하루 평균 3회 송·수신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90일 동안 270건의 답변을 받았다. 경찰 공문을 받은 텔레그램은 빠르면 24시간 내로 응답할 정도로 협조한다고 한다. 텔레그램이 한국 경찰에 협조하는 비율은 90%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텔레그램은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파벨 두로프가 지난해 8월 프랑스 검찰에 체포된 후부터 수사 정보를 제공했다. 경찰과 텔레그램 간 수사 공조는 최근 발표한 ‘목사방’ 사건이다. 자신을 목사라고 칭한 30대 남성은 텔레그램 ‘자경단’이라는 피라미드 사이버 성폭력 단을 만들었다. ‘박사방’보다 악랄한 ‘목사방’은 10대 남녀 등 피해자 234명 상대 가학적인 성 착취 혐의를 받는다.

 

경찰의 텔레그램 핫라인 구축으로 범죄자들이 다른 보안 채팅 메신저로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우려되기도 한다. 시그널(Signal), 와츠앱(WhatsApp) 등 다른 보안 채팅앱은 여전히 경찰과 수사 공조가 어렵다. 종단 간 암호화를 사용하는 보안 채팅앱은 송·수신자만 데이터를 일을 수 있는 기술이다.

 

시그널은 개인정보 보호를 핵심 가치로 삼는 메시지 앱으로 태생 자체가 도·감청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2017년 대선을 앞두고 일명 ‘드루킹’과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이 앱을 통해 55차례 대화를 주고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도 시그널로 계엄 관련자들과 대화한...............[정순채 칼럼] 범죄 온상... 텔레그램 등 해외 SNS 전문  SDG뉴스(http://www.sdgnews.net)

 



정순채 사이버칼럼

정순채 동국대학교 융합교육원 겸임교수·경희대학교 사이버대 객원교수 · 법무법인 린 전문위원 · 해병대부사관153기

  1. [정순채 칼럼] 범죄 온상... 텔레그램 등 해외 SNS

    ▲정순채 서울과기대 겸임교수 법무법인 린 자문위원 경찰은 지난해 9월 철저한 보안을 앞세운 소셜미디어 텔레그램(Telegram)과 수사 핫라인을 구축했다. 그 결과 텔레그램에서 활개 치던 범죄자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마약, 성범죄 등 강력범죄를 포함해 투자리딩...
    Date2025.02.19 By관리자 Views1721
    Read More
  2. [정순채 칼럼] 안보 쇼크로 치닫는 중국의 ‘딥시크’

    지난달 중국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이용자의 민감한 업무 내용과 개인 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관, 기업은 잇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는 출시 일주일 만에 한국 이용자가 120만 명을 ...
    Date2025.02.11 By관리자 Views5726
    Read More
  3. No Image

    [정순채 칼럼]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디지털 유산'

    [정순채 칼럼]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디지털 유산' 사진, SNS 계정, 문서, 암호화폐에 이르기까지 고인의 일생이 기록된 ‘디지털 유산’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유산은 고인이 생전에 온라인이나 휴대폰 등 디지털 공간에 남긴 모든 흔적을 말한...
    Date2025.02.03 By관리자 Views7647
    Read More
  4. No Image

    [정순채 칼럼] 딥페이크 범죄와 AI 윤리 교육

    [정순채 칼럼] 딥페이크 범죄와 AI 윤리 교육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로 초중고 학생들의 불안감이 높다. 지난해 12월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 실태 및 청소년 인식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89.4%가 불법 영상물을 범죄로 인식하고 있다. 딥페이크(deepf...
    Date2025.01.21 By관리자 Views5506
    Read More
  5. No Image

    [정순채 칼럼] 인간의 한계 넘어... ‘전지전능’한 인공지능

    지난해 인공지능(AI)은 전쟁과 기후위기, 정치·경제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세계를 움직였다. AI는 기존에 학습한 다양한 데이터로 사용자가 원하는 답을 줬다. 스스로 데이터를 만들어 학습하며, 인간처럼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2016년 3월 AI 알파고...
    Date2025.01.15 By관리자 Views6150
    Read More
  6. No Image

    [정순채 칼럼] 모바일 포렌식 증거분석 기본은?

    초기화된 모바일, 사진 및 동영상, SNS 등 이전 기록물은 남아 있지 않아 ‘모바일 포렌식(Mobile Forensics)’은 디지털(Digital) 포렌식 기술이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 분석으로 확장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서 범죄 단서나 증거를 찾아내는 과학수사 기...
    Date2025.01.09 By관리자 Views7737
    Read More
  7. No Image

    2025년 사이버 보안 위협 핵심은 '인공지능'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인공지능(AI)은 사이버 보안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공격자와 방어자의 공방에는 적극적인 AI 기술 활용이 예상된다. 지난해 12월 국내외 주요 사이버 보안 기업은 올해 사이버 보안 위협 전망에서 AI를 빼놓지 않았다. 올해에 AI를 악용...
    Date2025.01.03 By관리자 Views7370
    Read More
  8. No Image

    [정순채 컬럼]되돌아보는 2024년 사이버 위협은?

    2024년의 끝자락에서 한 해를 돌아보며 다가올 미래를 준비하는 시점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보안전문가들은 2024년 주요 사이버 위협으로 소프트웨어(SW) 공급망 위협, 생성형 AI 악용, 융복합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 정치·사회적 이슈를 노린 공격 등을 전망...
    Date2024.12.24 By관리자 Views10001
    Read More
  9. No Image

    [정순채 칼럼] 카드 발급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최근 보이스피싱 방법이 진화하면서 다양한 피해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보이스피싱은 전화나 메시지를 통해 피해자를 속여 금전적 이익을 취하는 범죄이다. 수법이 날로 진화하고 있어 경계가 필요하다. 최근 다수의 금융기관에 접수된 보이스피싱은 ‘카드 발급’을 사칭...
    Date2024.12.18 By관리자 Views10420
    Read More
  10. No Image

    [정순채 칼럼] 시민들 불안 부추키는 계엄사태 후 가짜뉴스

    [정순채 칼럼] 시민들 불안 부추키는 계엄사태 후 가짜뉴스 비상계엄 사태 이후 확인되지 않은 정보와 각종 음모론이 쏟아졌다. 계엄령 추진 배경과 실행 과정이 모호한 가운데 확인되지 않은 소문과 음모론이 유통되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확인된 사실을 ...
    Date2024.12.11 By관리자 Views7027
    Read More
  11. No Image

    [정순채 칼럼] 늘고 있는 사이버폭력 등 학교 폭력

    올해 학교 폭력을 당했다는 초·중·고등학생이 4년 연속 증가하며,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4년 1차 전수조사 결과’는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학교 폭력을 겪었다는 학생 비율은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다. 학교급별 피해 응답...
    Date2024.12.05 By관리자 Views8071
    Read More
  12. No Image

    [정순채 칼럼] 컴퓨팅 사고력의 발전 방향

    [정순채 칼럼] 컴퓨팅 사고력의 발전 방향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로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전환과 발전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 환경에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적용하는데 필수적인 역량으로 ...
    Date2024.11.26 By관리자 Views8969
    Read More
  13. No Image

    [정순채 칼럼] 강화되는 학교 디지털 윤리 교육

    내년부터 초·중·고교 정규 교육에서 디지털 윤리 수업이 시작된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딥페이크(불법 합성물) 등 온라인에서 청소년 범죄가 날로 심화하고 있어 본격적인 예방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학교 내 스마트폰 사용을 전면 금지해 SNS의 일일 이용시...
    Date2024.11.20 By관리자 Views7869
    Read More
  14. No Image

    경보...친러 해킹그룹들, 1주일 새 한국기관·기업 지속공격

    [정순채 칼럼] 최근 정부 부처 홈페이지들이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을 받아 장애가 발생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자 공격 배후가 관심이다. 배후에는 친러 성향의 해커가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이후 한국을 의식한 공격으로 ...
    Date2024.11.13 By관리자 Views8381
    Read More
  15. No Image

    [정순채 칼럼] ‘부친상 문자’ 등 폭증하는 미끼 문자

    "문자 사기 예방하려면 모바일 백신 프로그램 수시로 실행해야" 지난달 중순 지인은 ‘아버지가 돌아가셨습니다’라는 부고 문자를 수신했다. 이를 진실로 믿은 그는 첨부된 ‘부고’ 링크 주소(URL)를 눌렀다. 바로 핸드폰에는 악성 앱이 설치돼 핸드폰 해킹을 당했다. 그 ...
    Date2024.11.04 By관리자 Views562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


CLOSE